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REA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한국 등 반대 뚫고 가능할까
시사한매니져
2022. 2. 3. 01:17
한국 반대, ‘군함도’ 약속 위반, 강제동원 증거 등 쟁점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기구 내년 5월께 권고안
21개국 참여한 세계유산위원회 최종 결정
조선인 강제노동의 한인 서린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에 조선인 강제동원이 대규모로 이뤄졌던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을 강행하면서 유네스코가 어떤 판단을 내릴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1일 프랑스 파리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사도광산의 2023년 세계유산 등재를 목표로 추천서를 제출했다. 한-일 정부 모두 사도광산 등재와 관련해 태스크포스(TF)를 만드는 등 치열한 외교전이 예상된다.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려면 두 가지 관문을 거쳐야 한다. 우선 건축가, 역사학자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유네스코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가 오는 4월부터 사도광산에 대해 서류심사와 현지 조사를 진행한다. 내년 5월께 평가 결과를 근거로 등재, 보류, 반려, 등재 불가 가운데 한 가지를 택해 권고안을 결정한다. 이코모스의 의견이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긴 하지만 자문기구인 만큼 최종 등재 여부는 그해 6~7월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이코모스가 보류나 등재 불가 의견을 냈는데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사례가 있어 일본이 이를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 일본은 중국에 이어 분담금을 많이 내는 나라로 유네스코에서 영향력이 크다. 21개 위원국이 참여하는 세계유산위원회는 만장일치 결정이 관례지만 견해가 다를 경우 3분의 2 이상(14개국)이 찬성하면 등재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