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는 평생 세 마리의 용과 씨름을 해야 한다. 공교롭게도 이 세 마리의 용은 모두 F로 시작한다. 먼저 첫 번째 용은 Finance(재정적인 문제). 어느 통계를 보니깐 북미 이민교회 74%가 100명 미만의 교회이고, 500명이 넘는 교회는 전체 5.4%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절대 다수의 목사들이 불완전 고용상태에서,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목회를 한다. 재정문제, 목회자가 평생 싸워야 할 문제이다.
두 번째는 Fatigue(만성 피로). 많은 목회자들이 새벽 기도부터 시작되는 과로로 항상 피곤한 상태에 있다. 목사는 피곤한 인간들이다. 내가 아는 선배 목사님은 새벽 기도회를 위해서 교인들을 픽업하러 가다가 졸음운전으로 교통사고가 나서, 그만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으셨다. 그 후 사모님과 어린 두 자녀는 참으로 어려운 시간을 통과해야만 했다.목사의 자리는 대체(replace)가 되는데 아빠의 자리는 안 된다.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용은 Frustration(좌절감). 세상 모든 일이 내 마음대로 안 되지만, 목회는 특히 그렇다. 항상 예기치 못하는 변수와 복병을 만나게 된다. 절대로 열심히 한다고 다 되는 것이 아니다.


보통 사람들이 말하는 목회의 성공 기준은 다음 세 가지이다.(목회 성공의 ABC) Attendance(교인수), Buildings(교회 건물), Cash(교회 재정). 이 기준으로 보면 대부분의 목회자는 좌절과 실패의 감정에 쌓여서 살 수 밖에 없다. 실제로 미국 한 논문을 보니 목회자의 70%가 목회를 한 후에 자신의 자존감(self-esteem)이 현격히 떨어졌다고 한다. 다르게 말하면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나는 실패자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J. R. 브릭스 목사가 쓴 ‘목회, 성공은 없다’(영어제목은 Fail이다)에는 이런 말이 있다. “목회 성공이라는 거울은 마치 놀이동산에 있는 굽은 거울과 같아서, 우리의 참모습을 보지 못하게 하고 우리를 한 없이 작게 만든다.” 참으로 의미심장한 말이다.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잘못된 목회 성공 신화 때문에 열등감속에서 목회하다가 열등감속에서 목회를 마치게 된다. 이것은 소위 잘 나가는 대형교회 목사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큰 교회를 목회하는 분들과 며칠 함께 지내면서 교제하는 시간을 가졌었는데, 나는 그 분들 안에서도 많은 목회자들 안에 있는 좌절감, 열등감, 자기 방어 심리를 강하게 볼 수 있었다. 어쩌면 대형교회 목사들 역시 이런 불안 심리와 도피 심리 때문에 성공의 정점에서 학력위조, 설교표절, 성적 탈선의 길로 빠지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오래전에 헨리 나우웬이 채플린으로 있었던 데이브레이크 공동체(Daybreak Community)에서 사역하는 한 여성 목사를 만난 적이 있었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I am ugly.’(나는 못났어.) 이렇게 자신을 생각하면서 낮은 자존감에 시달렸다고 한다. 그러다가 신학교를 마치고 캐나다 중부에서 목회를 했는데, 10년 목회 후에 교인들로부터 더 강하게 ‘I am ugly.’라는 메시지를 듣게 되었고, 깊은 좌절감에 더 이상 목회를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그 때에 헨리 나우웬을 만나서 함께 장애우 사역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장애우들과 함께 살면서 그들로부터 들은 메시지는 “You are beautiful.” 이었다고 한다. 장애우들이 보여준 무조건적인 신뢰, 의존, 수용을 통해서 그녀는 비로소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unconditional love)을 깨닫게 되었다고 고백하였다.
그렇다 목사는 하나님 앞에 선 사람이다. 그래서 늘 하나님의 음성을 들어야 한다. 실패와 좌절 가운데서도 우리에게 변함없이 사랑의 음성을 들려주시는 하나님께 귀를 열어야 한다. 그리고 십자가를 통해서 성공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을 계속해서 배워야 한다. 그래야 좌절감을 극복하고 목사에게 주어진 길을 성실히 끝까지 걸어갈 수 있다.

< 고영민 목사 - 이글스필드 한인교회 담임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