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그리고 음식을 씹을 때 중요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이 관절에 장애가 생기면 당장 입을 벌리거나 음식을 씹기 힘들 수 있다. 더 심해지면 얼굴 한쪽이 비틀어져 비대칭이 나타나거나, 목뼈나 척추가 휘어지기도 한다. 관련 전문가들은 스트레스를 겪을 때나 긴장할 때 이를 꽉 무는 습관, 딱딱한 음식을 즐겨 먹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얼굴·치아예도 영향‥ ‘턱관절 장애’ 원인과 대처

■ 턱 통증에 더해 두통, 소화불량까지: 턱관절 장애는 크게 위아래 턱관절이 닿는 관절 부위의 디스크나 관절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와 씹는 근육을 포함한 관절 주변 근육에 문제가 있는 경우로 나뉜다. 물론 관절과 근육을 떼놓을 수는 없기에 둘의 복합적인 문제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증상은 입을 벌리면 턱에서 ‘딱’ 하는 소리가 나거나, 입을 벌리거나 식사를 하는 등 턱을 움직이거나 턱 주변 근육을 만졌을 때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 특히 하품을 할 때 자주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또 음식을 씹을 때 치아가 맞물리지 않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 목이나 어깨 결림, 잦은 두통, 만성 피로, 소화 불량 등과 같이 턱관절과 관련없어 보이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턱관절 장애가 계속 진행되면 얼굴의 좌우 균형이 무너져 얼굴이 한쪽으로 비틀어지는 안면비대칭이 생기거나, 목의 척추가 휘어지기도 한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골격이 완성돼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턱관절장애의 합병증으로 안면비대칭 등으로 더 잘 진행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스트레스 취약한 여성이 더 많아: 턱관절장애의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스트레스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에 취약한 여성에게 턱관절장애는 더 많다. 스트레스를 과하게 받으면 턱근육에 분포돼 있는 신경이 수축되고 이에 따라 관절 주변의 조직이 약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턱관절을 받쳐주는 근육에 힘이 떨어져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뜻이다. 또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어깨, 목, 머리 등 턱관절 주변 근육이 긴장해 턱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실제 통계를 보면 2012년 기준 턱관절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여성이 약 17만7천명으로 남성의 11만6천명에 견줘 47%가량 많다.

■ 턱관절에 무리 주는 생활습관 고쳐야: 턱관절장애로 턱의 통증이 불편하면 진통소염제나 근육이완제 등으로 통증을 다스릴 수 있다. 또 머리와 목, 어깨에 있는 근육을 이완시키는 체조나 요가, 스트레칭 등을 해도 증상이 개선되기도 한다. 하지만 턱관절장애가 많이 진행되면 턱관절을 안정화하는 ‘교합 안정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위아래 치아 어느 한쪽 전체를 덮는 장치로 위아래 치아의 균등한 접촉을 가능하게 해줘, 턱관절에 가해지는 힘을 줄임으로써 관절과 근육의 안정에 도움을 준다. 이런 장치를 쓴 뒤에도 더 심해지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턱관절장애의 초기 단계에는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우선 딱딱하고 질긴 음식을 즐겨 먹었다면 이는 피해야 한다. 또 갑자기 입을 크게 벌리거나, 자면서 이갈이를 하거나, 이를 꽉 무는 습관 역시 턱관절 건강에 해로운 습관이므로 교정해야 한다. 아울러 턱을 괴거나 한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습관도 좋지 않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살 수는 없겠지만, 스트레스 상황을 최대한 줄이도록 해야 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호흡법 등을 익히는 것도 필요하다.
<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