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 음보코(85위·캐나다)가 여자프로테니스(WTA) 투어 옴니엄 뱅크 내셔널(총상금 515만2천599달러)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
음보코는 8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단식 결승에서 오사카 나오미(49위·일본)에게 2-1(2-6 6-4 6-1) 역전승을 거뒀다.
2006년생 음보코는 이로써 투어 대회 단식 결승에 처음 진출해 곧바로 정상에 올랐다. 이 대회 단식 우승 상금은 75만2천275달러(약 10억3천만원)다.
이로써 음보코는 1969년 페이 어반, 2019년 비앵카 앤드레스쿠에 이어 이 대회 단식에서 우승한 세 번째 캐나다 선수가 됐다.
부모가 콩고민주공화국 출신인 음보코는 올해 1월만 해도 세계 랭킹 333위였지만 이번 대회 우승으로 세계 랭킹 25위 안팎으로 오르게 됐다.
첫 단식 우승을 WTA 1000 대회에서 이뤄낸 것은 2009년 이후 음보코가 처음이다.
1년에 10개 대회가 열리는 WTA 1000 등급은 4대 메이저 바로 아래에 해당한다.
구매하기
빅토리아 음보코 [AP=연합]
또 음보코는 WTA 1000 대회 단식에서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세계 랭킹으로 우승한 기록도 남겼다. 이 부문 기록은 2005년 인디언 웰스 대회 킴 클레이스터르스(벨기에)로 당시 세계 랭킹 133위였다.
음보코는 이번 대회에서 코코 고프(2위·미국), 엘레나 리바키나(12위·카자흐스탄), 소피아 케닌(27위·미국)에 이어 결승에서 오사카마저 꺾어 단일 대회에서 역대 메이저 단식 우승자를 네 명이나 눌렀다.
키 178㎝인 그는 강한 서브가 주 무기로 이날 결승에서는 서브 에이스 4-1로 우위를 보였으나 더블 폴트도 13-5로 오사카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이날 승리로 음보코는 이달 말 개막하는 시즌 마지막 메이저 대회 US오픈에서도 강력한 '돌풍의 핵'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반면 전 세계 랭킹 1위 오사카는 2021년 2월 호주오픈 이후 4년 6개월 만에 투어 이상급 대회 단식 우승을 노렸으나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2023년 7월 딸을 낳고 2024시즌부터 코트에 돌아온 오사카는 출산 후 올해 1월 ASB클래식에 이어 두 번째 투어 대회 준우승을 달성했다.
올해 5월 우승한 프랑스 생말로 대회는 투어보다 한 등급 낮은 WTA 125 대회였다.
오사카는 이번 준우승으로 세계 랭킹 24위 정도로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 김동찬 기자 >
오사카, 결승 상대 음보코에 축하 인사 안 해…다음 날 사과
구매하기
음보코(왼쪽)와 오사카. [AP=연합]
오사카 나오미(일본)가 여자프로테니스(WTA) 투어 옴니엄 뱅크 내셔널(총상금 515만2천599달러) 단식 결승전이 끝난 뒤 상대 선수에게 축하 인사를 하지 않아 팬들로부터 비난받았다.
오사카는 8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단식 결승에서 빅토리아 음보코(캐나다)에게 1-2(6-2 4-6 1-6)로 역전패했다.
이어진 시상식에서 오사카는 "(준우승 소감을)짧게 말하겠다"며 "저희 팀과 대회 볼 키즈, 관계자 및 자원봉사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모두 좋은 밤 시간이 되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시상식에서 준우승자가 우승자에게 축하 인사를 건네는 것이 관례인데 이날 오사카는 우승한 음보코를 아예 언급도 하지 않았다.
2006년생 어린 선수인 음보코는 대회 기간 오사카를 '롤 모델'로 칭하며 존경의 뜻을 나타냈지만 오사카는 서둘러 준우승 소감을 끝내고 자리로 돌아갔다.
음보코는 이번 대회에서 자신의 첫 WTA 투어 단식 타이틀을 따냈다.
미국 스포츠 전문 매체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는 "오사카의 준우승 소감은 30초 만에 끝났다"며 "이로 인해 일부 팬들이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고 보도했다.
구매하기
음보코(왼쪽)와 오사카 [AFP=연합]
그러자 오사카는 9일 자신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과의 뜻을 전했다.
오사카는 "어제 음보코에게 축하 인사를 하지 않은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며 "미안하게 생각하며, 빅토리아에게 축하 인사를 전한다. 어제 정말 좋은 경기를 했고, 앞으로 훌륭한 미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어제 멍한 상태였고, 2018년 인디언웰스 시상식이나 2021년 호주오픈 시상식과 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해 최대한 짧게 끝내려고 하다 보니 그렇게 됐다"고 설명했다.
2018년 인디언 웰스 시상식 때 오사카는 다소 횡설수설하는 느낌으로 말하다가 말미에는 스스로 "아마 역대 최악의 우승 인터뷰인 것 같다"고 자책했고, 2021년 호주오픈 시상식에서는 오사카가 상대 선수였던 제니퍼 브레이디(미국)에게 "제니라고 불러야 하느냐, 제니퍼라고 부르는 게 좋겠느냐"라고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