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고려인 (카레이스키)

● 칼럼 2018. 8. 29. 12:36 Posted by SisaHan

나는 얼마 전에 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고려인에 대한 특집 방송을 보게 되었다. 고려인이란 러시아에 살고 있는 동포들을 말한다. 그들이 누구인가를, 그들은 어떻게 살고 있나 궁금한 점이 많았다. 나도 그들과 다름없이 조국을 떠나온 동포 중의 하나이다. 우리 아이들은 2세가 되고, 곧 3세가 될 것이다. 흔히들 해외에 나와 사는 사람(동포)을 이야기할 때, 중국. 북미, 일본 이외의 동포들에 대해선 그들과의 접촉도 없었고, 그들의 살아온 과정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특히 구 소련에 이주한 사람들의 이야기에는 잘 모르고 있었다. 일제 때 사할린에 강제 노역으로 끌려간 동포들의 고향방문 이야기는 어렸을 때, 신문에 뉴스로 간간히 나오곤 했다.


지금 이야기하는 고려인들은 일제 때 두만강을 건너 러시아로 갔거나, 또는 만주를 거쳐 러시아로 간 사람들이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관계로 그들이 삶의 터전을 찾아 그리로 이주한 것은 이해하겠는데, 어떻게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는지 사뭇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허허벌판인 곳에서 살아남았으며 어떻게 우리의 문화와 전통을 유지했는지, 같은 고향을 떠나 온 사람으로 궁금했기 때문이다. 사실 스탈린의 독재와 강압 정치는 역사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몇 십 만 명을 넘는 사람들이 그의 명령 하나로 이주했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벌판인 땅에 버려져 거기서 벼를 심어 농사를 짓기에 성공했다는 사실은 대단한 일이다.


그들은 구 소련이 무너지고 주로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 살다가, 그 두 나라가 한국과 교류가 빈번해지고 자유스럽게 왕래하기 시작하자 적지 않은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살고싶어 하고 또 살려고 한다. 이 점은 몇 해 전의 중국의 조선족을 생각하게 한다. 이들은 조선족처럼 외모가 우리와 같았다. 다만 한국어를 못했는데, 이유는 스탈린의 강압정책 때문이라고 한다. 그들이 한국어를 배우면 이내 배울 거라 생각하며 5세까지 내려오며 한국인임을 지켜온 그들을 존경한다.
그들이 한국에 정착하려는 이유가 경제적인 문제 때문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피부 빛과 외모에서 오는 차이는 어쩔 수 없는 것이다. 3세이든 4세이든 그들은 이웃과 다른 외모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 이민 3세가 한국으로 오는데, 같이 온 아이들은 이민 4세여서 동포로서의 국내 거주 자격이 없다고 한다. 학교를 다니던 자녀들은 성인이 되면 한국을 떠나야 한다. 나는 사실 해외 동포 법을 잘 모른다. 해외에 살면서 국민으로 해야 할 의무는 전혀 행사하지 않으면서 어떤 권리를 주장한다는 것도 논리에 맞지 않는다. 물론 우리는 한국민이 아니다. 한국인이다.


많은 이들이 현 해외 동포 법이 북미 같은 잘사는 나라의 동포들을 위한 법이라고 한다. 해외에 흩어져 사는 많은 동포들이 같은 조건 아래 살고 있지는 않다. 또 그에 따라서 조국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를 수도 있다. 이제 한국이 잘 사는 나라가 되어 이곳 캐나다 생활을 접고 역 이민 가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엄연한 현실을 말할 때 한국에 나가 영주하려는 2세나 3세가 얼마나 될지 나는 모른다. 모든 문제에 있어서 감정적인 문제가 있고 그 다른 면에는 이성적인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한 국가에는 법과 원칙이 있는 것이다. 그것은 쉽게 바뀔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한국정부의 입장에서는 그들을 받아들여 동등한 대우를 하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해외 동포 법이 잘못된 점이 있다고 해도 어느 한 지역의 동포만 다르게 대할 수는 없는 일이지만, 다른 환경과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그 살아온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감정적인 이야기지만 자신은 한국인이라 해서 한국에 왔는데, 너의 부모까지는 동포이고 너는 아니라고 한다면, 그들이 한국에도 정착 못하고 우즈베키스탄에도 정착 못하는 떠돌이가 된다면…. 고려인 4세와 5세를 진정한 동포로서 받아들일 수 없을 만큼 우리 한국이 작은가?

< 박성민 - 소설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동포문학상 시·소설 부문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