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NADA
캐나다, 트럼프 관세폭탄에 부글 "미국산 불매…여행도 중단"
시사한매니져
2025. 8. 2. 22:16
세율 25%→35% 1일부터 적용…반미 정서 확산
카니 총리 "실망"…정재계 "불균형한 합의 안돼"
구매하기
캐나다 밴쿠버의 한 식료품 가게 [신화=연합]
캐나다가 오랜 이웃이자 동맹인 미국을 상대로 다각도로 무역 협상을 벌였으나 오히려 35%로 상향된 '관세 폭탄'을 받아들게 되면서 미국산 불매 운동을 필두로 반미 정서가 번지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일 자로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기존 25%에서 35%로 올렸다.
캐나다에서는 지난 2월 미국이 캐나다에 25% 관세를 적용한 이후 미국산 불매가 확산했는데, 이번에 관세 인상으로 불매 운동이 거세게 번지는 분위기다.
미국이 유예 없이 이날부로 캐나다에 상호관세율 35%를 적용함에 따라, 현재로서는 캐나다가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받는 나라가 됐다.
캐나다 CBC 방송은 무역협상 시한이 지나고 캐나다산 수출품에 35% 관세가 부과된 가운데 캐나다인들이 일상에서 무역전쟁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소개했다.
상당수 캐나다인이 캐나다산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미국산만 아니면 뭐든 괜찮다'는 식으로 생각했다. 또 미국 여행을 피하고 소비에 신중해지기도 했다.
CBC의 시청자 조사에서는 특히 식료품 매장에서 제품이 어디서 생산됐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는 응답이 많았다.
리타 베일리 씨는 "제품 표기를 확인하는데, 내가 사는 제품은 반드시 캐나다산이거나 무역 우호국 제품이어야 한다"며 제품 구매 전 원산지 확인에 기꺼이 시간을 투자한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부터 아내와 함께 미국산 불매를 시작했다는 래리 샤프 씨는 "우리는 집요하게 표기를 읽는 사람이 됐다"고 말했다.
또 집에서 미국까지 차로 20분 거리지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전에 자주 넘나들던 국경을 이제 넘지 않는다.
미국 국경 근처에 사는 지노 파올로네 씨도 "매달 두 번은 쇼핑, 주유, 외식, 골프 등을 위해 미국에 갔는데, 그들이 우리 경제를 무너뜨리려고 하는 동안 미국 경제에 보탬이 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또 캐나다인들은 자산이나 투자금을 미국에서 캐나다로 옮기고,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를 해지하고, 겨울에 미국에서 장기 체류하는 이른바 '스노버드(snowbird)' 여행을 중단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국산 불매에 나섰다고 CBC는 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를 비롯해 캐나다 정치권과 경제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을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카니 총리는 35% 관세 확정 후 발표한 성명에서 관세 인상을 두고 "캐나다 정부는 이 조처에 실망했다"라고 말했다.

지난 6월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나란히 서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AFP=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