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저 땅에 평화를

● 칼럼 2018. 5. 8. 19:30 Posted by SisaHan

4.27 판문점 선언에 부쳐

처음 이곳에 이민 와서 학교 다닐 때, 역사시간에 한국전쟁을 “Forgotten War”라고 말하는 것을 잘 이해하지 못했던 적이 있었다. 그 이유가 한국전쟁이 싸운 명분이 없고 역사적으로 의미가 없어 잊혀진 전쟁인지, 아직도 전쟁상태인데 그걸 잊고 있어 그런지 그 뜻을 헤아릴 수가 없었다. 나는 포성이 멈춘 지 오래 돼서 전쟁이 끝난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아직도 전쟁 중이라는 사실이 이해 가지 않았다. 여기 학자들의 눈에는 실질적으로 아직도 전쟁 상태이고 지금은 휴전 중이었다. 언제 또 다시 전쟁이 재발할지 모르는 상태라는 것이다. 학생들은 내가 한국에서 왔다고 하면, 꼭 남쪽이냐 북쪽이냐를 물었다. 그리고 “아직도 전쟁 중”이거나 “언제 다시 전쟁을” 하는 투로 물었다. 한국은 세계유일의 분단국가이다. 게다가 비교적으로 막강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고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놓여있어 세계 평화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직간접적으로 세계 4대강국(미.중.러.일)의 이익이 맞물려 있어 한국의 평화는 세계평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얼마나 통일을 원하느냐는 사실도 중요하지만, 주변 강국의 이익이 얼마나 개입되어 있느냐는 사실도 중요하다.

동족상잔의 전쟁 때문이지만,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적대관계를 유지해왔다는 생각도 듣다. 4대 강국의 축의 하나인 구 소련이 붕괴되고 또 다른 축의 하나인 중국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고 일본과도 경제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었는데도 북한과는 조금도 관계를 개선치 못했다. 우리가 서로 전쟁 중인 나라로 생각한다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그런 관계가 개선되는가 했지만. 이명박, 박근혜의 보수정권이 지속되면서 북한과의 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았다. 북한은 지구상에서 우리의 최대의 적으로 자리매김을 했다.

평화와 공존의 시대가 반드시 와야 한다고 믿는다.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고 생각한다. 돌연 개성공단의 문을 닫게 한 이유 중의 하나가 그랬다. 실제가 아님이 누차 강조됐으나, 개성공단을 통해 번 돈으로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했다는 것이 보수측의 주장이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풍요한 남한이 도움을 주려 하는 경우에 반대측이 늘 내놓은 주장이다. 굶주린 백성들 먹여 살리라고 보낸 돈을 핵무기 개발에 쓴다는….

이번 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돋보인 이유가 우리가 그에 대해서 너무 몰랐기 때문이 아닐까? 다시 말하면 전 보수정권에서 그를 너무 부정적으로 국민들에게 알렸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나이 어린 철부지 독재자, 친인척 마저 잔인하게 처형하고. 핵무기를 개발하여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전쟁광…그런 것들이 우리가 대강 알고 있던 그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막상 그의 모습을 보니 너무 달랐다. 그도 사람이었다. 그리고 지도자였다. 남북의 두 지도자들이 판문점 회담 끝에 내놓은 선언문이 한국의 내일의 모습을 긍정적으로 희망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들의 회담 장면만을 보도 한 것이 아니라 만남에서 헤어짐까지 온 국민에게, 나아가 전세계에 보여준 것은 정말 잘한 일이다. 하루 만에 전에는 상상도 못했던 너무 많은 일들이 일어나 우리를 당혹하게 했다. 감동을 주고 기쁘게 했다.

물론 그들이 만나 대화를 하고 선언문을 하나 발표했다고 세상이 하루 아침에 바뀌는 것은 아니다. 당장 평화가 오고 통일이 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앞으로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른다는 것이 정확한 현실이다. 다만 분명한 것은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나갈지 방향을 제시했다. 전쟁보다 평화의 길을 제시했다는 사실이 이번 선언문의 진정한 의미라고 생각한다. 나는 수많은 동영상과 사진, 말들 중에 처음으로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을 넘는 장면이 가장 감동적이고 인상적이었다. 김정은 위원장이 넘고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땅을 밟고 그리고 둘이서 손잡고 넘은, 우리의 가슴에도 그어져 있었을 그 선… 누가 그 선을 그었는가? 그 선이 과연 넘어서는 안될, 넘지 못할 선이었던가?

< 박성민 - 소설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동포문학상 시·소설 부문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