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REA
국힘당, 제헌절 경축식에 '임을 위한 행진곡' 빼라 요구
시사한매니져
2025. 7. 17. 12:06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 앞서 전직 국회의장과 원로, 제헌유족 등과 환담하고 있다. ⓒ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이 제77회 제헌절 경축식 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연주 및 제창 순서를 빼달라고 요구했다. 삭제하지 않으면 행사 자체를 '보이콧(참석 거부)'하겠다고까지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17일 행사장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은 울려 퍼지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과거와 달리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넣어야 한다는 입장을 공식화하며 사실상 당론으로 채택해 왔다. 하지만 막상 제헌절 행사에 5.18을 상징하는 노래의 삭제를 요구한 모양새라 논란이 예상된다.
국회 측 "국힘, 노래 빼지 않으면 경축식 보이콧하겠다 했다"
앞서 국회 관계자는 <오마이뉴스>에 "국민의힘 측에서 '다시 만난 세계'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빼지 않으면 경축식을 보이콧하겠다고 했다"라며 "또한 행사에 사용된 영상에 삽입된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 사진도 빼달라고 요구했다"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국민의힘이 국회사무처와 국회의장실을 통해 공식적으로 요청한 것"이라며 "국회의장실에서는 해당 요청에 대해서 행사 기획 측에 판단을 맡겼다"라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이날 제헌절 경축식에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은 빠지고, '다시 만난 세계'와 영상 속 사진은 당초 기획대로 유지됐다. 국민의힘 소속 주호영 국회부의장,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행사에 참석했다. 국민의힘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며 타협한 모양새이다.
다른 국민의힘 관계자 역시 "해당 노래들을 경축식에서 빼달라고 당 차원에서 요구한 것은 맞다"라며 "12.3 비상계엄을 놓고 정치적으로 민감하게 충돌하고 있다 보니, 당 지도부 차원에서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에서 희생된 박기순·윤상원 열사의 영혼 결혼식을 위해 작곡된 '민중가요'이다. 이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노래로 자리 잡았으며, 시민사회계와 대학가에서 민주화운동 시기 널리 불렸다. 그러나 정권에 따라 해당 노래의 위상과 편향성을 놓고 논쟁이 반복되기도 했다.
걸그룹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는 2016년 이화여자대학교 투쟁에서 학생들이 부르면서 기존과 다른 정치사회적 맥락을 갖게 되었고, 전직 대통령 박근혜씨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사실상 젊은 세대의 새로운 민중가요처럼 의미를 부여 받았다. 특히 12.3 비상계엄 이후 내란 사태 정국에서 세대를 아우르는 광장의 노래로 각광 받았다. 이른바 2030 '응원봉 부대'를 대표하는 노래가 됐다.
유상범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 주제곡... 제헌절에는 맞지 않다"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운영수석부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한 뒤 나오며 기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 남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