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신장위구르 인권침해, 일본 기업 위험요소로 떠올라”

 

 

미국 정부가 인권침해 논란이 있는 중국 신장웨이우얼(위구르) 자치구에서 생산된 면화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 셔츠의 수입을 금지했다. 신장웨이우얼 인권 문제가 일본 기업의 위험 요소로 떠올랐다는 지적이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달 10일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이 공개한 문서를 인용해 지난 1월 로스앤젤레스(LA)항에서 유니클로 남성용 셔츠가 압수됐다고 20일 보도했다. 중국 군·국유기업·행정이 결합된 조직인 ‘신장생산건설병단’을 통해 공급받은 면화로 만든 셔츠라는 이유에서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지난해 12월 강제노동에 따른 인권침해 문제로 신장생산건설병단이 생산하는 면과 면제품 수입을 금지했다. 이곳에서 중국 면의 3분의 1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 과정이 복잡해 원산지를 특정하기 어려운 면 원재료의 경우도 수입하는 기업이 증명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유니클로는 셔츠의 원자재를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조달한 것으로 중국과 관계가 없다고 반론을 폈지만 미 당국은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미 당국은 생산, 가공, 처리 기록이 제출되지 않았고, 관련자나 공장 위치도 분명하지 않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니클로 브랜드를 운영하는 패스트리테일링은 19일 “이번 결정은 매우 유감”이라며 “서플라이 체인(공급망)에 인권 침해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유니클로의 미국 내 매출이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 않아, 경영에 직접적 타격은 적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 견제’가 외교‧안보뿐 아니라 인권, 경제까지 한층 강화되고 있어 기업들의 고민은 클 수밖에 없다. 

 

일본 유니클로와 무인양품은 세계 패션 업체들의 ‘신장 면화 보이콧’ 선언에도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무인양품은 지난달 입장을 내고 신장웨이우얼 면화를 사용하고 있지만 “제3의 기관을 파견해 감사를 실시한 결과, 지금까지 법령과 자사의 행동 규범에 대한 중대한 위반은 없었다”고 밝혔다. 보이콧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이다. 유니클로는 “정치적 문제는 언급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일본 기업이 중국의 눈치를 보는 것은 중국 시장에서의 경제적 타격을 우려해서다. 무인양품은 매출의 약 20%가 중국에서 나온다. 유니클로는 중국 내 의류 매출 1위 기업으로 800여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이날 “바이든 정부가 신장웨이우얼 인권문제로 중국을 비난하는 동시에 기업에도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며 “일본 기업에도 구체적으로 영향이 왔다”고 전했다. 김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