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규모 1720만3625헥타르로 2023년 이어 두번째


캐나다의 올해 산불 피해 규모가 역대 두 번째로 큰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로 인해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새로운 현실’에 접어들었다고 경고했다.
11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수백건의 산불이 통제 불능 상태로 타오르고 있는 가운데 올해 발생한 산불 기간 피해는 이미 캐나다 역사상 2번째로 최악인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산불(1850만 헥타르)에 이어 두번째로 큰 피해 규모(1720만3625헥타르)다.
캐나다 산불관리기관센터는 현재 캐나다 전국에서 발생한 470건 이상의 화재가 “통제 불능”으로 분류하고 올해 캐나다에서 산불로 731만8421헥타르 규모의 토지가 소실됐다고 밝혔다. 이는 5년 평균 411만4516헥타르보다 78% 증가한 수치다.
지금까지 가장 심각한 화재는 캐나다의 대초원 지역인 서스캐처원주와 매니토바주에 집중됐다. 이 두 지역은 올해 캐나다에서 소실된 면적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계속해서 퍼지고 있는 산불로 전국 각지의 수만명이 대피했다. 서스캐처원주에서는 6700여 가구에서 1만7천명 이상의 주민들이 캐나다 적십자사의 도움을 받아 대피했다. 동부 해안 지역인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전역에서 산불이 거세게 나면서 여러 도시에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새로운 일상을 마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이크 플래니건 톰슨리버스대 예측서비스·비상 관리 및 화재 과학 연구 의장은 “이것이 우리의 새로운 현실”이라며 “날씨가 따뜻해질수록 화재가 더 자주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운 기후는 대기 중의 연료, 죽은 초목 그리고 숲 바닥의 수분을 흡수해 산불이 발생하기 더 좋은 조건을 조성한다.
일본 유엔대학이 발간한 2025년 분석 보고서도 올해 캐나다 산불이 “기후 변화의 엄중한 징후”라며 “봄철의 따뜻하고 건조한 날씨가 기온을 평균 대비 2.5도 끌어올렸다”고 결론지었다. 이에 따라 산불 발생 기간이 더 늘어나고 더 자주 발생하게 됐다는 것이다.
캐나다의 산불로 연기가 미국으로 확산하는 상황을 두고 존 애버처글루 머세드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산불 문제를 국제적인 문제로 다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캐나다 산불로 이미 이번 달에만 여러 차례 미국에 심각한 대기질 경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 윤연정 기자 >
'● CANA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로템, 에드먼턴 트램 사업 수주분 첫 출고...사업 물량 현지 도착 (0) | 2025.08.09 |
---|---|
토론토서 9일∼12일 'K-박람회'… 한류산업 수출 지원 (0) | 2025.08.09 |
캐나다 들불 뜻밖의 방화 용의자… 고압선에 물고기 떨어뜨린 새 (0) | 2025.08.09 |
캐나다 무역대표 "카니-트럼프 며칠내 무역협상 대화 예상" (0) | 2025.08.06 |
한-캐나다 과학기술대회... 과기정통부, 한인과학자들과 소통 (0) | 2025.08.06 |
캐나다, 트럼프 관세 35% 맞아도 실제론 5%…그 비결은? (0) | 2025.08.06 |
캐나다, 트럼프 관세폭탄에 부글 "미국산 불매…여행도 중단" (0) | 202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