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누구를 탓할까?

● 칼럼 2011. 9. 16. 19:59 Posted by SisaHan
2주 전 루이비통코리아로부터 인천공항 면세점 개장 관련 기자간담회 연락을 받았을 때 담당 기자 대부분의 반응은 “뭐하자는 시추에이션?”이었다.
엄청난 자연재해가 발생하거나 원자력 발전소라도 터지지 않는 이상 달력의 빨간 날에 기자간담회가 열리는 경우는 전무하다시피 하다. 게다가 이날은 1년 중 50번 있는 그냥 빨간 날이 아니라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 휴일이었다.
주최 쪽인 루이비통코리아나 루이비통이 입점한 신라면세점의 운영자인 호텔신라는 “10일이 개장일이라 어쩔 수가 없었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럴 경우 간담회는 보통 개장 전날 이뤄진다.
말 많고 탈 많았던 인천공항 면세점인지라 언론에 공개를 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프랑스에서 날아오는 루이비통 대표와 본사 스태프들이 한국에서 하루나 이틀 더 시간을 낼 만큼 한가한 사람들이 아니라는 게 주최 쪽의 말하지 못한 속내였을 게다.
고향 가는 열차표까지 취소하게 만든 루이비통의 일방적인 간담회 일정을 받으면서 “초대받은 게 굴욕” “진정한 슈퍼갑의 태도다” 농반 진반으로 가시돋친 반응이 오갔지만 어느 정도는 수긍이 갔다.
특혜 수준의 낮은 수수료 혜택을 주면서도 ‘입점만 해주신다면’ 하고 두 손 모으는 백화점들이 수두룩하고 아무리 가격을 올려도 사겠다는 소비자들이 줄을 서는데 한국 시장에서 뭐가 아쉬워 조금의 불편을 감수하면서 행사를 준비하겠는가 말이다.

지난 7월 런던 출장을 갔을 때 고급 백화점의 대명사로 꼽히는 해러즈백화점을 잠시 들렀다. 아동복 코너만 해도 베이비 디오르, 베이비 펜디, 베이비 구치 등 명품 브랜드가 빼곡한 이 백화점의 명품 매장을 가 보니 너무 소박해서 놀랄 정도였다.
한국에서는 명품 브랜드 입점의 기본에 속하는 대형 단독매장도 드물뿐더러 ‘명품 가방’을 일개 ‘가방’으로 다루는 종업원이나 손님들의 태도도 한국 매장과 달랐다. 누구나 쉽게 들어보거나 만져볼 수 있고 내키지 않으면 전시대에 살짝 던져놓더라도 도드라지지 않는 풍경이었다.
반면 한국은 어떤가.
명품 매장에 들어가 제품 하나 구경할라치면 흰 장갑을 낀 종업원이 신줏단지 모시듯 제품을 ‘모셔와’ 보여주면서 사실상 손님들의 접근을 은근히 차단한다. 그 앞에서 제품에 핀잔이라도 줬다가는 불경죄에 해당할 것만 같다.
해묵은 문제임에도 결코 해결되지 않는 애프터서비스는 또 어떤가. 얼마 전 한 친구는 명품 브랜드에서 산 구두의 밑창이 닳아 해당 매장에 가져갔더니 너무나 당연하다는 듯 수선이 되지 않는다는 대답만 들었다. 어이없는 대답에 친구는 그럼 어떻게 해야 되느냐고 다시 물었다. 대답은 이랬다고 한다. “그냥 버리세요. 저희 브랜드 신는 분들은 원래 그렇게 하세요.”
구두창 좀 갈아달라고 했다가 지지리 궁상맞은 소비자로 찍힌 내 친구는 그 브랜드에 발을 끊었지만 그 브랜드의 한국 매출은 해마다 승승장구하기만 한다.

못 만지게 하고 고쳐주지 않고, 이런 ‘무시’ 전략이 한국에서는 아이러니하게도 ‘희소성 가치’ 전략으로 바뀌어 소비자들을 점점 더 열광시킨다.
명품 소비가 이제 차별화를 넘어서 동조화 시대에 이르렀다고 한다. 남과 다르게 보이고 싶어서 명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도 가지고 있으니까 나도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명품 소비의 대중화를 가속한다는 것이다.
명품이 일상화된다는 현상 자체는 우려할 것도 자랑할 것도 못 된다. 다만 명품 소비가 흔해진다면 명품의 권위도 ‘갑’에서 소비자가 우위인 ‘을’로 바뀌는 게 정상인데 한국의 명품 브랜드들은 점점 더 ‘슈퍼갑’이 되간다. 누구를 탓할까.

< 김은형 한겨레신문 경제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