니켈전지처럼 완전히 방전 후 사용하면 수명 짧아져

100%된 뒤에도 꽂아둬야
몸에 지녀 벼락맞진 않아

배터리는 시간이 갈수록 성능이 떨어진다. 배터리에 여러가지 화학물질이 가루 형태로 존재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제로 붙여놓는데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 화학물질 일부가 조금씩 떨어져 나가 그만큼 전자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배터리를 0%까지 완전히 방전한 다음 충전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이는 니켈카드뮴전지와 니켈수소전지가 대세였을 때의 얘기다. 하지만 리튬이온전지는 완전 방전한 다음 사용하면 오히려 수명이 짧아진다. 완전 방전하면 내부에서 전자를 주고받는 집전체라는 구성회로가 손상되는 탓이다.


배터리 충전이 100% 된 뒤에도 계속 전원에 꽂아두는 게 괜찮은지도 사용자들의 고민거리 중 하나다. 한국전기연구원은 “휴대전화의 경우 100% 충전됐다는 초록색 불이 들어온 상태여도 계속 꽂아두면 더 충전이 된다. 완전히 충전하기 위해서는 2시간 이상 더 꽂아둬야 한다”고 밝혔다. 충전율은 보통 표면 상태의 전압을 재어 표시하는데 전지 안 리튬이온의 농도 편차가 심해 전압이 충분히 확산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특히 1년 이상 지난 배터리는 성능이 더 떨어지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 둬야 충분히 충전할 수 있다.
노트북 등 전자제품의 코드를 전원에 꽂은 채 사용하면 배터리 수명에 지장이 없는지도 헷갈려하는 문제다. 정답은 “아무 문제가 없다”이다.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배터리를 충전하면 충전 속도가 느려질 뿐 배터리 수명에는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배터리에 휴식을 주는 것이어서 성능 유지에 좋을 수 있다.


건전지에도 금속물질이 들어 있어 목걸이나 팔찌처럼 몸에 지니고 다니면 벼락(낙뢰)을 맞을 수 있다는 속설은 사실이 아니다. 한국전기연구원 실험 결과 낙뢰에 맞을 확률은 높은 곳일수록 높았지만 몸에 지닌 물건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휴대전화 통화가 낙뢰를 일으킬 수 있다는 얘기도 근거가 없다.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1.5~2㎓)는 낙뢰의 전자기파(최대 10㎒)와 전혀 다른 주파수여서 상관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