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끝이 좋아야 아름답다

● 칼럼 2017. 4. 4. 20:28 Posted by SisaHan

끝이 좋아야 아름답고 귀하다. 끝이 좋으면 모든 게 좋아 보인다.
글의 서두를 이렇게 시작하면 벌써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지, 아니면 누군가를 떠올리는 이들도 많을 것이다. 요즘 끝이 안좋은 모습들로 인해 장삼이사들의 입길에 오르내리며 세인의 지탄을 받거나 가슴 아프게 하는 이들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국민을 하늘처럼 받들며 잘 섬기겠다고 약속했던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에 그치지 않고 이제 감옥문 앞에 서있다. 그녀의 추락은 열렬한 국민적 지지와 신뢰를 배신한 업보요 스스로 무덤을 판 것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국가적으로 재연돼서는 안될 오욕이기도 하지만, 인간적으로도 최고 권좌에서 하루 아침에 급전직하했으니 그야말로 서글픈 일이다. 무엇보다 철권통치 끝에 비명에 간 독재자 아버지의 비참한 권력말로에서 교훈을 얻기는커녕 그대로 전철을 밟아간 어리석은 권력자의 뒤끝에 깊은 연민과 안타까움이 남는다.

얼마 전 퇴임한 버락 오바마 전 미국대통령은 8년간 재임했다. 그가 역대 대통령 가운데 퇴임 직전 지지율이 가장 높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인기가 얼마나 좋았으면 대선 경선이 진행 중인 프랑스에서 대통령으로 추대하자는 호사가들의 제언이 나왔겠는가.
그의 인기를 논하기에 앞서 눈여겨 볼 대목이 있다. 취임 당시 사진과 퇴임 때 사진을 비교해 보면 왜 오바마의 퇴장을 아쉬워하며 그에게 박수를 보내는지를 짐작할 수가 있다. 그 사이 주름살이 깊어진 얼굴, 하얗게 센 머리가 눈에 띈다. 재임 중 시달리고 고심했던 노고를 그의 풍모에서 읽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의 노고가 비선들에 둘러싸여 권력을 농단하느라 그랬다면 그런 인기가 나왔을까. 국가기강을 무너뜨리고 공직 시스템을 파괴하느라, 또한 헌정질서를 짓밟느라 그랬다면 박수 속에 퇴장할 수가 있었겠느냐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으로 존경을 받았던 우루과이의 호세 무히카 대통령도 퇴임 때 65%의 지지율을 보인 것으로 유명하다. 당선될 때의 52% 지지도가 5년 후 퇴임 때 훨씬 높아진 것이다. 그는 대통령궁을 노숙자 쉼터로 내주고 대신 수도 몬테비데오 근교의 아내 소유 농장에 거주했다. 집에는 두 명의 경호경찰과 개 한 마리 뿐이었다고 한다. 재산목록은 농기구 몇 개와 트랙터, 그리고 낡은 자동차 한 대였다. 그는 퇴임 후에도 아내와 농사를 지으며 연금의 90%를 기부한다고 한다. 무욕(無慾)의 헌신봉사가 그의 삶에는 큰 축복으로 임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우리의 그녀는 전임 장사치 대통령의 잘못을 답습하며 재임기간 하루도 국민을 편하게 해준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가 떠나니 세월호가 올라왔다는 말은 얼마나 의미심장한 국민들의 탄식인가.


그는 4년 동안에 얼굴의 주름살이 없어지고 훨씬 ‘젊어지고 예뻐져서’ 청와대를 나왔다. 거꾸로 나라는 정치·경제·외교·문화 할 것 없이 망가지고 갈라지고 삭막해져서 어디 한구석 성한 데가 없게 됐다. 나라와 국민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용모와 비선과의 희희낙낙에 노심초사했다는 이야기 밖에 달리 설명할 재료가 없다.
멋진 영화는 마지막 장면이 오래도록 뇌리에 남는다. 유명 소설은 지루한 전개에도 불구하고 결말에서 극적인 반전으로 독자에게 감명을 주는 경우가 많다. 경기 초반에 지지부진 했어도 9회말 공격에서 끝내기 홈런으로 승부를 결정짓는 짜릿한 맛에 ‘야구는 9회말’이라는 조어도 회자된다.
유종의 미(有終之美), 곧 끝이 좋다, 좋아야 한다는 말이다. 끝이 좋음으로 이전의 모든 것이 좋아질 수 있다는 뜻 또한 담겨있다.
 
사람에게 특히 끝이 좋아야 함은 물론이다. 젊어서 철없이 굴며 부화방탕했어도 참회하여 진중하고 고매한 모습으로 노후를 맞는다면 그의 삶은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아무리 천하를 호령한 영웅호걸이라 해도 말년이 볼썽 사나우면 삶 전체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손가락질 당하기 십상이다. 성경을 보아도 지혜로운 군주의 대명사인 솔로몬 왕은 하나님의 계율을 어기고 여자와 우상에 빠져 말년을 망치고 말았다. 그러나 살인자였던 모세는 출애굽의 민족적 지도자가 되었으며, ‘죄인 중의 괴수’라고 자평했던 바울은 위대한 사도가 되었다. 그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을 마치고”라고 인생을 돌아보며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되어 있다“고 유종의 아름다운 삶을 기쁨으로 확신했다.


‘헛되고 헛되도다’는 성경의 준엄한 가르침에도 아랑곳없이 최근 ‘변칙세습’으로 추한 말년을 보인 어느 대형교회 목회자의 모습은 많은 성도들과 한국교회에 실망을 안겨준다.
교회 밖 속세라고 다를 바 없다. 정치 사회의 큰 인물들이 부끄럽고 허망한 말로로 사람들에게 안겨주는 낙담과 원성은 국민들과 나라에 두고두고 오랜 상흔으로 남게 마련이다.


< 김종천 편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