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NADA

에어 캐나다 승무원노조, 파업 지속…18일 밤부터 운행 재개 밝혀

시사한매니져 2025. 8. 18. 12:03

 

에어 캐나다 승무원노조 파업 돌입…1일 13만명 항공편 차질

16일 오전 1시30분부터 72시간 파업 예고..정부, 강제 조정 절차 


                                              파업 후 시위하는 에어 캐나다 승무원 노조  [몬트리올 AP=연합]
 

캐나다 최대 항공사인 에어캐나다 승무원 노조가 16일 파업에 돌입하면서 하루 승객 약 13만명의 항공편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로이터·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캐나다 공공노조 소속 에어캐나다 승무원 약 1만명은 미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0시 58분부터 파업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항공사가 전날부터 운항을 취소한 항공편은 수백편에 달했다.

 

블룸버그는 "이 파업은 캐나다의 항공교통 시스템에 중대 차질을 초래한다"며 "캐나다 경쟁 당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에어캐나다는 토론토 공항 국내선의 50%, 몬트리올 공항의 61%를 차지한다"고 전했다.

 

승무원 노조는 지상 대기 시간 등 비행 외 노동시간에 대한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사측과 대치해왔으며, 사측이 일방적으로 임금 협상을 중단했다면서 파업을 예고해왔다.

캐나다 정부는 파업으로 항공편 차질이 가시화되자 강제 조정 절차에 착수했다.

 

패티 하지두 캐나다 노동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캐나다 산업관계위원회에 노사 양측에 대한 구속력 있는 중재 시행 및 즉각적인 파업 중단 명령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요청이 받아들여지면 노조원들은 업무에 복귀하게 되지만, 서비스가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는 며칠이 더 소요될 수 있다.               < 박성민 기자 >

 

에어캐나다 승무원노조, 정부 현장복귀 명령 일단 거부 후 운행재개 밝혀

 

 
                                       토론토 국제공항에서 피켓시위 중인 에어캐나다 승무원 노조  [로이터 연합]

 

캐나다 최대 항공사인 에어캐나다 노조가 파업에 착수한 가운데 정부가 곧바로 개입해 직권중재에 나섰지만, 노조가 현장 복귀를 거부하면서 갈등이 격화되는 모습이다.

 

에어 캐나다는 17일 오전 캐나다 정부의 운항 재개 및 파업 인력 현장 복귀 명령에 따라 이날 운항을 재개한다고 밝혔다가 이를 번복하고 운항 재개를 유보한다고 발표했다.

 

에어 캐나다는 "캐나다공공노조(CUPE)가 캐나다산업관계위원회(CIRB)의 현장 복귀 명령을 거부하라고 승무원 조합원들에게 불법적인 지시를 내렸다"라고 운행 재개 보류 사유를 밝혔다.

 

에어 캐나다는 오는 18일 밤부터 운행 재개에 들어갈 예정이다. 다만, 항공편의 완전한 정상화까지는 7∼10일이 더 소요될 전망이다.

 

앞서 에어캐나다 승무원 노조 1만명이 속한 캐나다공공노조는 임금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미 동부시간 기준 지난 16일 오전 1시 30분부터 72시간 동안 파업에 들어간다고 예고했다.

 

에어 캐나다 노사는 비행 외 노동시간에 대한 임금 보상 등을 둘러싸고 수개월 넘게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대치를 지속해왔다.

 

패티 하지두 캐나다 노동장관은 캐나다 최대 항공사의 운항 전면 중단에 따른 경제 충격을 고려해 전날 강제조정 명령을 내렸고, 캐나다산업관계위원회는 노사 양측에 17일 오후 2시까지 현장에 복귀하고 운항을 재개할 것을 명령했다.

 

이에 노조는 마크 카니 자유당 정부가 에어 캐나다 편에 서며 승무원의 권리를 부당하게 침해했다고 파업 강행 방침을 밝혔다.

 

노조는 이날 성명에서 "자유당의 행동은 에어 캐나다는 물론 다른 항공사들의 노사 평화도 보장하지 못할 것"이라며 "항공사들은 마크 카니의 자유당이 자신들을 구제해줄 것을 알기 때문에 노조와 교섭할 유인이 사라졌다"라고 비판했다.

 

에어 캐나다에 따르면 에어 캐나다 및 저가 항공 자회사 '에어 캐나다 루즈'의 하루 운항 항공편은 약 700여편에 달한다.                                < 이지헌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