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개원식에서 ‘왕좌의 연설’…“위기를 기회로”
트럼프는 미련 못버리고 “미국 되면 골든돔 공짜”

캐나다의 국왕이기도 한 찰스3세 영국 국왕이 27일 캐나다 연방의회 개원식에서 캐나다의 자결권을 강조하며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고 연설했다. 캐나다를 51번째 주로 편입시키겠다고 압박해 온 미국에 맞서, 간접적으로 캐나다에 힘을 실어주는 정치적 행보로 풀이된다.
찰스3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그의 연설 곳곳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국제 무역 질서가 흔들리고 캐나다 경제가 위협받는 데 대한 우려가 짙게 묻어났다. 그는 “오늘날 캐나다는 중요한 순간에 직면해 있다. 민주주의와 다원주의, 법치주의, 자결권, 자유는 캐나다인들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들이며 정부가 반드시 보호하겠다고 다짐하는 가치들”이라며 “완벽하진 않아도 수십년간 캐나다에 번영을 안겨 준 개방형 세계무역구조가 변화하고 있고, 캐나다가 동맹들과 맺어 온 관계도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찰스3세는 “많은 캐나다인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면서도 “쇄신의 기회” “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큰 경제 변혁을 시작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캐나다인은 어떤 대륙도, 어떤 외세도 빼앗을 수 없는 더 큰 가치를 스스로에게 줄 수 있다” “캐나다의 가치에 충실함으로써 캐나다는 모든 캐나다인에게 도움이 되는 새로운 동맹과 경제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캐나다는 국제 협력과 자유로운 상품·서비스·사상의 교류를 신뢰하는 뜻을 함께하는 국가들과의 연대를 구축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그는 “정부는 캐나다 군대를 재건, 재무장 및 재투자하여 캐나다의 주권을 보호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캐나다는 공식적으로 영연방 소속이지만, 국왕이 직접 캐나다 의회 개원 연설을 맡은 것은 이번이 역대 세번째일 정도로 드물다. 1977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한 이후 약 50년 만이다. 보통은 국왕을 대리하는 ‘총독’이 대독한다. 연설문은 카니 총리실에서 작성했으나 찰스3세가 승인한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연설은 미국과의 무역 및 안보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 시도 의지를 담은 동시에 미국에 대한 경제적 종속에서 벗어나려는 카니 총리의 계획도 강조됐다”고 분석했다.

찰스3세와 카밀라 왕비의 방문 일정은 26~27일 이틀에 불과했으나, 캐나다 정부는 최고의 의전으로 국빈을 예우했으며 사람들의 환영 열기도 뜨거웠다. 27일 국왕이 탄 마차가 캐나다 오타와에 있는 캐나다 상원 건물 앞에 이르기까지, 백파이프와 북을 연주하는 군악대가 행진했고, 스물 여덟마리 말에 탄 왕실 기마경찰대가 호위했다. 상원 앞에선 붉은 제복을 입은 100명의 의장대가 영접했으며 21발의 예포가 발사됐고, 캐나다 왕립 공군 전투기는 하늘을 가르며 축하 비행을 펼쳤다. 환영하러 나온 시민은 “현재 미국 정부의 행태를 보자하니, 캐나다인으로서 정체성을 지지하고 싶어졌다”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이날 환영식엔 퇴임한 쥐스탱 트뤼도 총리도 모습을 보였다.
캐나다가 찰스3세 방문 카드를 꺼내 든 것은 평소 영국 왕실에 매료돼 있다고 알려진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노림수다. 엘리자베스 맥켈런 토론토대 정치학 교수는 “캐나다가 영연방이라는 사실을 이번 국왕 방문을 통해 트럼프가 인식했으면 하는 희망이 존재한다”며 “많은 캐나다 국민이 국왕의 지지를 기대하고 있으며, 올 초 버킹엄궁에 (캐나다를 상징하는) 단풍나무를 심기로 한 상징적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고 시비에스(CBS)와 인터뷰에서 분석했다. 캐나다에선 왕실이 ‘미국과 다른 캐나다의 정체성’을 상징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과거 주춤했던 군주제 지지 여론이 다시 상승하고 있다.
한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여전히 캐나다를 미국에 합병하겠다는 의지를 숨기지 않는 발언들을 쏟아냈다. 그는 미주 대륙을 감쌀 미사일방어망 ‘골든돔’ 구축 계획에 캐나다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한푼도 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만약 그들(캐나다)이 별도 국가로 있는다면 610억달러(약84조원)의 비용이 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정유경 기자 >

'● CANA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통 몬트리올 지회 “북한 토크 콘서트 - 내가 북한에서 태어났다면” 개최 (0) | 2025.05.17 |
---|---|
ROM, 조선시대 기후변화와 예술 연관성에 관한 특별 토크 (0) | 2025.05.06 |
캐나다 카니 총리 "미국 배신의 교훈 잊어선 안돼" (0) | 2025.05.03 |
"강한 캐나다로 트럼프에 맞선다" 자유당 총선 승리 (0) | 2025.04.30 |
총선 앞둔 캐나다 '미국발 허위정보' 홍수… 자유당 카니를 집중 공격 (0) | 2025.04.27 |
캐나다 총선 D-5... 사전투표자 역대 최대 “트럼프 효과” (0) | 2025.04.24 |
총리 선거 앞둔 캐나다, 국민 4명 중 1명 가짜뉴스에 노출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