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t 뉴스

‘윤석열 부부 공천개입 의혹’ 서울중앙지검 이송…강혜경씨도 기소

시사한매니져 2025. 2. 17. 15:20

창원지검 수사팀 서울에서 계속 수사
명태균·안동지역 사업가 등 총 9명 기소

 

 
 
‘윤석열·김건희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사건’ 핵심인물 3명. 왼쪽부터 윤석열, 김건희, 명태균씨. 한겨레 자료사진
 

‘윤석열·김건희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사건’을 수사하는 창원지검이 이 사건 공익신고자인 강혜경씨 등 4명을 추가 기소했다. 창원지검은 또 이 사건을 서울중앙지검으로 넘기고, 수사팀도 서울로 이동해 계속 수사하기로 했다.

 

창원지검은 17일 ‘공천 관련 불법 정치자금 수수 등 중간수사 결과’ 보도자료를 내어 “김영선 전 국회의원과 그의 두 동생, 명태균씨, 강혜경씨, 경북 안동지역 사업가 등을 추가 기소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이 사건과 관련해 재판에 넘겨진 사람은 모두 9명으로 늘어났다.

 

창원지검은 또 “기소한 사건 외에 △대통령 등 공천개입 의혹 △공직선거나 당내경선 과정에서 여론조사결과 조작 의혹 △여론조사결과 무상제공 의혹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 등 여러 고발사건의 진상을 확인하기 위해 사건을 서울중앙지검으로 넘기고, 이지형 차장검사를 팀장으로 하는 현재 수사팀을 서울로 보내서 계속 수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창원지검은 “의혹사건 관련자 대부분이 서울 등 창원 이외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행위지도 주로 서울 지역인 점 등을 감안했다”라고 서울중앙지검으로 사건을 이송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김영선 전 의원은 창원 제2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 정보를 동생들에게 사전에 누설해 인근 부동산을 매수하게 한 혐의(공무상 비밀누설,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위반)를 받는다. 김 전 의원의 두 동생은 김 전 의원을 통해 알게 된 정보를 이용해서 2023년 3월15일 창원 제2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인근 토지와 건물을 3억4천만원에 구입한 혐의(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위반)를 받는다.

 

김영선 전 의원은 2021년 9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법률자문비를 가장해서 안동지역 사업가인 조아무개(62)씨로부터 정치자금 4050만원을 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도 받는다. 조씨는 정치 입문을 앞둔 아들을 위해 김 전 의원에게 부당한 정치자금을 기부한 혐의를 받는다.

 

또 김영선 전 의원은 실제 여론조사비용으로 2천만원을 사용한 사실이 없음에도, 2023년 12월 국회사무처 운영지원과에 허위 용역비 지급신청서와 여론조사 보고서 등을 제출해서 정책개발비 2천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사기)도 받는다. 이 과정에 강혜경씨는 실무 처리를 한 혐의를 받는다.

 

김영선 국회의원실 회계책임자였던 강혜경씨는 2022년 6월부터 같은 해 12월까지 1억803만여원의 정치자금 지출내역을 허위기재하고, 정치자금 4658만여원을 사적경비·부정용도 등으로 지출했으며, 3175만여원을 선관위에 신고하지 않은 계좌로 지출하고, 정치자금 8344만여원에 대한 증빙서류 구비하지 않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도 받는다.

 

강씨는 또 2023년 1월부터 같은 해 12월까지 정치자금 1억2608만여원에 대한 증빙서류를 구비하지 않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도 받는다. 이 과정에 김영선 전 의원은 감독 의무를 제대로 하지 않고, 정치자금 39만여원을 사적경비·부정용도로 지출한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를 받는다.

 

검찰은 국회의원 선거 공천과 관련해 정치자금 8070만원을 주고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지난해 12월3일 김영선 전 의원과 명태균씨를 구속기소했는데, 17일 강혜경씨도 이 혐의의 공범으로 불구속 기소했다.

 

앞서 지난해 12월3일 창원지검은 김영선 전 국회의원,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 실제 소유자로 알려진 명태균씨, 미래한국연구소 명목상 대표인 김태열씨, 대구·경북지역 지방선거 예비후보자 2명 등 5명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명씨는 또 자신의 휴대전화를 숨기도록 처남에게 지시한 혐의(증거은닉 교사)도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창원지검 수사팀은 국민의힘 중앙당사, 경남도청, 창원시청, 여론조사기관 등 61곳을 압수수색해서 증거물을 확보했고, 전 당대표·공천관리위원장·공천관리위원 7명, 여의도연구원장 등 국민의힘 주요 당직자, 대통령실 비서관‧행정관, 전현직 국회의원 8명 등 100여명을 소환조사했다. 또 명태균씨로부터 임의제출받은 휴대전화를 정밀분석하고 있다. < 최상원 기자 >

 

전 국정원장 “김건희-국정원 연결 비정상…난 영부인 문자 받은 적 없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 “영부인에겐 보고 안 해”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023년 3월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에서 조태용 당시 주미대사와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문재인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2·3 내란사태 전날 조태용 국정원장에 두차례 문자를 보낸 김건희 여사를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17일 시비에스(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국정원장과 영부인 간 문자 메시지 소통이 통상적이지 않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국정원장 출신인 박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한테는 보고를 해도, 영부인(김정숙 여사)한테는 보고를 안 한다”며 “김건희 여사는 별걸 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왜 영부인이 (국정원장인) 저한테 문자를 하느냐”며 “국정원의 업무와 영부인은 도저히 연결이 안 된다. 연관이 되는 게 비정상적인 관계”라고 했다.

 

앞서 13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기일에선 국회 쪽 대리인단에 의해 김 여사가 비상계엄 전날 조 원장에게 두차례 문자를 보냈고, 이튿날 조 원장이 답장을 했다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조 원장은 김 여사와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 내용은 “기억나지 않는다”고 했지만 공직자도 아닌 영부인이 국정원장에게 문자를 보내는 일 자체가 이례적인 것이어서, 김 여사가 내란 사태에 연루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됐다.

 

조 원장은 내란 사태 8개월 전, 윤 대통령이 ‘비상조치’를 언급했다고 알려진 대통령 안가 만찬 참석자 가운데 한 명이며, 비상계엄 선포 직전에 열린 국무회의 참석자이지만 비상계엄 선포엔 내내 부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김 여사가 비상계엄 선포 직전까지 조 원장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문자를 보낸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박 의원은 김 여사와 조 원장이 주고받은 문자가 어떤 내용인지 실체를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계엄 때 그렇게 문자를 받았기 때문에 그 내용을 밝혀내야 한다”며 “내란특검이 필요하다”고 했다. 박 의원은 문자 내용과 관련해선 “짐작도 안 된다. 진짜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 한겨레  심우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