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첫 양 정상 간 접촉
양국 관계 개선, 코로나19 대응 등 공통 분모
무역·경제 분야, 대만·홍콩·신장 등 이견 첨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 당시 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13년 12월4일 중국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3주 만에 미국과 중국 정상이 첫 통화를 했으나 임기 초반 일정 기간의 정치적 밀월을 뜻하는 허니문을 고사하고 서로 핵심 이익을 내세우며 설전이 벌어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에게 불공정 무역에서부터 홍콩과 신장(新疆)의 인권, 대만 문제 등을 모두 꺼내 압박했다. 시 주석 또한 내정 간섭을 하지 말라며 강력히 반발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에 이어 미중 갈등 2라운드가 사실상 본격화됐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11일 통화를 했으며 미국은 백악관, 중국은 관영 매체인 중국중앙TV를 통해 통화 내용을 공개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시 주석을 강하게 압박했다고 밝혔지만 중국중앙TV는 미중 정상 간 갈등 발언은 뺀 채 시 주석의 핵심 이익 수호 및 미중 협력 필요성 발언만 중점적으로 전했다.

백악관 보도자료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시 주석과 통화에서 무역과 인권 문제 등을 제기하는 등 강경한 중국 정책을 펼쳐나갈 것임을 공식화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강압적이고 불공정한 경제적 관행과 홍콩에 대한 탄압, 신장에서의 인권 유린, 대만을 포함한 역내에서 점점 더 독선적인 행동에 대해 근본적인 우려를 강조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인의 안보와 번영, 건강, 삶의 방식을 보호하고,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보존해야 한다는 우선순위를 확고히 말했다"고 설명했다.

전임 트럼프 정부가 문제 삼았던 무역 및 인권, 지역 문제를 바이든 정부도 계승해 대중국 강경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명확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민과 미국의 동맹국들의 이익을 증진할 때 실용적이고 성과 지향적인 관계를 추구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시 주석과 대화한 사실을 공개하면서 "중국이 미국인에게 이익이 될 때 중국과 함께 일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언급했다.

중국중앙TV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날 통화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홍콩, 대만, 신장 문제는 중국의 내정이라며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시진핑 주석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미중 관계가 우여곡절 속에서 발전했다면서 "미중이 합하면 모두 이익이고 싸우면 둘 다 손해이므로 협력이 양측의 유일한 정확한 선택"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시진핑 주석은 미중 간에 일부 현안에 이견이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시 주석은 미중이 상호 존중한다면 중대한 국제 및 지역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 금융, 사법, 군사 부문에서 교류가 늘 수 있다면서 "중미 양측은 서로 오판하지 않도록 대화 시스템을 새로 짜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시진핑 주석은 "대만, 홍콩, 신장 문제는 중국 내정"이라면서 "이는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이 걸린 문제인 만큼 미국은 중국의 핵심 이익을 존중하고 신중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국중앙TV는 미중 양국 정상이 전화 통화를 통해 전 세계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낼 것으로 봤으며 미중 양자 관계와 공동 관심사에 대해 긴밀히 소통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번 미중 정상 간 통화는 트럼프 전 행정부에 이어 바이든 행정부도 중국에 대한 강경론을 택하며 취임 초반부터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뤄져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이날 통화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 때부터 중국과 각을 세우던 무역 문제뿐만 아니라 인권 문제까지 직접 언급함에 따라 향후 대중국 기조가 녹록지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시 주석 또한 미중 간 상호 핵심 이익을 존중하는 바탕에서 대화와 협력이 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해 향후 홍콩, 대만, 무역 문제를 놓고 치열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베이징 소식통은 "오늘 미중 정상 통화는 최근 양제츠 중국 정치국원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통화의 확장판"이라면서 "미중 최고위급 외교 참모끼리 대립각을 세운 데 이어 결국 정상 간 통화에서도 핵심 이익 양보는 없다는 걸 분명히 한 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