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개원식에서 ‘왕좌의 연설’…위기를 기회로

트럼프는 미련 못버리고  “미국 되면 골든돔 공짜”

 
 
캐나다 순방 중인 찰스3세 영국 국왕이 27일 제45회 캐나다 의회 개원식에서 ‘왕좌의 연설’(the Speech from the Throne)을 하고 있다. 오타와/로이터 연합
 

캐나다의 국왕이기도 한 찰스3세 영국 국왕이 27일 캐나다 연방의회 개원식에서 캐나다의 자결권을 강조하며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고 연설했다. 캐나다를 51번째 주로 편입시키겠다고 압박해 온 미국에 맞서, 간접적으로 캐나다에 힘을 실어주는 정치적 행보로 풀이된다.

 

찰스3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그의 연설 곳곳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국제 무역 질서가 흔들리고 캐나다 경제가 위협받는 데 대한 우려가 짙게 묻어났다. 그는 “오늘날 캐나다는 중요한 순간에 직면해 있다. 민주주의와 다원주의, 법치주의, 자결권, 자유는 캐나다인들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들이며 정부가 반드시 보호하겠다고 다짐하는 가치들”이라며 “완벽하진 않아도 수십년간 캐나다에 번영을 안겨 준 개방형 세계무역구조가 변화하고 있고, 캐나다가 동맹들과 맺어 온 관계도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찰스3세는 “많은 캐나다인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면서도 “쇄신의 기회” “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큰 경제 변혁을 시작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캐나다인은 어떤 대륙도, 어떤 외세도 빼앗을 수 없는 더 큰 가치를 스스로에게 줄 수 있다” “캐나다의 가치에 충실함으로써 캐나다는 모든 캐나다인에게 도움이 되는 새로운 동맹과 경제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캐나다는 국제 협력과 자유로운 상품·서비스·사상의 교류를 신뢰하는 뜻을 함께하는 국가들과의 연대를 구축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그는 “정부는 캐나다 군대를 재건, 재무장 및 재투자하여 캐나다의 주권을 보호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캐나다는 공식적으로 영연방 소속이지만, 국왕이 직접 캐나다 의회 개원 연설을 맡은 것은 이번이 역대 세번째일 정도로 드물다. 1977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한 이후 약 50년 만이다. 보통은 국왕을 대리하는 ‘총독’이 대독한다. 연설문은 카니 총리실에서 작성했으나 찰스3세가 승인한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연설은 미국과의 무역 및 안보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 시도 의지를 담은 동시에 미국에 대한 경제적 종속에서 벗어나려는 카니 총리의 계획도 강조됐다”고 분석했다.

 

캐나다 왕립 기마경찰대가 27일 캐나다 상원으로 향하는 찰스3세 국왕을 호위하고 있다. 오타와/AP연합

 

찰스3세와 카밀라 왕비의 방문 일정은 26~27일 이틀에 불과했으나, 캐나다 정부는 최고의 의전으로 국빈을 예우했으며 사람들의 환영 열기도 뜨거웠다. 27일 국왕이 탄 마차가 캐나다 오타와에 있는 캐나다 상원 건물 앞에 이르기까지, 백파이프와 북을 연주하는 군악대가 행진했고, 스물 여덟마리 말에 탄 왕실 기마경찰대가 호위했다. 상원 앞에선 붉은 제복을 입은 100명의 의장대가 영접했으며 21발의 예포가 발사됐고, 캐나다 왕립 공군 전투기는 하늘을 가르며 축하 비행을 펼쳤다. 환영하러 나온 시민은 “현재 미국 정부의 행태를 보자하니, 캐나다인으로서 정체성을 지지하고 싶어졌다”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이날 환영식엔 퇴임한 쥐스탱 트뤼도 총리도 모습을 보였다.

 

캐나다가 찰스3세 방문 카드를 꺼내 든 것은 평소 영국 왕실에 매료돼 있다고 알려진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노림수다. 엘리자베스 맥켈런 토론토대 정치학 교수는 “캐나다가 영연방이라는 사실을 이번 국왕 방문을 통해 트럼프가 인식했으면 하는 희망이 존재한다”며 “많은 캐나다 국민이 국왕의 지지를 기대하고 있으며, 올 초 버킹엄궁에 (캐나다를 상징하는) 단풍나무를 심기로 한 상징적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고 시비에스(CBS)와 인터뷰에서 분석했다. 캐나다에선 왕실이 ‘미국과 다른 캐나다의 정체성’을 상징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과거 주춤했던 군주제 지지 여론이 다시 상승하고 있다.

 

한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여전히 캐나다를 미국에 합병하겠다는 의지를 숨기지 않는 발언들을 쏟아냈다. 그는 미주 대륙을 감쌀 미사일방어망 ‘골든돔’ 구축 계획에 캐나다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한푼도 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만약 그들(캐나다)이 별도 국가로 있는다면 610억달러(약84조원)의 비용이 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정유경 기자 >

찰스3세가 27일 오타와에 있는 캐나다 상원에서 제45회 캐나다 의회 첫 회기 개회를 위한 행렬을 이끌고 있다. 오타와/AFP연합

프레데릭튼 고등학생 300명에게 북한 인권 실상과 분단 한반도 현실 알려

 

민주평통 토론토협의회(회장 유건인)가 후원하고 몬트리올 지회(지회장 홍준기)가 주최한 ‘북한 토크 콘서트-내가 북한에서 태어났다면’ 주제의 행사가 지난 5월9일 낮 뉴브른즈윅(New Brunswick) 주에 있는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학교로 알려진 프레데릭튼 고등학교의 모리슨 극장 (Marrison Theatre, Fredericton High School)에서 개최됐다.

 

이날 토크에는 프레데릭튼 고교 인문사회계열 학생 300여명과 교사 12명이 참석했고, 특별 게스트로 김은주 자문위원(몬트리올지회, 탈북민), Sandra Fahy 교수(Carleton University, 북한 전문가)가 참석해 학생들에게 북한의 인권에 대해 설명해 이해를 높였다.

 

이날 담당 교사이며 인문학 주임 앤드류 루트리지(Andrew Rutledge) 교사는 미리 2시간의 특별 수업을 편성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 분단 상황을 학생들이 이해하고 숙지하는데 도움을 주어 토크 콘서트가 일회성이 아닌 실질적 교육으로 이어지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토크 콘서트 진행 중 패널로 참가한 학생들은 ‘한국 내에서 통일에 대한 인식은 어떤지?’, ‘민주평통이 직면하고 있는 평화통일 난제는 무엇인지?’, ‘고등학생으로서 한국의 평화통일에 도움이 될 활동은 무엇인지?’ 등을 질문해 참가 학생들의 공감을 불렀다.

 

토크 콘서트를 마친 로리에 피어슨(Laurie Pearson) 교사는 ‘대한민국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밝혔고, 유안 야오(Yuan Yao) 교사는 ‘프로그램으로 행사가 지속되길 희망한다’는 뜻을 밝혔다. 앤드루 루트리지(Andrew Rutledge) 주임 교사는 ‘토크 콘서트를 정규 커리큘럼에 포함할 수 있도록 논의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날 콘서트 패널로 참가했던 알렉산드리아 포프(Alexandira Pope) 학생은, ‘북한 여성 대상 지원 활동이 강화되길 바란다’는 뜻을 전했고, 또 다른 학생, 사마 아메드 아프(Sama Ahmed Ouf)는 ‘청소년 민주평통이 있으면 참여하고 싶다’는 열의를 보였다. 청중으로 참여했던 매튜(Matthew) 학생은 ‘내가 가진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지 느꼈고 행사로 인해 깊은 감동을 받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토크 콘서트의 사회를 맡았던 김지현 자문위원(토론토협의회)은 “그동안 참여한 평통의 활동 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고 또 보람이 있었다. 학생들의 뜨거운 관심과 날카로운 질문에 놀랐고, 의미부여를 진지하게 해주신 선생님들께 정말 감사하다. 이들 모두와 함께 북한인권의 참담함과 한반도 통일의 필요성에 공감한 값진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행사 후 참여한 학생들은 설문조사에 응하고, 한국에서 가져온 간식(불닭 볶음면, 초코파이)과 열쇠고리를 선물로 받았다. 민주평통은 학교에 발전기금도 전달했다.

 

평통은 캐나다에서 5월이 아시아 유산의 달(Asian Heritage Month)이라며 이번 행사가 한국과 캐나다의 유대관계가 미래 세대로 이어지는 데 이바지했다고 평가, 행사를 준비하며 현지 관련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과 한국 정부의 원활한 지원이 있었다며 앞으로 캐나다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통일 공공외교의 지경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문의: toronto.puac@gmail.com >

 

5월 12일 이튼 씨어터 극장서 로얄 온타리오 뮤지엄 한국 행사

임수아 박사 특강... 큐레이터 소렌 브라더스 권성연 박사 패널 

 

기후변화가 한국의 문화예술에는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로얄 온타리오 박물관(Royal Ontario Museum: ROM)이 조선시대 기후변화와 예술의 연관성에 관해 ROM 소장 한국 컬렉션의 주요 유물들을 살펴보며 전문가들과 함께 탐색해보는 특별 토크를 5월12일(월) 오후 6시30분부터 9시30분까지 3시간 동안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매년 ROM의 동아시아 서포트 그룹인 Bishop White Committee Friends of East Asia가 주최하는 특강 시리즈로, 올해 처음 시작하는 ‘한-캐 문화교류의 해’를 기념하여 한국 포커스 행사로 기획됐다.

 

행사의 티켓 수익금은 ROM의 동아시아 프로젝트 기금으로 쓰이게 된다. 올해는 비숍 화이트 커미티의 기금으로 ROM 소장품 중 조선시대 불화 1점과 책거리 민화병풍 1점을 한국의 복원전문가에게 보내는 복원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권성연 큐레이터는 특히 올해 티켓 수익금의 일부로 내년 한국 문화예술 인턴십을 만들 계획이라면서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이번 토크에는 특강순서로 임수아 박사(Dr. Sooa Im McCormick: 클리브랜드 미술관 코리아 파운데이션 한국미술 석좌 학예연구관)가 출연하며, 패널리스트로는 ROM 기후변화 큐레이터인 소렌 브라더스 박사(Dr. Soren Brothers)와 한국문화예술 큐레이터인 권성연 박사(Dr. Vicki Sung-yeon Kwon)가 참여한다.

 

Soaa McCormick
Soren Brothers
큐레이터 권성연 Vicki Kwon 박사

특강 후에는 리셉션도 있을 예정이며, 토론토의 한국 전통예술 밴드 ‘한음(Haneum)’이 특별 공연을 할 예정이다. 장소는 롬 이튼 씨어터 극장(퀸스파크 길 웨스턴 출입구로 입장)에서 열린다.

 

이번 특별토크 티켓은 일반 $60, ROM 멤버는 $55이다.

티켓 구매 링크:https://www.rom.on.ca/whats-on/events/bishop-white-committee-friends-east-asia-big-chill

                                                                   < 문의: vicki.kwon@rom.on.ca>

캐나다 총선 자유당 재집권, 카니 총리 승리 선언 연설

 

 

4월28일 연방총선에서 마크 카니 총리의 자유당이 승리하며 집권 4기 연장에 성공했다.

 

앞서 보수당이 이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세 속에 신임 카니 총리가 역전 드라마를 이끌었다는 평가다. 카니 총리는 승리 연설에서 “미국의 배신을 잊지 않겠다”며 무역전쟁에서의 승리를 다짐했다.

 

일부 원주민지역과 경합지 개표가 늦어진 가운데 자유당은 하원 전체 343개 의석 중 169개 의석을 확보, 과반에 3석이 부족한 다수당으로 소수 야당과의 연정이 불가피해졌다.

제1야당인 보수당은 총 144석을 차지했고 이어 블록퀘벡당이 22석, 신민주당(NDP)은 7석, 녹색당은 1석이 당선됐다.

 

‘정치신인’ 카니 총리는 오타와 네피언 선거구에서 63.8%의 압도적 득표로 당선돼 하원의원 입성과 총리직을 거머쥐었다. 그러나 보수당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는 온타리오 칼튼 선거구에서 자유당 브루스 팬조이 후보에게 충격패 해 보수당 대표직은 물론 정치생명이 불투명해졌다. BC주 버나비 출신인 NDP 재그밋 싱 대표도 득표율 18.2%로 3위에 그쳐 대표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한인이 많이 사는 토론토 윌로우데일 선거구의 경우 자유당 알리 에사시 의원이 보수당 제임스 린 후보에게 4천여표 차이로 승리, 4선 고지에 올랐다.

 

이번 총선의 자유당 승리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압박과 '51번째 주가 되라'는 주권 위협 속에 반 트럼프와 반미, 애국심결집에 힘입어 이례적으로 단기간에 지지율 상승으로 정치적 대반전을 이뤘다는 분석이다.

 

캐나다 선거관리위원회는 4월18일부터 나흘간의 사전투표에 약 730만명이 참여해 역대 최고 사전투표율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1년 총선 때보다 25%나 증가한 것으로, ‘트럼프 위기’가 투표율 제고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카니 총리는 승리 연설에서 "미국과의 구연(舊緣), 꾸준히 통합을 확대하는 것에 기초한 관계는 끝났다"면서 "우리는 미국의 배신이 안긴 충격에서 벗어났지만, 그 교훈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 "우리는 이 무역 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단결을 강조했다.

 

그러나 집권여당의 과반 미달로 카니 총리는 유례 없는 외교·경제적 불확실성 속에 관세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산적한 국내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무거운 책임을 짊어지게 됐다. NYT는 카니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할 수 없는 태도에 맞서 무역과 안보 등 난제들을 논의해야 하는 한편 캐나다의 저성장과 높은 실업률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능력도 증명해야 한다면서 '험로'를 예상했다.

 

이번 선거는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독일에 이어 두번째로 실시된 주요국 선거로, 대미 관계 파열에 대한 캐나다의 대처를 엿본다는 점에서 세계적인 시선을 끌었다.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영국, 프랑스 등에서는 트럼프 대응 공조를 염두한 듯 환영 메시지를 보냈다.

 

NYT는 "캐나다의 선택은 트럼프에 대한, 그리고 그가 동맹국과 무역 파트너를 대하는 방식에 대한 일종의 반대 투표로도 해석된다"고 논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