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대사 능력 떨어져 담음·어혈 늘어
뇌졸중·심장질환 등 위험‥약만으론 안돼
과식·과음 잘못된 습관 고치고 운동을

살을 빼야 한다는 담론은 상식이 됐다. 이는 비만에서 벗어나는 것이 쉽지않음을 보여주는 방증이기도 하다. 일상에 바쁜 많은 이들은 ‘살 빼는 약’이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으로 해결하려 하지만 여기에만 의존하는 것에 대해선 서양의학은 물론 한의학도 반대한다. 한의사들은 오장육부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야 비만과 고지혈증이 치료되고, 스트레스를 줄여야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 몸속 노폐물 처리 지연이 비만·고지혈증 불러
혈액 속에 나쁜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고지혈증이나 비만 하면 서양의학적 치료를 떠올리기 쉽다. 과거에는 많지 않았고, 고지혈증이라는 말도 최근에 나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의사들은 이른바 상위층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덜 움직이고 많이 먹어 영양이 과잉된 상태였기 때문에 한의학에서도 비만 치료의 역사가 오래됐다고 말한다. 
서양의학의 개념에서는 비만이나 대사 이상으로 핏속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고, 남은 지방질이 쌓여 내장 또는 피하 지방층이 두터워지며, 이 때문에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 뇌졸중이나 심장병 등 각종 혈관질환이 생긴다고 설명한다. 
이에 견줘 한의학에서는 비만이나 고지혈증에 대해 담음(痰飮) 또는 어혈(瘀血)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우선 담음은 몸속에서 생기는 각종 노폐물을 부르는 통칭이며, 어혈은 혈액순환이 느려지면서 혈액 성분이 비정상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설명하는 용어는 다르지만 원리는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체력 또는 정기(正氣)가 부족해지면서 신진대사 능력이 점차 줄어 이런 담음과 어혈이 증가하고 결국엔 몸속의 노폐물 처리가 늦어져 몸 안에 쌓인다고 본다. 이 때문에 뇌졸중이나 심장질환이 많아지는 것에 대한 설명 역시 서양의학과 한의학이 유사하다.
 
■ 살 빼는 약만으로는 해결 안돼
한의학에서 비만이나 고지혈증의 치료는 기초대사량을 올려서 이 담음과 어혈을 어떻게 제거하고 풀어내느냐에 달려 있다. 한의학적 치료인 한약을 쓰거나, 일부러 몸을 움직이는 운동 등을 하는 것으로 오장육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야 건강을 지키면서 몸무게도 줄인다는 설명이다. 물론 침 치료도 이런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런데 흔히 쓰이는 양약인 식욕억제제나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약은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것도 아니고 우리 몸이 쓰는 기본 열량을 높게 하는 것도 아니라서 건강한 비만 탈출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또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 역시 억지로 먹고자 하는 욕구를 줄이다 보니 두통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생활습관은 바꾸지 않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들 약만 먹다가 끊으면 결국 다시 비만해지거나 콜레스테롤이 높아지는 ‘요요현상’이 올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 비만의 원인에 따른 대처 필요
비만이나 고지혈증이 생기는 원인은 제각각일 수 있다. 우선 체질적인 원인이나 기능 상태의 변화는 식욕이 지나치게 좋아지거나 먹은 것이 저장만 잘 되고 배출이 되지 않는 경우다. 이때에는 한약이나 침을 써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한의학계의 설명이다. 이와는 달리 잘못된 습관은 약 없이도 개선이 가능하다. 이는 현대인에게 생기는 비만의 원인 대부분을 차지한다. 
대표적인 예가 불규칙한 식습관이나 과식, 과음, 잠들기 전에 먹는 야식 등이다. 개인의 식생활 일지 등을 쓰면서 잘못된 식생활을 고치는 노력이 필요하다. 활동량이 지나치게 적은 것도 규칙적인 운동이나 계단 오르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등 생활 속에서 활동량을 늘리는 방법으로 극복해야 한다. 약물 가운데에는 호르몬제가 대표적으로 비만에 빠지게 할 수 있는 약임에 주의해야 한다.
 
■ 스트레스 관리가 비만 예방의 핵심
현대인에게 비만의 핵심 원인은 스트레스다. 한의학에서는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욕구불만이 생기고, 이를 폭력이나 식탐으로 해결하려 한다고 본다. 특히 태음인의 경우 잘 참는 성정을 지녀 스트레스가 더 쌓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비만을 막으려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취미 활동을 하고 과로를 피하라고 권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