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영령 추모·항쟁의의 기려

● 한인사회 2018. 5. 30. 12:09 Posted by SisaHan


토론토서 38주년 기념식

총영사·평통 등 동참 뜻깊게

5.18 민주화운동 제38주년 캐나다 동부지역 기념식이 18일 오후 6시 토론토 한인회관에서 ‘보아라 오월의 진실, 불어라 평화의 바람’이라는 주제로 이기석 한인회장을 비롯한 각계 단체장과 동포들, 정태인 토론토총영사 등 1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려, 희생된 민주영령들을 추모하며 항쟁의 역사적 의의를 기렸다.
토론토 한인회와 한인회총연합회가 주최하고 캐나다 범민주원탁회의와 민주평통 토론토협의회 주관, 총영사관과 주요 동포단체 후원으로 열린 이날 기념식은 38년간 아들을 애타게 찾아온 사연을 담은 영상 ‘영원한 소년’상영으로 시작, 국민의례에 이어 캐나다 범민주원탁회의 임방식 운영위원이 경과보고를 통해 1980년 당시 캐나다 민주인사들이 나섰던 전두환 쿠데타세력의 학살만행 규탄과 항쟁 알리기 및 희생자 추모운동 등을 전하며 어려움 속에 기념식이 열려 온 경위를 소개하고 선배 한인들의 열정을 이어받아 5.18정신 구현에 앞장서 나갈 것을 당부했다.

기념사는 정태인 토론토 총영사가 5.18 기념식에 모국 공관장으로는 역대 처음 참석해 이낙연 국무총리의 정부 공식 기념사를 대독했다.
추념사는 이기석 토론토 한인회장과 김연수 민주평통 토론토협의회장, 김경천 범민주원탁회의 운영위원이 차례로 했다. 이기석 회장은 ‘우리 동포사회도 5.18정신으로 힘을 모아 연대하며 민주적인 모습의 공동체로 발전해 나가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김연수 평통 토론토회장은 ”5.18행사를 외면하던 평통이 이제 처음으로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촛불혁명의 힘이며 정의의 승리를 보여준다”면서 “5.18정신을 새기면서 평화통일의 동력으로 승화시켜 나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경천 민주원탁 운영위원은 “5.18 의 진실과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 책임자를 반드시 처벌하고, 민주열사들이 이루려고 했던 민주주의 완성과 정의로운 세상, 사회적 약자들이 존중 받는 사회, 민족이 하나되는 평화통일을 달성해 내겠다”고 강조했다.

5.18 민주항쟁의 경위와 의의를 집약한 동영상 ‘기억하겠습니다’상영에 이어 박기순 월요봉사회장은 유족인사말을 통해 지난 세월 5.18유족은 물론 행사 자체가 핍박 받아온 발자취를 회고하며 토론토에서 뜻을 기리기 위해 애쓴 인사들을 일일이 열거하면서 감사를 전했다.
기념식은 추모시 ‘별을 따러 간 천사들’(장시하 작) 낭송이 있었고 추모공연으로 예멜합창단장인 이재수 소프라노의 독창, 그라티아 색소폰 앙상블 연주에 이어 ’사월의 꿈‘ 합창단이 ’오월의 노래‘ 등을 부르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참석자들과 함께 합창해 감동어린 피날레를 장식했다.
폐회인사에서 김종천 범민주원탁회의 의장은 “기념식이 성황을 이루고 공관장과 평통이 동참하는 등 이제 비정상이 정상화되는 모습에 오월 영령들도 위로받기를 소망한다”며 5.18정신 함양과 진상규명에 캐나다 동포들도 힘을 보태자고 당부했다.

< 문의: 416-383-0777. 416-773-0070 >


백악관, 북-미회담 기념주화 제작

● WORLD 2018. 5. 30. 12:02 Posted by SisaHan

트럼프·김정은 얼굴 넣고 한글로 “평화회담”

북-미 정상회담이 양쪽의 신경전을 맞고 있는가운데, 백악관 쪽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얼굴을 담아 만든 기념주화가 공개됐다.
<AFP> 통신은 백악관 통신국이 양국 정상의 얼굴 측면을 그려넣은 정상회담 기념주화를 만들었다고 22일 보도했다. 현역 군인들로 이뤄진 백악관 통신국은 대통령 등에 대한 정보와 통신 수단 제공을 주임무로 하지만, 2003년부터 외국 정상의 백악관 방문 등을 기념하기 위해 주화를 만들어왔다. 이 기념주화는 백악관 기념품점 매대에 올랐다.


기념주화 앞면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얼굴이 양쪽 국기를 배경으로 돋을새김돼 있다. 두 정상의 이름도 넣었는데, 김 위원장은 “최고 지도자”(SUPREME LEADER)라고 썼다. “평화회담”(PEACE TALKS)을 한글로도 표기했다. 뒷면에는 백악관 건물과 함께 미국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을 그려넣었다.
라즈 샤 백악관 부대변인은 “백악관은 주화의 디자인과 제조에 개입하지 않았다”며, 통신국이 알아서 만든 기념주화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 북-미 정상회담 장소와 날짜가 발표된 뒤 제작 주문이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 이본영 기자 >


① 언론·일반인 접근 차단 ‘보안성’
② 잘 갖춰진 회담 지원 인프라
③ 접근성 좋아 출퇴근 회담 가능
④ 평화의집은 ‘제3자’가 내용 파악 우려

2018년 5월 26일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판문점 북측 판문각 입구에 의장대들이 도열해 문재인 대통령을 기다리고 있다. 청와대 제공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은 동서 800m, 남북 400m의 좁은 땅이다. 그런데도 회담 공간이 많다. 군사분계선 위에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T1), 군사정전위원회 본회의실(T2), 군사정전위 소회의실(T3)이 있다. 모두 7개동이다. 3개동은 유엔군사령부가, 4개동은 조선인민군(북한군)이 관리한다. 정전 직후인 1953년 10월 세워졌다.

공동경비구역 군사분계선 남쪽엔 회담장인 ‘평화의 집’(1989년 준공, 지상 3층), 연락사무소인 ‘자유의 집’(1998년 준공, 지상 4층)이 있다. 북쪽엔 회담장인 ‘통일각’(1985년 준공, 지하1층·지상1층)과 연락사무소인 ‘판문각’(1969년 준공·1994년 증축, 지상3층)이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4월27일엔 평화의 집에서, 26일엔 통일각에서 두 차례 정상회담을 했다. 그리고 그 통일각에서 성김 주필리핀 미국대사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을 책임자로 한 북-미의 정상회담 의제 조율 실무회담이 27일부터 진행되고 있다. 판문점이 적대와 갈등을 녹이는 대화의 용광로로 펄펄 끓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북-미 양국은 왜 통일각을 회담 장소로 선택했을까? 이 질문의 답을 찾자면 통일각 이전에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이라는 공간의 특수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엔사 군정위의 승인이 없이는 누구도 이곳에 드나들 수 없다. 민간은 60일 전 국가정보원에, 정부·공공기관은 14일 전 통일부에, 국방부·군은 14일 전 군정위 한국군연락단에 신청해야 한다. 외국인 여행객은 지정 여행사를 통해 군정위 비서처에 신청해야 한다. ‘보안성’이 매우 높은 공간이다. 요컨대 언론의 접근을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다.

둘째, 회담을 지원할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북쪽은 정전 직후부터 유엔사와, 1971년 8월20일 첫 적십자 접촉을 시작으로 지금껏 다양한 남북회담을 이곳에서 치렀다. 미국 쪽도 유엔사 창구로 북쪽과 숱한 회담을 했다. 그만큼 관련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더욱이 군사분계선 남쪽 2.4km 지점엔 ‘캠프 보니파스’가 있어, 미국 협상팀이 워싱턴과 연락을 취하기도 용이하다.

셋째, 접근성이 좋다. 판문점은 미국대사관이 있는 서울에서 52km 거리다. 미국 대표단이 출퇴근 회담을 하는 이유다. 평양에선 147km 떨어져 있지만, 북쪽 행정명이 ‘개성특급시 판문군 판문점리’일 정도로 개성에서 가깝다.

여기까지는 회담 장소로서 판문점의 이점이다. 문제를 하나 더 풀어야 한다. 왜 평화의 집이 아니라 통일각일까? 형식적으론 북-미 협상이라는 사실이 고려됐겠지만, 내용적으론 ‘보안’ 문제가 크다. 평화의 집은 국정원이 관리한다. 회담 장면을 촬영하고 대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져 있다. “북-미 양쪽 모두 ‘제3자’가 협의 내용을 직접 알게 되는 상황을 피하려 한 듯하다”(외교 소식통)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더구나 북쪽은 남쪽과 달리 ‘언론 보도’를 통제할 수 있다.

<이제훈 선임기자 >


문재인 다음 수순은…

남북 항구적 평화체제 실현 구상
남북 접촉·G7·러시아 등 추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정착의 가늠자가 될 북-미 정상회담의 시기·장소가 확정됨에 따라 청와대의 움직임도 다시 빨라지기 시작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성공적인 회담을 위해 북-미간 직접 접촉이 늘었지만, 상황을 여기까지 끌어온 ‘중재자’의 역할이 계속 중요하고 북-미 회담 이후의 판을 새롭게 짤 준비도 해야하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들은, 북-미 회담 성공을 전제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에서 남북 정상이 합의한 ‘올해 안 종전선언과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3자 또는 4자 회담’을 어떻게 추진할지 구상에 들어갔다.


남북 정상의 집무실에 놓인 핫라인(직통전화)은 이 구상이 어느 정도 가닥을 잡은 뒤에 가동될 전망이다. 남북 정상간 첫 통화는, 2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이전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판문점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뒤이어 남북미 정상의 역사적인 만남을 이어가려 했으나 계획 변경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남북 정상간 통화가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청와대 관계자들은 남북 정상간 통화와 관련해 “북미회담 일정 발표 이후에 통화할 수 있다. 김 위원장과 얘기할 소재가 있어야 한다”고 설명해왔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에 앞서 북-미 회담 이후 구상에 대해 김 위원장과 먼저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남북 정상간 통화가 여의치 않을 경우, 5월중으로 점쳐지는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논의할 수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회담 관련 내용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중심으로 논의할 예정이며, 판문점선언 이행추진위원회는 분과별 논의를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 결과와 연동되지 않을, 남북간 군사적 긴장 완화와 전쟁 위험 해소를 위한 남북간 접촉 등은 당초 계획대로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의 외교 일정은 북-미 정상회담 전후로도 빡빡하게 채워져 있다. 다음달 8~9일 캐나다 퀘벡에서 열리는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우리 정부는 회원국은 아니지만, 의장국인 캐나다가 초청하고 회원국들이 동의하면 옵저버 자격으로 참여가 가능하다. 주로 경제 이슈를 다루는 회의체이나,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열리는 만큼 한반도 문제가 주로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크고 회원국 정상들이 문 대통령의 장기 구상을 직접 들어보고 싶을 수도 있다.


러시아 월드컵이 열리는 6월말에는 한-러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크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초청했고, 문 대통령이 이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
과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당사국이기도 했던 러시아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협정 체결 이후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의체를 구성할 경우 여기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또 북-미 정상회담을 전후해서 북-러 정상회담이 잡힐 가능성도 있다.


< 김보협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