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이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을 남겨달라’는 유서를 남기고 홀연히 세상을 떠난 지 어느덧 2년의 세월이 흘렀다. 생명의 푸름이 가장 빛을 발하는 오월, 그가 없는 빈자리는 더욱 쓸쓸하고 애달프다. 날이 갈수록 나라 형편이 어지러워지고, 그가 꿈꾸었던 ‘사람 사는 세상’이 아득히 멀어지고 있는 현실도 그를 그리는 마음을 더욱 간절하게 한다.

하지만 이런 분노와 허탈함 속에만 마냥 빠져 있을 수는 없다. 아무리 현실의 벽이 단단하고 높아도 고인이 매달았던 깃발을 내릴 수는 없다. 반칙과 특권의 폐지, 국민이 주인 되는 세상을 만드는 일은 그를 사랑했던 많은 사람들에게 남겨진 거부할 수 없는 과제다. 현 정권의 실정이 거듭되면서 희망을 말하는 목소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한동안 불가능한 것으로만 보였던 진보개혁 세력 집권에 대한 희망의 불씨가 살아나면서 노무현 정신의 계승과 발전 문제를 둘러싼 정치권의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노무현 정신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느끼고 강조하는 대목이 다를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어렵더라도 원칙을 지켜나가는 것, 당장은 손해를 보더라도 국가와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면 흔들리지 않고 나가는 용기가 바로 노무현 정신의 요체가 아닐까 한다. 생전에 ‘바보’라는 소리까지 들었던 그의 우직성이야말로 요즘 정치인들이 가장 귀감으로 삼아야 할 대목이다. 지금 노무현 정신을 말하는 정치인들은 과연 그 정신에 투철한지 가슴에 손을 대고 생각해보라.

야권의 지난 2년을 되돌아보면 통합보다는 분열, 단결보다는 갈등의 모습이 더 많았다. 특히 친노세력을 표방하는 세력이 뿔뿔이 흩어져 반목하는 모습은 노 전 대통령을 사랑하는 많은 유권자들을 당혹하게 만들었다. 물론 한때 한솥밥을 먹던 정치세력도 세월이 흐르면 분화하는 게 정치 세계의 자연스러운 모습일 수 있다. 기계적인 통합과 단결만이 능사도 아니다. 하지만 조그만 차이를 극복하려 하기보다는 차이점을 강조하는 뺄셈의 정치, 더 큰 공통의 목표를 향해 단결하기보다는 눈앞의 이익만을 챙기려는 속좁음, 입으로는 노무현의 도전정신을 말하면서도 허허벌판 광야가 아니라 문전옥답 기름진 땅에만 매달리는 약삭빠른 태도는 없었는지 겸허히 뒤돌아볼 일이다.  이제 노 전 대통령의 2주기를 맞아 야권은 이런 소아적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노무현 정신은 특정 정치세력의 전유물이 될 수도 없고 없고 돼서도 안 된다. 그가 남긴 뜻이 진보민주세력 전체의 공통 자산으로 뿌리내리고 자라나도록 힘을 모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