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스가 일본 총리와 첫 통화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에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 전화 회담을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처음 통화하고 강제 동원 피해자 문제 등 양국 갈등을 풀기 위해 대화를 가속하자고 뜻을 모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20분 동안 스가 총리와 통화했다. -일 정상이 통화한 것은 스가 총리 취임 뒤 처음이다. 양국은 지난해 12월 중국 충칭에서 문 대통령과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을 가장 가까운 친구라고 칭하며 양국이 갈등하는 현안과 코로나 극복을 위해 노력하자고 했다. 문 대통령은 스가 총리 취임을 축하한 뒤 한국과 일본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동북아와 세계 평화, 번영을 위해 함께 협력해가야 할 동반자라며 양국이 코로나를 극복하기 위해 협력하자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스가 총리는 양국 관계가 과거사에서 비롯한 여러 현안으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문 대통령과 함께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구축해 나가길 희망한다라며 일본도 코로나 극복이 최대 과제인데 한국은 문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케이(K) 방역의 성과를 거둔 만큼 여러 과제를 함께 해결해가자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기업인 등 필수 인력의 특별입국 절차 합의를 앞둔 점을 평가하며 이를 양국 인적 교류 재개의 물꼬를 트고 관계 발전을 위한 계기로 삼자고 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강제 동원 피해자 문제를 푸는 데 양국이 더욱 적극적으로 소통하자고 했다. 그는 입장차가 있는 게 사실이지만, 양국 정부와 모든 당사자가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해법을 함께 찾아가길 바란다라고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내년 도쿄 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길 바란다는 뜻도 전했다.

이에 스가 총리는 감사하다며 일본인 납치자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에 감사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달라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위해서 긴밀히 협력해 가기로 했다. 두 정상은 이날 통화에 대해 허심탄회하고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평했다.

이날 통화는 정상 취임 뒤 축하하는 쪽에서 먼저 요청하는 관례에 따라 한국 요청으로 이뤄졌다. 두 정상은 구체적인 양국 갈등 현안인 수출 규제 문제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문제에 관해서는 깊은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상 간 첫 상견례였다라며 관련 현안 이야기는 없었고, 소통 대화 노력을 가속화하자는 차원이었다라고 말했다. < 성연철 기자 >

스가 총리, 문 대통령에 양국 관계 방치하면 안된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24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 회담에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양국 관계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뜻을 전했다한국 쪽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고 <NHK> 방송이 보도했다. -일 정상이 직접 대화를 나눈 것은 지난해 12월 한··일 정상회의 이후 9개월 만이다.

스가 총리와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약 20분간 대화를 나눴다. 스가 총리는 회담을 끝내고 관저 출입기자들을 만나 한일 양국은 서로 매우 중요한 이웃이라며 북한 문제를 비롯해 한일, 한미일 연계는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일 관계 최대 쟁점인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그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옛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강제동원 피해자) 등 현재 상당히 엄중한 상황에 있는 양국관계를 이대로 방치하면 안 된다는 뜻을 전했다우리는 일관된 입장을 토대로, 앞으로도 한국에 적절한 대응을 강하게 요구해 가겠다강조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스가 총리는 한일 관계에서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를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가 나서기보다 해결의 주체를 한국 쪽으로 돌렸다. 사실상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강제징용 문제는 해결됐다는 기존 일본 정부의 입장을 고수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도 이날 양국 정상이 전화 회담을 하는 동안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스가 총리와 같은 맥락의 입장을 밝혔다. 가토 장관은 일한 사이에 옛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를 비롯해 상당히 어려운 현안 사항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우리는 일관된 입장에 근거해 앞으로도 한국 쪽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와 같은 대응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 김소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