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과 야당 대표 회담의 묘미는 통 큰 결단과 타협에 있다. 이들의 만남에 ‘영수회담’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붙이는 것도 회담의 이런 성격과 무관치 않다. 지난 정치사를 돌아보면 여야 대표 회담이 난마처럼 얽힌 정국 현안의 실타래를 푸는 결정적 분수령이 된 경우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민주당 대표의 회담 결과를 보면 영수회담이라는 말을 붙이기조차 민망하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말이 딱 들어맞게 허무하기 짝이 없는 회담이었다. 본질적으로 ‘주고받기’ 자체가 없으니 성과가 있을 리 만무하다. 굳이 의미를 부여하자면 오랜만에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얼굴을 마주했다는 점 정도다.

이 회담이 ‘민생 영수회담’이라는 이름값을 하려면 뭔가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한 가지라도 나왔어야 했다. 그러나 일자리 대책, 저축은행 사태, 가계부채 문제 등 그나마 합의가 이뤄졌다는 사안도 발표 내용을 들여다보면 원론적 수준의 하나 마나 한 이야기뿐이었다. 정부가 가계부채 대책을 이른 시일 안에 발표한다느니, 저축은행 부실 문제를 다루는 국회 국정조사에서 여야가 최대한 협조한다느니 따위의 합의사항이 과연 청와대 회담이 없었으면 나올 수 없는 것인지 의아할 뿐이다. 대학 등록금 인하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국회 비준 등 핵심 현안은 아예 각자의 주장만 되풀이하다가 끝났다. 이 대통령은 완강했고, 손 대표는 어설펐다.
물론 한술 밥에 배부를 수는 없는 노릇이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이렇게 만나다 보면 이해와 교감의 폭이 깊어져 난제를 풀어갈 수도 있다. 하지만 양쪽 태도를 보면 그럴 전망도 별로 없어 보인다. 말로라도 후일의 만남을 기약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오랫동안 미뤄온 ‘숙제’를 해치워버려 시원하다는 분위기가 공통으로 감지된다.

이번 회담 결과를 놓고 청와대와 민주당은 각자 ‘윈윈 게임’이라며 흡족해하고 있다. 따지고 보면 그 말이 맞을 수도 있다. 청와대는 ‘불통 대통령’이라는 비판을 희석시키는 데 회담을 충분히 활용했고, 손 대표 역시 정치적 위상을 높이고 민생에 신경 쓰는 야당 지도자의 이미지를 띄우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두 사람이 ‘윈윈’했는지는 모르지만 민생고에 허덕이는 서민들이 승리한 회담이 아닌 것은 분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