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REA

대한민국 초대헌법 바탕 이룬 ‘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 내달 선보인다

시사한매니져 2025. 7. 31. 09:39

 

손상부분 보존처리 최근 마쳐
내달 덕수궁 돈덕전에서 공개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의 보존처리 작업 모습. 겉 지면의 오염물을 붓질하며 걷어내는 장면이다. 국가문화유산연구원 제공

 

일제강점기인 1920~40년대 중국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이 광복 뒤 나라 기틀을 어떻게 세우려했는지 보여주는 `건국강령 초안’이 내달 선보인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는 최근 보존처리 작업을 마친 국가등록문화유산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의 주요 면면을 최근 언론에 공개했다. 초안 실물은 내달 12일부터 10월12일까지 서울 덕수궁 돈덕전에서 열리는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에 내보일 계획이라고 센터 쪽은 밝혔다.

 

건국강령 초안은 모두 10장으로 이뤄졌다. 임시정부 요인이었던 독립지사 조소앙(1887∼1958)이 ‘삼균주의(三均主義:개인, 민족, 국가와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통해 이상 사회를 만들자는 정치이론)’에 바탕해 항일 독립운동과 광복 뒤 나라의 건설 방향을 친필로 갈무리한 문서다. 1941년 11월 28일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일부를 수정한 원안을 채택했고, 해방 뒤 1948년 반포한 대한민국 제헌헌법 바탕이 됐다. 조소앙이 먹글씨로 내용을 썼고, 고심하면서 고친 자취도 그대로 남아 역사적 가치가 높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 일부의 보존처리 전 지면(왼쪽)과 처리 뒤 지면(오른쪽).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제공

 

초안은 세월이 지나면서 지면 곳곳이 접히거나 찢어져 셀로판테이프를 붙였고, 잉크도 번지는 등 손상이 심화됐다. 이에 센터가 지난해 12월부터 보존 처리 작업에 들어갔다. 찢긴 부분 테이프를 떼고, 눌러붙은 과거 접착물을 제거했다. 오리나무 열매를 끓여 만든 염액으로 초안과 유사한 재질의 종이까지 만들면서 지면 손상 부위를 보강했다.

 

센터 쪽은 특제 보관상자에 안치한 초안을 돈덕전 전시 때 꺼내어 내보이게 된다. 앞서 내달 16∼21일 덕수궁 덕홍전에서 보존처리 과정을 조명한 전시도 마련한다.  < 노형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