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음악계에서 폭넓은 활동을 해오며 한의사로도 활동해온 원로 음악인 유인 씨(사진)가 3월12일 오전 향년 80세를 일기로 다운타운 Mount Sinai 병원에서 소천했다.
고인은 강원도 회양에서 유영휘 · 송명숙 부모의 장남으로 태어나 선친의 고향인 전주에서 전주고등학교와 국립 전북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전력에 근무하다 1977년 캐나다에 이민 왔다.
한국에서도 음악적 소양을 인정받아 활동했던 고인은 캐나다에 정착해 개인 비즈니스를 하면서도 오페라 솔리스트로 출연하는 등 음악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Royal Conservatory에서 수학한 것을 비롯, Tyndale University College에서 3년 과정 종교음악, 미국 Westminster Rider University Choir College에서 4년 과정 등 음악 지도자 공부도 계속하는 한편, 토론토 중부장로교회와 시온성교회, 초대교회에서 성가대를 지휘했다.
고 박재훈 목사가 창립한 토론토 한인합창단을 필두로 예멜합창단, 필그림합창단, 장로성가단 등 주요 음악단체의 중추 멤버와 임원으로 활약하며 한인 음악예술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한의학에도 관심을 쏟아 중국 베이징과 캐나다의 한의학 관련 학교들에서 공부하고 캐나다 한의사협회 회원 한의사 개업의로 활동해왔다.
유머러스 하고 낙천적이며 너그러운 성품으로 교제가 넓었던 고인은 음악 외에도 한방과 건강서비스에 관심을 두는 등 다채로운 발자취를 남겼다.
고인은 평소 건강했으나 지난 해 뇌출혈 증세로 입원했던 이후 혈압관련 지병을 치료하다 백혈병이 발견돼 항암치료를 해왔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떠났다.
유족은 부인 양순자 권사와 딸 예훈(Eunice), 바이올리니스트인 아들 승현(Daniel)이 있다.
형제자매는 모두 4명으로, 미국 LA지역 목회자인 친동생 유진 씨는 케냐 선교사로 사역하고 있으며, 캐나다에 사는 3명의 여동생 가운데 두 여동생의 남편인 이형인, 주창균 씨는 실협회장을 지냈다.
장례는 디모데 장로교회 (106 Ravenscrest Dr. Etobicoke, M9B 5N3) 김인기 담임목사 집례로 3월16일 오후 7시30분 교회에서 입관예배, 17일 오전 10시 발인예배를 드리고, 하관예배는 11시30분쯤 Highland Hills Memorial Gardens (12492 Woodbine Ave. Gormley, L0H 1G0)에서 드린다. < 문의: 416-858-4165 >
모국 윤석열 정권이 지난 6일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문제와 관련, 이른바 ‘제3자 변제 해법’을 발표한데 대해 캐나다 범민주원탁회의가 “해외동포와 민주시민들은 대한민국 ‘제2의 국치일’이 된 모욕감과 울분을 삼킨다”며 강력 규탄하고 소위 ‘해법’ 즉각 철회와 윤 정권 타도를 제창했다. 원탁회의는 이와관련 오는 18일(토) 노스욕 윌로우데일 연합교회에서 열릴 정기모임에서 동포 규탄집회를 가질 예정이다.
범민주원탁회의는 모국 정부 발표 직후 ‘윤 정권 대일 치욕외교를 강력 규탄한다’는 제하의 긴급성명을 내고 “삼일절 망언으로 독립항쟁의 민족정기를 짓밟은 것도 모자랐던 거냐”고 힐문하며 “국권침탈의 민족적 치욕을 자학적 과거사로 뭉개며 일제 만행과 전쟁범죄에 면죄부를 주는 것도 어불성설인데 무슨 약점을 잡혀서 일본에 알아서 기는 신종 매국노가 되었는가”고 쏘아부쳤다.
성명은 “찔리고 할퀸 상처는 스스로 참고 덮을테니 사과와 배상 염려치말고 잘 봐달라고 날강도에게 애소하는 ‘구걸 외교’를 어느 누가 권한 위임한 적 있었는가.”고 묻고 “대법원 판결은 무시하고, 평생에 한 맺힌 징용피해자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아도 좋으니 일본에 아첨하라고, 어떤 법사 나부랭이가 사주했느냐”고 추궁했다. 또 “식민사관에 찌든 윤 정권 눈에는 대한민국이 일본의 하인이나 속국으로 보이고. 독립운동에 생을 바친 선열들은 공연히 일본에 대든 철부지들로만 보이더냐”고 따져 물으며 “징용피해자들의 피눈물은 돈 몇 푼으로 닦으면 끝나는 오물쯤으로 보였던 게 틀림없다.”고 비판했다.
성명은 이어 “가해자가 기세 등등한 적반하장을 용인하거나, 피해자가 오히려 눈치보며 아부하는 정의의 타락을 두고 볼 수는 없다, 식민 오욕의 민족사가 사죄 배상도 없이 묻힐 수도, 군대 위안부로 강제 징용으로 천추의 한을 품은 어르신들이 왜인들의 비아냥 속에 눈을 감아서도 안된다”고 강조하고 “일본 군국주의 재무장론자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는 마당에 협력파트너 운운 미래를 논할 수는 없다”고 단언했다.
성명은 “대한민족 불굴의 자존과, 위대한 선열들의 자주독립·대동평화 유지를 받들어 결연한 투지를 모아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강제징용 해법 즉각 철회, △윤석열 검사정권 퇴진과 아울러 “친일 본색 윤석열은 즉시 물러나 일본에 귀화하라”고 주장했다. < 문의: canadaminju@gmail.com >
갤러리아 슈퍼마켓 계열의 창고형 회원제 할인매장으로 오픈한 KCC (KFT Wholesale Cash & Carry)가 지난 3월3일 오전 주요 한인 언론을 초청해 매장투어 및 소개 행사를 가졌다.
KCC는 이날 번 시 소재 매장(8500 Keele Street, Vaughan, ON L4K 2A6)에서 설명회를 갖고 캐나다에서는 최초의 한국상품 할인제 매장이라면서 면적 2만4천sqft 공간에 진열된 상품 등을 안내했다. 주요상품은 식품류로, 쌀과 잡곡, 야채, 과일, 정육, 수산, 조리 식품 등과 냉장·냉동식품 등을 주 7일간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문을 열고 도매가격으로 제공한다.
KCC는 △유통단계 대폭 축소로 초저가 할인판매, △쾌적하고 편리한 쇼핑공간, △믿을 수 있는 다양한 한국상품과 브랜드 엄선, △식당과 편의점 등 비즈니스 고객은 사업파트너로, 일반고객에는 알뜰쇼핑 서포터로 최적이라면서 한국상품 유통 20년의 노하우로 안정적인 상품공급과 원스탑 쇼핑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특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KCC는 회원제로 운영하며, 온라인(www.kftcnc.ca) 혹은 매장을 방문해 가입할 수 있다. 가입비는 일반회원 $20, 비즈니스 회원은 $50이다.
KCC는 오픈 기념으로 오는 3월31일까지 경품추첨 이벤트(4월7일 발표)를 진행중이며, 선착순 1천명에게 무료 회원가입 혜택을 준다. < 문의: 905-660-0763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