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마초문화와 #Me Too

● 칼럼 2018. 3. 6. 19:47 Posted by SisaHan

대학과 군대를 마치고 기자생활을 시작했을 때의 예상치 못했던 딜레마가 기억난다.
당시만 해도 선배를 따라 도제식(徒弟式) 훈련을 받아야 하던 시절이었기에, 첫 시련은 체질 자체를 거친 모습의 ‘진짜 기자같은 모습’으로 바꿔야 한다는 강박관념이었다. 신문기자로 필명을 날려보겠다는 의욕과 매섭고 날카로운 기사를 써서 불의와 부정을 들춰내 사회정의 구현의 첨병이 되겠다는 병아리 기자의 멋진 포부는 아직은 먼 나라의 순박한 무지개 꿈이었다. 당장 쏟아지는 미션들에 허덕이며 “야 임마, 그 정도 밖에 못해!”라는 선배들의 질책과 주눅도 그랬지만, “기자는 그렇지 않아?”식의 기자라는 직업인을 바라보는 세상 사람들의 단정적이고 정형화된 시각에 당황하며 수습기자로 밤낮없이 뛰어야 했으니 정말 정신없고 고달팠던 기억이 남는다.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흔히 “기자는 날렵하고 치밀하게 취재하며, 두둑한 배짱으로 취재원을 얼르고 달래는데 능숙할 뿐더러 자료를 빼내는 수완이 탁월하고, 글을 잽싸게 잘 쓸 뿐만 아니라, 술도 잘 마시고, 음담패설에 노는 데도 일가견이 있어야…” 한다는 ‘만능 인간상’이 유능한 기자의 등식처럼 회자되었다. 그렇지 못하면 ‘무능한 낙오기자’처럼 보이게 되니, ‘강짜 기자모습’ 구현이 수습시절 기자들에게는 정말 시급한 성취 과제가 아닐 수 없었다. 그러니 심야나 새벽잠을 설치며 뛰쳐나가 일선 경찰서나 검찰청을 오갈 때는 험상궂게 생긴 큰형님 뻘 강력계 형사 혹은 검사들과 어색한 반말 수작에 젖먹던 용기까지 짜내고, 일 잘하는 기관장 공연히 다그쳐서 정보나 자료를 얻어내면 선배들 앞에 의기양양해 하는 범새끼 기자들로 희열을 느끼며 커가는 것이다.


문제는 만년 서생타입에 비윗살도 없고, 동료는 물론 후배에게도 심한 말 한번 제대로 못하는 사람에게는 ‘본질’ 이 쉬이 바뀔 리가 없어 정말 큰 고통과 심적 갈등의 연속일 수밖에 없다. 용하게도 그런 시절을 견디고 후배들이 늘어날 때쯤 되면서는 기자사회의 인식과 분위기가 많이 바뀌어 점잖으면서도 학구적인 기자들이 많아지는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니 다행이랄까. 그래서 막말이 없어도 일하는데 큰 지장은 없게 되고…. 그럼에도 ‘마초적 기자상’에 대한 고정관념은 여전히 저변에 흐르고, 지금도 사람들 뇌리에 남아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서 그런 강성의 거친 체질, 마초적 스타일이 요구되고 환영받고 고착화된 것이 비단 언론계 뿐인가. 크고 작은 기업의 회사원들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상사와 부하가 존댓말로 업무를 보고 서로 존중하고 받들며 일하는 직장이 과연 몇이나 될까. 상사는 유약해선 안된다. 부하를 인격으로 유순하게 다루면 무능한 리더요 때로는 부하가 머리 꼭대기에 올라선다고 느낀다. 실제로 ‘무능해 보이는’ 윗사람을 무시하고 머리 위에 올라서는 일들도 비일비재하다. 범죄 피의자들을 다루는 경찰이나 검찰처럼 환경 자체가 거칠고 힘있는 기관일수록 ‘마초기질’은 권장된다. 최근의 성추문들도 그런 풍토에 연유한 바가 없지 않을 것이다.


거칠고 우락부락한 ‘호방 스타일’로 분위기를 휘어잡는 사람이 유능한 리더라는 이미지가 일반적인 현실에서 윗자리의 힘을 가진 갑의 사람들은 그에 충실하지 않으면 도태를 걱정해야 한다. 그 강성이 실력이 출중하고 능력이 탁월한데서 출발한다면 별 문제될 게 없을 것이다. 그렇지 못하면서 허장성세로 군림하려다 보니 비정상적인 상하의 인간관계, 비인격적인 위계질서와 혼탁한 직장문화가 생겨나는 것이다. 거기서 무리한 언어폭력이 나오고, 억압과 갑질의 풍토가 자리잡고, 남녀를 불문한 음담패설에 성적인 언행의 수위가 높아져도 아무렇지 않게 여기는 무감각이 반복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는 감각들이 깨어나기 시작했다!. 그것은 인간의 본능과 욕망의 문제로만 치부할 수 없는 오랜 사회구조와 관습의 문제에 대한 도전으로도 보인다. 무조건 선배나 윗사람이라고 혹은 힘있는 권력자라고 관용하는 습성, 어떤 직업인에 대한 근거없이 고착된 정형의 이미지를 깨려는 거센 파도일 수도 있다. ‘그런 부류의 사람들은 마초적 인간상을 갖는 게 당연하다’는 통념에 대한 반격이요 비정상과 불평등을 향한 통절한 외침으로 여겨진다.


요즘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미투’(Me Too) 고발에, 정도의 차는 있을지언정 과연 자유로운 분야나 직장이 있겠는가. 여성은 다소곳하며 순종적이어야 하고, 남성은 강한 지배자 체질을 갖춰야 한다는 오랜 관념과 관습, 여전히 ’유리천장‘ 에 눈물 흘리는 이들이 많은 환경에도 그 근인(根因)이 있다고 본다면, 사회전반의 ’마초 리더쉽 철학‘을 뜯어고치고 무력화시킬 때에야 비로소 그 최종적 해법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 김종천 편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