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안티에이징’ 전문의 아오키 아키라의 「생활 건강법」

건강을 위한 그의 노력은 ‘쪼잔할’ 정도다. 아무리 작은 쓰레기라도 바로 바로 버린다. 현관에서 20m쯤 떨어진 쓰레기장까지 여러번 왕복하기 위해서다. 일부러 작은 봉투에 나눠 버리기까지 한다. 텔레비전도 리모컨을 쓰지 않고 수동으로 조작한다. 초인종을 누르면 모니터에서 확인하지 않고 직접 현관까지 나간다.
지난 6년간 이렇게 걸어서 하루 1만보씩 꼭 채웠다. 그냥 걷는 게 아니다. 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만보기는 게임기와 연결해놓았다. 하루 걸은 만큼만 컴퓨터 게임을 할 수 있다. 적게 걸으면 조금밖에 놀지 못한다. 걷기와 놀이를 결합한 것이다. 손목에 찬 나이키 건강밴드로는 하루 활동량을 측정한다. 이 활동량은 소셜네트워크(SNS)를 통해 친구들과 공유하게 해놓았다. 경쟁적으로 많은 활동을 하려는 의도다.


“첨단 도시에서도 원시인처럼 살아야 건강하다.” 일본 최고의 ‘안티에이징’ 전문 의사인 아오키 아키라(54)의 주장이다. 그의 건강법은 간단하다. 불편하게 살수록 건강해진다는 것이다.
지난달 30일, 일본 요코하마 전철역 근처 자신의 병원에서 만난 그는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죽을 때까지 건강하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당연한 말로 그의 건강법 설명을 시작했다. “현재 일본의 100살 넘은 노 인 5만명 가운데 80%는 누워서 연명합니다. 죽는 날까지 마음껏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진정한 건강입니다. 편리함을 조금만 멀리하고 불편함과 부자유를 감수하면 그 길이 열립니다”라고 말한다.
그는 많이 걷고 조금 달린다. 일년에 두번 정도만 풀코스(3시간55분대) 마라톤을 뛰고 매일 5㎞ 정도를 달린다. “풀코스 마라톤을 하면 달리는 동안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가 많이 나옵니다. 또 무릎이나 허리가 나빠질 가능성도 높지요. 100만년 전 원시인들은 사냥감을 쫓아서 하루 5㎞ 정도 뛰었어요. 그 정도가 건강에 가장 좋습니다.”
그는 원시인처럼 살기 위해선 원시인들이 지녔던 오감을 되살려야 한다고 말한다. “오감이 둔해지면 각종 호르몬의 균형과 대사를 담당하는 자율신경이 둔해져요. 외부 자극에 둔해지면 쉽게 질병에 걸리게 돼요. 신체 내부로부터 위험에 노출되는 거죠.”


그래서 그는 ‘과거의 뇌’를 중시한다. 인간의 뇌는 과거의 뇌(구피질)와 새로운 뇌(신피질)로 이뤄져 있다. 생선과 파충류한테는 과거의 뇌만 있다. 과거의 뇌는 식욕과 성욕 같은 본능과 쾌감 등 정서를 관장하고, 자율신경과 밀접하다. 새로운 뇌는 사고와 논리, 언어 등의 지적 활동을 관장한다. 인간은 새로운 뇌가 발달하며 문명을 창조했으나 그 대가로 과거의 뇌는 퇴화됐다. “과거의 뇌를 자극하는 노력을 해야 두 뇌 사이에 균형이 잡히고 몸속 깊은 곳으로부터 생기와 활력이 샘솟게 됩니다.” 그래서 그는 밤하늘의 별을 보며, 자연 속에서 자연을 느껴야 건강하다고 강조한다.
또 원시인처럼 살기 위해선 ‘지구 시간’에 맞춰 생활해야 한다.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쉬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두워지면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분비됩니다. 햇빛을 쬐면 활동적인 세로토닌이 분비됩니다. 이 생체 리듬이 깨지면 질병이 생깁니다. 어두운 공간에서 자야 하는 이유가 있는 거죠.”


그 역시 젊은 시절엔 불규칙한 생활로 천식, 불면증, 변비, 설사, 두통, 전신 권태감 등 갖가지 질병에 시달렸다. 그러다가 홋카이도에 군의관으로 부임해 야영생활을 하며 건강을 되찾았고, 원시인의 건강법에 눈을 떴다.
특히 그는 도시인에게 “중력을 느끼라”고 권한다. “편리한 교통수단과 에스컬레이터, 앉아서 생활하는 것은 지구의 중력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몸은 중력을 느끼지 않고는 건강을 유지할 수 없어요. 우주비행사가 우주에 한두달만 머물면 근육량이 줄고, 골다공증까지 걸립니다.”
그의 원시건강법엔 식사도 중요하다. 가능한 한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자연식품의 섭취를 늘리되, 60~80%의 포만감을 느끼도록 절식하라는 것이다. “윈시인들은 대부분 위가 텅 빈 상태에서 살았어요. 인류는 굶주림과 싸우면서 굶주림에 강한 몸을 얻었죠. 현대인처럼 위와 장에 줄곧 음식이 차 있는 것은 비정상입니다. 포식의 시대에 살면서 조금만 배고파도 조바심에 사로잡혀요. 그 결과 당뇨병과 동맥경화 환자가 급증하게 된 거죠.”


그는 도시인들에게 ‘간단한 주말 단식’을 권한다. 단식이라고 하지만 음식을 아예 먹지 않는 것은 아니고, 고형물만 피하는 것이다. 요구르트나 채소 주스로 식사를 대신해 배고픔을 참을 필요는 없다. 약간의 허기를 느끼는 정도로 몸과 마음을 ‘리셋’할 수 있다. 간단 주말 단식은 혈당치를 안정시키고 불면증과 피로감을 크게 개선시킨다. 또 체지방률과 내장지방을 줄여 비만을 해소하고, 신체를 일시적으로 기아상태로 만들어 오감이 예민해지며 장기 활동이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주말 단식은 금요일 밤에 시작해서 일요일 밤에 끝나요. 2주에 한번씩 세 차례만 하면 전혀 다른 몸을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그의 건강법은 그리 어렵지 않다. 할 수 있는 것만 편한 마음으로 하면 된다.
현재 준텐도대학의 안티에이징 교수인 그의 건강법은 최근 <불편해야 건강하다>는 제목으로 소개됐다. 그는 이미 <젊어지는 식사와 생활> <좋은 수면이 당신을 10년 젊어지게 한다> 등 10여권의 안티에이징 저서를 냈다. 그는 “한국인들은 쌀을 많이 먹는데, 원시인들은 수렵·채집 시대에 훨씬 적은 양의 당질을 섭취했어요. 가능한 한 당질 섭취를 줄이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고 조언했다.
< 이길우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