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반대 광고 '보복' 추가관세 발표 후 강경 입장 유지

카니 총리 "미국과 함께 앉을 준비돼 있다" 대화재개 희망

 구매하기
에어포스원서 취재진 만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를 당분간 만나지 않을 것이라며 캐나다와 조만간 무역 협상을 재개할 의사가 없다고 못박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방문을 마치고 일본 도쿄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 기내에서 취재진과 만나 한국에서 이번 주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카니 총리와의 회담 가능성에 대해 "그와 만나고 싶지 않다. 당분간 만나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캐나다와 맺은 합의에 매우 행복하다. 그냥 내버려 두겠다"고 강경한 입장을 유지했다.

 

그는 캐나다 온타리오주(州)가 관세 반대 광고를 하며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관세를 부정적으로 언급하고 자유무역을 옹호한 것처럼 보이게 했다며 지난 23일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을 전격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파장이 커지자 다음날 온타리오주는 문제가 된 광고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잘못된 것을 알고도 광고를 바로 중단하지 않았다면서 캐나다에 관세 10% 추가 인상을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10% 추가 관세 적용 시점이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지켜보자"고만 답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로이터=연합]
 

백악관은 지난 8월 캐나다에 관한 관세율을 25%에서 35%로 인상했다.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규정에 적용되는 상품들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해 대부분의 캐나다 상품에는 이 세율이 적용되지 않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관세 인상으로 해당 면제 조항이 유지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협상 재개 가능성 일축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측은 미국과의 무역 대화를 언제든 다시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카니 총리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차 찾은 쿠알라룸푸르에서 기자들을 만나 "캐나다는 미국과 그간 진행해온 협상과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진전을 이뤄낼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그는 "미국이 준비된다면 우리는 미국과 함께 앉을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 오수진 기자 >

무역협상 중단 이어 보복 강화…"캐나다가 월드시리즈 방영 방치"

 구매하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하 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 캐나다에 대한 관세를 추가로 10% 인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그들(캐나다)의 사실에 대한 중대한 왜곡과 적대 행위 때문에 나는 그들이 현재 내는 것에 더해 관세를 10% 인상한다"고 적었다.

 

그는 관세 인상 이유로 캐나다 온타리오주(州)가 주관해 만든 방송 광고를 들었다.

 

온타리오주는 최근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1987년 4월 일본에 대한 관세 부과 배경을 설명하는 연설을 활용한 광고를 만들어 방영했다.

 

광고에는 레이건 전 대통령이 관세를 부정적으로 언급하고 자유무역을 옹호하는 한편 관세가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와 미국인의 삶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 캐나다와의 무역협상을 중단한다고 전격 선언한 바 있다.

 

이에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 수상은 27일부터 해당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밝히며 진화를 시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지만, "그들의 광고는 곧바로 중단됐어야 했으나, 그들은 사기임을 알면서도 어젯밤 (미국 프로야구) 월드시리즈 도중에 방영되도록 방치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이 사기의 유일한 목적은 캐나다가 수년간 미국을 해치기 위해 활용해온 관세 문제에서 미국 대법원이 자신들을 구원해줄 것이라는 희망이었다"며 "이제 미국은 캐나다의 과도하고 억압적인 관세(그리고 세계 다른 국가들의 관세 역시)에 맞서 스스로 방어할 수 있다. 레이건은 국가 안보와 경제를 위해 관세를 사랑했지만, 캐나다는 그가 그렇지 않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는 레이건의 관세 관련 연설에 대한 사기 광고를 게재하다 현행범으로 적발됐다"며 "레이건 재단은 그들(캐나다)이 '레이건 대통령의 음성과 영상을 선별적으로 사용해 광고를 제작했다. 해당 발언의 사용 및 편집에 대한 허가를 요청하거나 받은 적도 없다'고 밝혔다"는 주장도 되풀이했다.                    < 박성민 기자 >

"캐나다 카니 총리, 경주 APEC서 시진핑과 회담 희망"

● CANADA 2025. 10. 25. 11:46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중국과 관세 부과에 따른 무역 갈등 협의 뜻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로이터 연합]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다음 주 열리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31일∼11월 1일) 기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회담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로이터 통신이 캐나다 정부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2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백브리핑에서 시 주석과의 양자회담 성사에 관한 기자 질의에 "우리는 회담이 있기를 희망하고 그에 따라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가능하다면 (경주) APEC에서 회담이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캐나다 당국자의 이 같은 발언은 중국과 캐나다가 관세 부과에 따른 무역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앞서 지난해 8월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에 100%, 철강·알루미늄에는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중국은 캐나다산 유채씨와 할로겐화부틸고무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다.

 

중국은 이후 지난 8월부터 캐나다산 유채씨에는 75.8%, 할로겐화부틸고무에는 최대 40.5%의 보증금을 부과하는 임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또 올해 3월에는 일부 캐나다 농수산 제품에 25∼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등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 이지헌 기자 >



 
 

2억1천700만달러에 지배사 지분 등 11.02% 취득…웨스트젯 10% 해당


대한항공 A330-300  [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은 23일 캐나다 2대 항공사 웨스트젯의 지배회사인 '케스트렐 탑코' 및 '케스트렐 홀딩스'의 지분과 채권 11.02%를 2억1천700만달러(약 3천109억원)에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이들 지배회사의 자회사인 웨스트젯의 지분 10%를 인수하는 것과 같은 효과다.

 

대한항공은 지난 5월 9일 웨스트젯의 지주회사의 지분 인수 계약을 맺은 바 있으며, 이번 거래 종결 절차 완료에 따라 계약에 따른 지분을 인수했다.

 

거래에는 대한항공과 조인트벤처(JV)를 맺고 협력 관계에 있는 미국 델타항공도 참여해 웨스트젯 지분 15%(3억3천만달러)를 인수한다. 델타항공은 보유 지분 가운데 2.3%는 에어프랑스-KLM에 매각·양도했다.

 

아울러 이번 거래와 맞물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웨스트젯의 이사로 선임됐다. 웨스트젯 이사회는 벤저민 스미스 에어프랑스-KLM 회장, 알렉스 크루즈 전 영국항공 회장 등 글로벌 항공 전문가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다.

 

조 회장은 2019년부터 국제 항공산업을 이끄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최고 정책 심의 및 의결기구인 집행위원회(BOG) 위원을 맡으며 글로벌 항공업계의 핵심 리더로 활동해 왔다.

 

대한항공은 이번 지분 인수로 웨스트젯과의 공동운항을 강화해 세계 주요 항공 시장인 캐나다는 물론 북미·중남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캐나다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영토가 넓은 국가로, 항공 교통 의존도가 높아 지난해 기준 330억달러 규모의 세계 7위 항공 시장이다. 2019년 이후 두 자릿수 성장을 거듭하며 인도 시장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의 통합과 함께 글로벌 항공시장에서의 다양한 협력을 추진해 고객 선택권과 편의성을 넓혀 글로벌 항공사로의 입지를 공고히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임성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