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RLD
‘친중국-친대만’ 갈림길…리투아니아 이어 솔로몬제도 · 온두라스 갈등
시사한매니져
2021. 11. 27. 07:04
중국, 대만 손잡은 리투아니아에 보복…대사관→대표처 격하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 설치된 대만대표처의 명판. 빌뉴스/AFP 연합뉴스
중국이 대만 대표처 설치를 허용한 리투아니아에 대한 항의 표시로 리투아니아 주재 중국 대사관을 ‘대표처’로 격하시켰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6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외교부는 26일 자로 리투아니아 주재 중국 외교 기구를 리투아니아 중화인민공화국 대표처로 개칭하기로 한 결정을 리투아니아 외교부에 정식 통보했다”고 말했다. 중국의 해외 주재 외교 기구 중 가장 높은 것은 대사관, 그 다음이 공사관이며 대표처는 가장 낮다.
자오리젠 대변인은 “중국의 이번 조치는 리투아니아가 중국의 주권을 훼손한 데 대한 정당한 반격이며 책임은 전적으로 리투아니아에 있다”며 “중국 인민은 모욕당할 수 없으며, 중국의 국가 주권과 영토의 완전성은 침범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리투아니아도 중국 주재 외교 기구의 명칭을 상응해서 변경할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리투아니아도 대사관의 격을 대표처로 낮추라고 요구한 것이다.
중국은 지난 8월 리투아니아가 수도 빌뉴스에 ‘대만 대표부’ 개설을 허용하기로 결정한 직후부터 외교적 압박을 강화해왔다. 중국 수교국들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대만의 외교공관 명칭을 ‘대만’ 대신 수도인 ‘타이베이’를 앞세워 ‘타이베이 대표부’ 등으로 표기하는 것을 관행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대사 소환 등 전방위적 공세에도 리투아니아 주재 ‘대만 대표처’가 지난 18일 공식 개관해 업무에 들어가자, 중국 쪽은 21일 양국 관계를 대사관급에서 대표부급으로 격하시키는 등 보복 대응 수위를 높였다. 유럽연합(EU) 회원국 가운데 ‘대만’ 이름을 사용한 외교 공관 개설을 허용한 것은 리투아니아가 처음이다.
앞서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4일 정례 브리핑에서도 리투아니아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을 묻는 말에 “중국은 이미 여러 차례 밝힌 것처럼 앞으로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해 국가 주권과 영토를 수호하고, 핵심이익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친중국-친대만’ 갈림길…솔로몬 제도 ‘폭동’ 온두라스 ‘대선 과열’
친중·친대만 세력 치열한 경쟁
26일 솔로몬 제도 수도 호니아라의 차이나타운이 시위대의 폭동으로 파괴돼 있다. 호니아라/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