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재조치로 불안정해진 비트코인.

중국정부 거래중단 조치에 가격 급등락
통제수단 없어… 북한 돈세탁 차단 목적설

지난 12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투자자 대상 콘퍼런스. 미국 최대 은행인 제이피(JP) 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이 이렇게 말했다. “가상 화폐 비트코인은 사기(fraud)다. 마약 거래상이나 살인마, 북한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폐다. 사태가 17세기 네덜란드의 ‘튤립 버블’보다도 심각하다.”


끝을 모르고 치솟던 가상 화폐 비트코인 가격이 널뛰기를 하고 있다. 지난 2일 5013.91달러(약567만8200원)까지 치솟으며 6개월 새 5.2배 가량 몸값이 올랐던 비트코인이 15일 한때 2951.15달러를 기록했다. 다이먼 회장의 언급과 함께 중국발 브레이크에 걸려 주춤하는 모습이다. 중국 인민은행과 금융기관은 지난 4일 가상화폐 자금 조달 수단인 가상화폐공개(ICO)를 불법으로 규정했다. 여기에 중국 최대 비트코인 거래소인 ‘비트코인 중국’(BTC차이나)과 웨이비트가 오는 30일부터 모든 거래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비트코인 시장 전반에 충격을 던졌다. 하지만 급락세가 오래 이어지진 않았다. 17일 오후 1비트코인은 3542.98달러였다.
다이먼 회장이 언급한 튤립 버블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최초의 자본주의 투기 현상이다. 귀족과 신흥 부유층이 갓 수입된 튤립에 경쟁적으로 투자하면서 1개월만에 50배 이상 가격이 뛰었으나 거래량이 줄어들고 법원이 튤립의 재산 가치를 인정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수천분의 1 수준으로 폭락했다. 비트코인 시장의 불안정성이 이어지면서 튤립 버블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은 세계 비트코인 시장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중국의 규제 여파가 다른 국가로 확산되면서 가격 하락세가 계속될 것이란 심상치 않은 관측이 잇따른다. <파이낸셜타임스>를 보면 영국 금융행위감독청(FCA)은 지난 12일 가상화폐공개 투자가 매우 위험하다고 경고하면서 관련 투자가 악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투자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일본 국세청도 이날 가상화폐 거래를 통해 발생한 세금을 ‘잡소득’으로 분류하고 최고 45%의 세금을 매기는 한편 10월부터 전담 감시팀을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당국의 가상화폐 단속은 우선적으로는 당국이 통제하기 어려운 화폐를 단속하기 위한 것이지만, 북한이 국제 사회의 제재를 피해 돈세탁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이용할 것이란 전망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있다. 비밀리에 거래가 가능한 가상통화는 자금줄이 막혀 있는 북한엔 훌륭한 자금 조달 수단이 될 수 있어서다. 미국 사이버보안업체 파이어아이는 북한이 올들어 한국의 가상화폐 거래소 3곳에 대해 해킹을 시도했고, 지난 5월엔 해킹에 성공한 바 있다고 밝혔다. 카이저 쿼 바이두 전 대변인은 <섭 차이나>에 “최근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촉발된 각국의 대북 제재안과 북한의 가상 통화 해킹 시도 등이 비트코인에 대한 중국의 단속을 이끌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김미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