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낮추면서 세계 경제·금융 질서가 격변을 맞고 있다.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경제를 지탱해온 달러 기축통화 체제가 큰 손상을 입었음을 뜻한다. 그런 만큼 실질적·심리적 충격이 얼마나 거셀지 가늠하기 어렵다.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선 차분하면서도 효용성 있는 대응이 각별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다. 
S&P의 결정이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미국이 재정적자 탓에 지출을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 경기가 침체하는 이중고에 빠져 있다는 데 있다.
 
미국 의회와 행정부는 최근 어렵사리 정부 부채한도 증액에 합의했지만, 증세를 확정하지 못해 재정적자 해소에 대한 의구심을 불식하지 못했다. 여기에다 완만한 회복세로 인식돼온 미국 경제의 침체가 생각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더블딥’(일시적인 경기회복 뒤 재침체) 가능성마저 거론되고 있다.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는 미국 경제의 더블딥을 기정사실화하며 미국 주가의 추가급락을 예고한 상태다. 미국 정부로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정책적 한계상황에 빠져 있는 셈이다. 
유럽에선 이탈리아, 스페인 등으로 재정위기가 확산돼 국제 금융시장의 또다른 악재가 되고 있다.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 등은 대외변수에 취약한 우리 경제에 심각한 위협요소다.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쳤던 지난 2~5일 코스피는 10.5%나 하락했는데, 이는 아시아 주요국 증시에서 가장 큰 낙폭이다. 지난 6월 말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비중은 31%로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또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도를 나타내는 정부 발행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 채권에 대한 신용부도스와프 프리미엄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외환 유동성 확보에 유의하면서 국내 자본시장이 대외 위험도에 휘둘리지 않도록 안전성 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달러화와 미국 국채를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여겨온 외환 관리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전세계 외환보유액에서 달러화 비중은 지난 3월 말 60.7%인 데 반해 우리는 그 비중이 지난해 말 63.7%로 상대적으로 높다. 정부는 외환보유액에서 달러화와 미 국채 투자 비중을 줄이는 등 다변화를 검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