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t 뉴스
[윤석열 내란] 미친 노상원…그의 수첩은 집단학살 ‘데스노트’
시사한매니져
2025. 2. 15. 13:08
정치·종교·법조·군·방송인 모두 체포 대상
그룹 묶지 말고 섞어서 '수집소'에 보내
'북한'을 끌어들이는 방법도 기록돼 있어
헌법 개정(재선~3선)→윤석열 3선 목표

12·3 비상계엄과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 된 노상원 전 국군 정보사령관의 수첩이 공개되면서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노 전 사령관의 수첩에는 계엄 당시 체포 대상, 수용 장소, 민주당 담당 군부대가 기록돼 있었다. 심지어는 윤석열 대통령의 재선·삼선을 위한 계획까지도 있어서, 시민들은 '군사정권'으로 돌아갈 뻔했다고 충격을 받았다.
<한겨레>가 확보한 70쪽짜리 '노상원 수첩'에는 "여의도 30~50명 수거" "언론 쪽 100~200(명)" "민노총"(민주노총) "전교조"(전국교직원노동조합) "민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임) "어용 판사" 등이 '1차 수집' 대상 500여 명에 포함됐다.
'체포조' 인원 편성은 5명에서 7명씩 한 조로 하고, 버스나 승용차를 이용해 이동시키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수첩에는 "여: 행사 인원 지정, 수거 명부 작성" "박안수 계룡대: 수집 장소, 전투 조직 지원" 등 내란에 가담한 군 장성으로 추정되는 이름과 역할도 적혔다.
실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시 체포 명단을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조지호 전 경찰청장에게 불러준 사실이 확인됐다. 수거 조처는 1·2차는 기무가(현 국군방첩사령부), 3~10차는 경찰을 활용하겠다고 적었다.
<한겨레>에 따르면 수첩에 적힌 수거 대상의 상당수가 '정치인 체포조' 명단과 중복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청래 의원, 권순일 전 대법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방송인 김어준 씨 등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 유시민 작가의 이름도 있었다. 이밖에 민주당 소속 서영교·고민정·윤건영·추미애·박범계 의원, 노영민 전 청와대 비서실장, 그리고 2023년 9월에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을 기각했던 유창훈 판사 등이 적혔다.
'대령→해병수사단장'은 채 상병 순직 사건을 수사했던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방송인 김제동 씨와 유명 축구 선수 출신인 차범근 씨의 이름도 언급됐는데 이들도 '수거 대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에이(A)'급으로 분류되는 대상들에게는 "그룹별로 묶지 말고 섞어서 수집소에 보낸다" "포승줄을 활용"할 계획이 세워졌다. 특히 좌파 판사, 좌파 검사, 좌파 방송사 주요 간부 등에 대해서는 "김두환('김두한'의 오기로 보임) 시대 주먹들을 이용해 좌파 놈들을 분쇄시키는 방안"을 강구했다. 이뿐 아니라 "막사 내 잠자리 폭발물 사용" "확인 사살 필요" "교도소 한 곳을 통째로 수감 음식물, 급수, 화학약품"이라며 살해 계획을 보이는 문구도 있었다.
수첩에는 체포 대상을 수용할 장소도 구체적으로 적혔다. 일명 '수집소'로 표현된 체포 장소로는 "오음리, 현리, 인제, 강원도 화천, 양구, 울릉도, 마라도, 전방 민통선 쪽" 등이 거론됐다. 검찰과 경찰은 군부대와 군 시설이 다수 있는 접경 지역을 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과 접촉해 북한을 이용하겠다는 방법도 적혔다. 수첩에는 "비공식 방법"이라며 "무엇을 내어줄 것이고 (북한) 접촉 시 보안대책"이라고 적었다. 또한, "외부 용역업체에서 어뢰 공격" "엔엘엘(NLL) 인근에서 북의 공격을 유도하거나 아예 북에서 나포 직전 격침시키는 방안 등"이라며 북한을 끌어들이려는 듯한 문구도 있었다.

수첩에는 '역행사 대비'라는 문구와 함께 "전담(민주당 쪽)" "9사단 30사단"이라고 적혀 있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뒤 야당을 포함한 국민적 저항이 있을 경우를 '역행사'로 부르며 육군 제9보병사단과 제30기계화보병사단을 동원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두 부대 모두 경기도 고양에 있어 서울과 가깝다. 특히 9사단은 12·12 군사반란 당시 노태우 전 대통령이 사단장으로 있었던 부대로 서울에 진입했던 병력이다. 30사단은 당시 1공수여단의 서울 진입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반란군에 동조했다.
노 전 사령관 수첩에는 지상작전사령부(지작사) 동원 정황도 나온다. 주요 사령관의 이름, 역할과 함께 수첩에 적힌 내용을 보면 "용인 : 역행사 방지 대책 강구"라고 적혀 있다. 경기도 용인은 지작사가 위치한 곳으로, 한반도 전쟁 발발시 한미 연합군사령부의 지휘를 받는 지상구성군사령부 역할을 맡고 있다. <한겨레>는 지작사가 비상계엄 선포 뒤 저항세력을 막고 그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는 임무를 맡을 것으로 봤다.
또한 윤 대통령의 재선, 삼선을 위한 헌법 개정 추진 계획을 세운 정황도 있었다. 수첩에는 "헌법 개정(재선~3선)"이라는 문구가 있다. 비상계엄 선포 뒤 "국회, 정치를 개혁"하고, "민심 관리(를) 1년 정도"한 뒤 헌법을 개정해 윤 대통령의 연임을 계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우리나라 헌법에는 '대통령 임기는 5년으로 하며 중임할 수 없다'고 정해져 있다.
특히 '행사 후속 조치 사항'이라며 비상계엄 후속 조처로 보이는 부분에는 "헌법, 법 개정"이라며 "3선 집권 구상 방안" "후계자는?"이라는 내용이 적혔다. 윤 대통령이 장기 집권한 이후 직접 지목한 후계자에게 권력을 이양하는 구상을 한 것으로 보인다. 수첩에는 또 "국가안전관리법 제정"이라는 문구도 적혔다. 이른바 '수거 대상'으로 지목한 반대 세력들을 척결하기 위해 근거 법령을 제정하려는 시도로 의심된다.
이뿐 아니라 선거제도에도 손대려 했던 정황이 있다. 노 전 사령관의 수첩을 보면 "중국, 러시아 선거제도 연구"라는 문구가 등장한다. 중국과 러시아의 선거제도는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이를 차용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수첩에는 "국회의원 숫자: 1/2" "선거구 조정" "선거권 조정" 등의 내용도 적혔다. < 민들레 김민주 기자 >
문재인·유시민 ‘수거’ 뜻…전직 HID “흔적 없이 날려버림”

비상계엄의 비선으로 꼽히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에 적힌 ‘수거’라는 표현은 “데리고 와서 흔적도 없이 날려버리겠다는 뜻”이라는 전직 북파공작원부대(HID) 교관의 발언이 재조명되고 있다. 13일 한겨레가 입수한 70쪽짜리 ‘노상원 수첩’에는 ‘수거’ 대상으로 야권 인사뿐 아니라 ‘좌파 판사’, ‘좌파 연예인’ 등이 포함됐으며 “확인 사살” 등 제거 계획까지 담겨 있어 파문이 일고 있다.
앞서 1월25일 방송된 에스비에스(SBS) ‘그것이 알고싶다’ 노병이 꿈꾼 신세계-작전명 백령도 편에서는 정보사령부 산하 에이치아이디 부대에서 활동한 전직 교관과 요원이 인터뷰에 응했다. 에이치아이디는 유사시 적진에 들어가 주요 인물을 체포·암살하도록 훈련받은 전문 특수부대로, 과거 북파공작에 투입됐다.
‘사람을 수거한다는 건 사람을 체포한다, 확보한다와는 다른 의미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얼굴과 이름을 가린 전직 에이치아이디 교관은 “그렇다. 수거한다는 건 아예 못 쓰게 만든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수거라는 말은 가장 위험한 말이다. ‘데리고 와서 흔적도 없이 날려버려’(라는 뜻)”이라며 “우리(에이치아이디 부대)가 제일 잘하는 게 그거다. 흔적도 없이 제거해 버리니까”라고 말했다.
이에 ‘그럼 수거는 제거 뒤 뒤처리까지 하는 것을 포함하는 거냐’고 취재진이 다시 묻자 그는 “그렇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