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도(家系圖 / Jo family tree)

임순숙 수필가

 

겨우내 적요했던 동네가 얼마 전부터 꿈틀거리기 시작했다. 풋풋하게 번져가는 연둣빛 울타리 넘어 가가호호 집 단장에 심혈을 기울이는 이웃사람들의 움직임이 생동감을 준다. 앞집은 칙칙함에서 벗어나려는 듯 화사한 빛깔로 페인팅을 시작했고, 정원손질을 하느라 온 식구가 동원된 건넛집은 잔치분위기를 방불케 한다.  한껏 고조된 새봄맞이 분위기를 응원이라도 하듯이 근거리에서 울러 퍼지는 망치소리는 쉼 없이 똑딱거린다. 해마다 이맘 때면 늘 보아온 풍경이련만 모진 세월을 겪다 보니 자연스런 일상이 생경하기까지 하다.

햇볕 좋은 날을 골라 우리도 집 단장을 시작했다. 현관으로 향하는 진입로는 오래된 벽돌을 걷어내고 멋스런 디딤돌로 교체하기로 했고, 자그마한 뒤뜰은 잔디밭을 줄여서 꽃밭을 대폭 확장할 계획을 세웠다. 타 인력 동원이 힘든 시기여서 식구끼리 힘을 합치기로 했지만 생각보다 밑 작업이 만만치 않아 은근히 걱정이 되었다. 더구나 집 고치는 일은 하나 끝내면 또 다른 곳이 민 낯을 드러내기에 적당히 타협하면서 며칠간 바삐 움직여야 할 것 같다.

추위와 불청객에 갇혀 지낸 세월에 비하면 이 얼마나 행복한 노동인가. 집안 구석구석 잔 일거리들을 들춰내며 하루 해를 보냈다. 내일은 손녀들도 동참하기로 했으니 한 달만의 재회가 더 기대된다.

                                         

단편적이나마 잠깐 부여된 일상이 언제까지 가능할지, 신바람 날리며 일하는 내내 불안한 마음이 불쑥불쑥 고개를 내밀었다. 아마도 최근에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 수치가 연일 기록을 경신한다는 어두운 소식 탓이리라. 요염한 바이러스는 3차, 4차 전이에 전이를 거듭하며 인간을 위협하는데 우리들의 경각심은 날로 희박해져 가니 겉잡을 수 없는 확진자 증가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지 모른다.

저녁엔 예상보다 더 강력한 봉쇄조치가 내려졌다는 소식이 들어왔다. 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봉쇄조치에 수긍은 하면서도 내심 집 앞뒤에 벌여놓은 미완의 공사 걱정이며 내일 손녀들과의 만남이 무산된 점이 못내 아쉬워 벽에 걸린 가계도(家系圖)로 눈길을 옮긴다.

 

우리집 ‘가계도’란, 얼마 전 할아버지 생신 선물로 손녀들이 그려온 조 패밀리 트리(Jo family tree)이다. 가족 중 가장 어린 여덟, 열살 인 두 자매가 합동으로 그린 그림을 펼쳐보며 우리는 와! 하는 함성과 함께 감동과 회한으로 숙연해졌다. 이토록 암울한 시기에 어른인 우리가 아이들에게 주어야 할 환희와 희망의 메시지를 우리 대신 아이들이 나무 가지마다 주렁주렁 메달아 선사한 것이다. 아이디어 또한 기발했다. 수령이 수 백년도 더 됨직한 우람한 나무둥치 맨 윗자락에 할아버지 부부의 얼굴을 그린다음 상향으로 다음 그 다음 세대를 배치하여 자손들의 풍성함을 화려하게 표현했다. 잠깐 들여다 보기만 해도 미소를 머금게 하는 가계도는, 가장 윗세대인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또한 의미심장하다.

꽃에 비유하면 꽃받침 격인 우리가 건강하게 잘 받쳐주어야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어 자손을 번성케 하는 본연의 역할을 해낼 수 있단다. 미래를 예측조차 하기 어려운 지금, 우리의 안위를 스스로 지켜내야 하는 대 명제를 손녀들로부터 부여받은 셈이다.    

 

임순숙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에세이스트'로 등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