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50%까지 쓰고 충전 습관을

스마트폰이 ‘휴대하는 전화’를 벗어나 동영상 시청 등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하면서 배터리가 쉽게 닳아 불편을 겪는 사용자들이 많다. 보조 배터리나 USB 케이블을 갖고 다니며 수시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모습은 이제 일상화됐다.
IT 기술이 급성장하면서 스마트폰 활용 폭은 하루가 다르게 넓어지고 있지만 배터리 용량을 키우는 기술은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다소 귀찮지만 간단한 습관만 들이면 배터리를 더 오래 그리고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고 조언한다.


배터리 수명을 아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 가운데 하나는 배터리를 최대 50% 정도까지만 사용하고 다시 충전하는 습관들이기다.
예전에는 주로 니켈-카드뮴 전지가 탑재돼 배터리는 완전 충전 후 완전 방전을 해야 배터리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 배터리는 리튬 이온 전지이기 때문에 배터리 양을 적어도 50% 수준까지 유지한 뒤 다시 충전해 사용하는 것이 수명에 좋다.


배터리 방전 속도를 줄일 수 있는 첫걸음은 자신의 배터리 사용 현황을 수시로 체크해 보는 데 있다. 최신 스마트폰은 ‘설정→배터리’로 들어가면 사용시간, 사용 가능 시간, 사용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고 현재 쓰지 않는 기능은 사용목록에서 차단하면 쓸데없이 배터리가 닳는 걸 막을 수 있다.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꺼놓는 것이 좋다.
시시각각 울리는 ‘푸시’ 알람 기능도 꼭 확인해야 하는 사항이 아니라면 해당 앱에 들어가 알람을 아예 종료하는 게 좋다. 앱마다 실시간 업데이트 기능이 계속 돌아가기 때문이다.


조금 더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해보고 싶은 사용자라면 관련 앱을 내려받아 사용해보는 것도 좋다. 안드로이드폰은 ‘task killer free’, 아이폰은 ‘배터리 닥터’가 유명한데 실행 중인 여러 앱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제어하기 때문에 메모리와 전력 사용량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물에 약하기 때문에 평소에 다량의 수분이 침수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배터리를 오래 쓰는 요령이다. 배터리 하단에는 ‘침수라벨’이라고 하는 흰색 부분이 있는데 이 점이 흰색에서 붉은색으로 바뀌면 물이 묻었다는 신호다. 이럴 때 배터리는 반드시 교체해 사용해야 한다.



마술 ‘스마트 창’ 나온다

● 토픽 2015. 5. 9. 14:10 Posted by SisaHan

빛 투광 자동조절·디스플레이도

바람과 비로 마찰전기 만들어
자체 에너지원‥저장기술 관건

창문의 주된 기능은 채광, 즉 실외의 빛을 실내로 흡수해주는 기능이다. 그래서 빛을 차단하려면 커튼이나 블라인드 같은 별도의 인테리어 도구가 필요하다. 창문이 스스로 빛의 투광도를 조절하게↗ 할 수는 없을까? 편리한 건 둘째 치고, 대형 건물에 이런 창을 쓰면 에너지 효율이 높아져 냉난방 시스템 가동에 쓰이는 전기를 크게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발상으로 개발되고 있는 것이 스마트 창이다.

빛 투과율 조절에서 한발 더 나아가 여러가지 디스플레이 기능까지 갖춘 스마트 창이 개발되고 있다.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 창 스스로가 디스플레이 노릇을 하도록 구현해주는 기술이다.
스마트 창은 2개 층의 유리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 아주 미세한 소자(ECD)를 넣어 만든다. 여기에 전기를 흘려주면 이 소자들이 빛을 차단하는 구조로 바뀐다. 평시엔 일반 창과 똑같지만, 전원을 켜면 커튼을 친 것처럼 불투명한 창으로 변신한다. 따라서 스마트한 창이 되려면 전기의 힘을 빌어야 한다.


지금까지 나온 스마트 창들은 대부분 이 전기를 배터리나 전원플러그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받는는다. 똑똑하기는 하지만 친환경적이지는 않은 셈이다. 태양광 패널을 창 안에 심어, 전기를 만들어내는 방식이 있지만 태양광 패널은 창의 선명도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최근 미국의 한 연구진이 창 스스로 전력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날씨 변화를 스마트 창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방법은 창문을 때리는 바람과 빗방울에서 전기를 직접 생산하는 기술이다. 바람과 비가 창문에 부딪칠 때 마찰 전기를 생성시켜 창에 동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TE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 라는 이름의 이 발전기는 2개의 층으로 이뤄져 있다. 발전기의 윗층은 비에서 정전기를 수확한다. 방식은 이렇다. 빗방울은 하늘에서 떨어질 때 공기와 부딪치면서 빗방울 안에 양전하를 만들어낸다. 유리창에는 음전하를 띤 실리콘이 아주 얇게 코팅돼 있다. 이윽고 빗방울이 유리창을 때리면, 음전하와 양전하가 만나 전기를 만들어낸다.


바로 아래에 있는 두번째 층은 바람으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한다. 이 층은 전하를 띤 2개의 투명 플라스틱판으로 구성돼 있다. 2개의 층 사이에는 아주 작은 스프링이 있다. 바람이 창문으로 불어오면, 스프링이 바람의 힘으로 수축하고, 그에 따라 2개의 플라스틱판이 바람의 압력에 따라 서로 가까워졌다 멀어졌다를 반복하면서 전기를 만들어낸다.
연구진은 지난달 학술저널 온라인판에 게재한 이 논문에서, 실험 결과 유리 1㎡당 최대 130밀리와트(㎽)의 전기가 생산됐다고 밝혔다. 이는 대기 상태의 심장박동 조절기나 스마트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한다. 공동개발자인 종 왕(Zhong Wang) 조지아공대 교수는 “이 정도의 출력이면 가정이나 사무실의 전자기기 동력원으로 쓰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앞서 2012년에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지상에 가하는 압력에서 전기 동력을 얻어 스스로 불빛을 내는 보도블럭을 만든 바 있다. 또 최근엔 손의 정전기와 압력을 이용해 스스로 전기를 공급하는 무선 키보드도 만들어냈다.  그러나 이 스마트 창을 당장 상용화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생산된 전기를 저장해놨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지금으로선 전기를 저장할 수가 없어 실용성이 없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투명도를 훼손하지 않은 채 유리에 심어놓을 수 있는 투명한 축전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금도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용화의 관건은 비용이 얼마나 드느냐라고 연구진은 말한다.
< 곽노필 기자 >




주문형으로 방송콘텐츠를 즉시 재생
가입자 급증, 케이블·위성방송 퇴조

미국의 방송 시장이 대변혁기를 맞고 있다.
미국의 방송 산업은 지금껏 케이블TV·위성방송이 주도했지만, 이제는 온라인 스트리밍(프로그램 콘텐츠를 즉각 재생하는 방식) 서비스가 대세를 장악하고 있다. 방송국 일방형 프로그램 시청에서 주문형 스트리밍 시청으로 급속히 옮겨가는 것이다.


가정 41% 스트리밍 서비스 가입 : 미디어 리서치 업체인 닐슨이 지난해 10~12월 ‘시청자 미디어 수용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미국 전체 가정의 41%가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미국 내 최대 케이블TV 사업자인 컴캐스트의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가 케이블TV 가입자 수를 거의 따라잡은 것도 스트리밍 서비스의 약진을 뒷받침하는 증거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컴캐스트의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는 37만5천 가구가 늘어 모두 2천200만 가구가 됐다. 케이블TV는 6천 가구 증가에 그쳐 2천240만 가구를 기록했다.
순증 가입자만 보면 인터넷이 케이블TV보다 6배 이상 많다. 머잖아 인터넷 총 가입자 수가 케이블 TV 가입자를 앞지를 전망이다.
2위 사업자인 타임워너 케이블도 이미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가 케이블TV 가입자 수를 넘어섰다. 이른바 ‘코드 커터’(Cord cutter·TV방송 대신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는 소비자)로 불리는 신세대 가입자들을 중심으로 기존 케이블TV·위성방송보다 스트리밍 시청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게 가장 큰 이유다.


스트리밍 업계 ‘춘추전국’ : 현재 미국 내 대표적인 스트리밍 업체로는 넷플릭스와 아마존닷컴 프라임, 훌루 플러스가 꼽힌다. 업계의 선두주자인 넷플릭스의 미국 내 가입자 수는 대표 영화전문채널 HBO의 가입자 수를 이미 추월했다.
이들의 장점은 케이블TV·위성방송보다 시청료가 매우 싸다는 것이다. 넷플릭스는 월 8.99달러(1만1천 원), 아마존닷컴 프라임은 연 99달러(11만2천 원)다. 반면 채널 100개 이상 패키지로 판매되는 케이블TV·위성방송은 월 80∼100달러(9만∼11만2천 원)에 달하며, 여기에 프리미엄 채널을 추가하면 더 비싸진다.
이들의 영역 확장은 방송을 넘어서 이제 극장의 질서도 흔들고 있다. 넷플릭스나 아마존닷컴이 영화를 직접 제작해 극장에 걸고 이를 스트리밍으로 재방영하는 콘텐츠 유통체계를 구축하는데 본격 나섰기 때문이다.
DVD 우편배달 서비스로 출발했던 넷플릭스는 인기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 등을 직접 제작·유통한 데 이어 영화제작사인 와인스타인 컴퍼니와 손잡고 이안 감독의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영화상 수상작 ‘와호장룡’ 속편을 제작할 예정이다. 아마존닷컴도 최근 미국의 유명 영화감독 우디 앨런을 영입해 TV 드라마를 제작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한 해 영화 12편을 제작하겠다고 맞불을 놓았다.


지상파·케이블 채널도 속속 스트리밍 서비스 :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존 지상파·케이블 채널도 스트리밍 서비스에 본격 나서면서 방송시장에 지각변동을 일고 있다. 3대 지상파 가운데 처음으로 CBS 방송이 올해 초 스트리밍 서비스 개시를 밝혀 주목됐고, NBC를 소유한 NBC유니버설은 올해 하반기 코미디 프로그램 중심의 유료 웹 비디오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이다. 타임워너의 자회사인 영화 채널 HBO는 애플과 독점 파트너십을 맺고 ‘HBO 나우’라는 인터넷 전용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스포츠 채널 ESPN과 보도 채널 CNN도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세할 채비를 갖춘 상태다. 소니는 올해 USA, 디스커버리, MTV 채널 등을 포함한 인터넷 기반의 TV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영구저장, DNA가 해법

● 토픽 2015. 4. 4. 15:43 Posted by SisaHan

아나로그 못따르는 디지털 저장수명
영구저장, DNA가 해법

플로피 디스크·USB는 길어야 10년, CD롬·DVD 수십년

DNA 1g으로 4550억 기가바이트 데이터 저장 가능
온도 10도에서 2000년 동안 보존‥고비용이 걸림돌

아날로그에 비해 디지털은 쉽게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게 단점이다. 플로피 디스크(FD), USB는 길어야 10년, CD롬 DVD 같은 광디스크는 수십년, 아무리 보관을 잘해도 100년을 넘지 못한다. 저장매체들의 물리적 특성이 변질되기 때문이다. 반면 마이크로필름으로 촬영해 보관되는 아날로그 정보는 500년 이상 간다. 잘만 보관하면 천년이 넘게 기록을 보전할 수도 있다. 고대 파피루스 종이는 실제 2천년 이상이 지난 오늘날에도 기록을 온전히 보존한 채 발견되고 있다.
디지털 기록은 또 각각의 독특한 저장 방식이 있어서 이걸 풀어내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인터넷의 근간인 TCP/IP 프로토콜을 개발해 ‘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리는 빈트 서프(Vint Cerf) 구글 부사장은 2월13일 미국 과학진흥협회 연례회의에서 “미래엔 현재의 디지털 기록을 못 읽을 수도 있다”며 이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할수록 호환성 문제가 불거져 각 저장매체에 담긴 데이터를 읽어내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저장 수명만 생각한다면 다시 아날로그로 돌아가는 게 좋을까? 하지만 아날로그 기록은 활용도에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진다. 활용되지 못하는 정보는 사장된 정보나 마찬가지다. 영구적인 기록 저장 방법을 찾아나선 과학자들의 눈에 들어온 저장장치가 바로 DNA다. DNA는 기존 디지털 저장매체에 비해 저장 용량과 수명에서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탁월한 능력을 자랑한다. 우선 지구상 모든 생명체의 설계도는 이 작은 DNA에 특정한 형태로 암호화돼 있다. DNA 저장 암호 정보에 따라 생명체는 생장성쇠의 복잡다단한 일생을 단계적으로 밟아간다.
과학 전문지 <뉴 사이언티스트>에 따르면 1그램의 DNA는 이론상 455엑사바이트(1엑사바이트=10억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현재 구글과 페이스북, 그리고 다른 모든 IT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합치고도 남는 양이라고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인 EMC가 추정한 바에 따르면, 2011년 한 해 동안 생겨난 데이터 총량은 1.8제타바이트(1제타바이트=1조기가바이트)다. 이를 DNA에 저장한다면 4그램의 DNA 하드 드라이브만 있으면 된다.


DNA 저장이란 네 가지 형태의 DNA 염기를 0과 1로 치환하는 것이다. 예컨대 네 가지 염기 중 A(아데닌)는 C(시토신)와, G(구아닌)는 T(티민)와 각각 결합하는데, A와 C는 0으로, G와 T는 1로 설정한다. 지난 2012년 하버드대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5만3천개의 단어, 11개의 그림, 하나의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한 책 한 권을 DNA에 저장한 적이 있다. 이는 5.27메가바이트의 용량이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 정보를 다시 원상태대로 복원하는 데서 문제에 부닥쳤다.
로베르트 그라스(Robert Grass)를 비롯한 스위스연방공대 연구진이 최근 이 숙제를 해결함으로써 DNA 저장 방식에 새 길을 열었다. 연구진이 정보의 완벽한 복원에 활용한 방법은 화석의 DNA 보존 방식이다. 핵심은 수분을 뽑아내는 것이다. 연구진은 DNA를 화석화한 뼈와 구조가 비슷한 실리카로 만든 캡슐에 집어넣었다. 이산화규소라고도 불리는 실리카는 유리의 주요 성분 가운데 하나이다.


스위스 연구진은 83킬로바이트 크기의 문서정보를 4991개의 합성 DNA 조각에 담았다. 각 조각들은 158개의 뉴클레오티드로 이뤄져 있다. 뉴클레오티드란 당, 인산, 염기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DNA 사슬의 기본 구성 단위이다. 연구진은 이 문서의 DNA 버전을 오류없이 보존하고 데이터를 다시 읽을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약 10도의 온도만 유지된다면 DNA 형태의 데이터는 2000년 동안 보존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그라스는 영하의 온도 저장은 아마 100만년 이상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노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