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15일부터 19일까지 일본, 한국, 중국을 차례로 방문했다. 세 나라에서 모두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정상도 예방했다. 틸러슨 장관은 이번 방문의 성격을 ‘경청 투어’라고 말했지만, 위기가 최고조 상태에 있는 한반도 상황과 유동적인 미-중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로선 운명을 가를 중요한 순방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틸러슨 장관은 일본에서는 아시아에서 미-일 동맹의 중요성과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일 3국 협력의 강화를 강조하고, 한국에선 대북 ‘전략적 인내’ 정책의 실패를 인정하고 군사적 옵션까지 포함하는 대북 강경정책을 내놨다. 이와 동시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북한은 여러 해 동안 미국을 가지고 놀았다. 중국도 거의 도움을 주지 않았다”고 대북·대중 강경 메시지를 날렸다.
틸러슨 장관은 마지막 순방지인 중국에서는 일본, 한국에서와는 달리 다소 완화된 목소리를 내놨다. 18일 열린 왕이 외교부장과의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경로를 바꾸기 위한 설득에 공감’했고, 19일 시진핑 주석과의 면담에서도 미-중 관계 발전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그러나 틸러슨 장관이 한·중·일 3국을 순방하면서 내놓은 북한과 관련한 메시지는 전반적으로 강경책에 기울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중국과는 4월 초로 예정된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어 공개적 이견 표출을 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그는 미국의 인터넷 언론 ‘인디펜던트 저널 리뷰’와 한 기내 회견에서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계속하면 “오늘 서 있는 지점보다 훨씬 더 위험한 곳에 서 있는 우리를 발견할 것”이라고 군사행동 가능성을 노골적으로 내비쳤다. 이런 점에서 4월 초 미-중 정상회담은 한반도 운명을 ‘전쟁과 평화’ 중 한쪽으로 가르게 할 결정적인 계기가 될 수 있다. 중국의 더 강한 대북 압박을 요구하는 미국과 북-미 대화를 통한 북핵 해결을 강조하는 중국이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한반도엔 큰 재앙이 닥칠지도 모른다.


정부 당국과 여야 정치권은 한반도의 운명이 다른 나라의 손에 의해 불행한 방향으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최대한의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지금은 한국전쟁 이후 가장 위기지수가 높은 시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한도 경거망동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