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탁구, 그 재미

● 칼럼 2017. 3. 7. 21:03 Posted by SisaHan

백세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이 유별나다. 어떻게 하면 우아한 행복을 누리며 살 수 있고, 어떻게 살면 품위와 아름다움으로 생을 마감할 수 있을까? 어느 모임에서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음식과 운동이 화제의 중심이 된지 오래다. 그러나 홍수처럼 넘쳐나는 정보를 어찌 다 믿고 실행할 수 있겠는가. 나는 마음건강을 신체건강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해 온지 오래다. 마음이 편치 않으면 몸도 따라 아팠으니 말이다. 소화도 안되고,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가 와서 하루 종일 정신이 맑지 못하고, 아무 일도 집중하지 못해 끝내 우울증에 빠져 들곤 하였다. 가능하면 내가 좋아하는 일에 집중하고, 신뢰하는 친구들을 만나 대화를 나누며, 긍정적 마인드로 살려는 노력은 당연한 일이 아닐까 한다. 터널같이 길고 지루한 겨울철을 콘도에 갇혀 보내는 일은 고역이다. 답답한 몸과 마음을 풀어줄 적당한 운동을 찾아 나섰다. 때론 산책이나 헬스 센터에 가기도 했지만, 이왕이면 여러 사람이 함께 교제를 나눌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센터로 발걸음을 향했다.


커뮤니티센터로 들어서면 ‘아이, 아야야, 어~, 아유~, 햐이’ 탁구장을 가득 채운 낯익은 의성어가 밖으로 새어 나온다. 그 정다운 소리에 나도 모르게 쌓인 스트레스가 한방에 날아간다. 마치 이른 새벽 생선시장에나 간 듯 팔팔한 생명감이 느껴온다. 탁구 치는 모습도 사람 얼굴 다르듯 모두 달라 각 사람의 개성이 있어 구경하는 재미가 심심치 않다. 몇 해 전 탁구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붙인 내 별명은 꽃사슴이다. 사슴처럼 몸과 발을 펄쩍펄쩍 뛰며 공을 받는 내 모습을 빗댄 재미있는 표현이다. 어찌 나뿐이겠는가. 모두에게 별명을 붙일 수 있을 만큼 특징이 있다. 번번히 공을 놓치면서도 폼만 좋은 폼순이, 탁구대에 삐죽 붙어 서서 공을 받는 뻐쩡녀, 한 자리에 버티고 서서 절대로 탁구공을 놓치지 않는 탁순이, 자기 게임보다 남의 볼만 찾아주고 있는 오지랖남, 매번 공을 놓친 아쉬움을 소리로 표현하는 애석남… 등등.


내 똑딱볼을 군말 없이 받아주는 남편 아닌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니 운동의 효과뿐만 아니라 삶을 성찰하는 기회도 만나고 있다. 어떤 이는 양쪽 코너로 힘없이 짧게 보내는 약 올리는 볼을 치는가 하면, 내지르는 볼을 주면서 마치 애완견 훈련시키듯 양쪽 방향으로 번갈아 보내는 이도 있다. 그럴 때 잠시라도 상대방을 얕잡아보거나 내 기분을 상할라치면 금세 실점으로 이어진다. 마치 선입견을 갖고 별볼일 없는 사람으로 여겨 잘난 체하다가 제풀에 망신을 당하는 격이다. 감정조절은 필수다. 어떤 이는 길게 힘찬 볼을 건넨다. 이럴 댄 탁구대에 가까이 서지 말고 몇 발짝 뒤로 물러서서 멀리 보고 공을 받아야 실수를 줄인다. 마치 가까이 서있는 나무만 보지 말고, 먼 숲을 바라보듯 삶을 관조해야 하는 것과 동일하다. 힘찬 볼은 상대적으로 힘을 빼고 받아야지 같은 강도로 되받으면 영락없이 아웃 볼을 치게 된다. 그러나 때론 강한 사람에게는 강하게, 약한 사람에게는 약하게 대하는 관계의 기술이 탁구에서도 필요한 것 같다.

물론 숙련된 이가 아니면 어설프게 따라 할 수 없는 고도의 기술이다. 어떤 이는 볼을 돌려 친다. 분명히 눈 앞에 떨어지는 볼을 보고 되받았는데 엉뚱한 방향에 볼이 있어 헛손질하기 일쑤다. 이럴 땐 서두르지 말고 잠시 탁구대에 떨어진 볼이 튀는 방향을 보고 되받아야 한다. 마치 권모술수에 능한 사람을 대하듯 신중하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 것과 같다. 어쨌든 어떤 볼이 날아오든 먼저 흥분하여 서두르면 낭패를 본다. 빨리 날아오는 볼을 보고 잠시 숨을 고르며 되받아야 하나, 실력이 떨어질 수록 반격하는 속도가 빨라져 실점할 수 뿐이 없다. 또한 나처럼 몸이 먼저 움직이면 여전히 낭패하기 십상이다. 마치 자기 성질대로 감정대로 다급하게 일을 처리하다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처럼 말이다.


모든 운동은 자신과의 싸움이다. 모자라는 실력으로 득점만 앞세우는 무모한 공격은 영락없이 실점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상대방이 허술해 보일 때를 기회로 삼아 그의 실점을 유도하는 것이 상책임을 실수로 배우고 있다. 그러려면 어떤 상대를 만나더라도 흔들리지 않는 기본실력부터 연마하는 것이 우선이지 싶다. 특히 볼이 약할 때는 강하게 받고, 강한 볼은 약하게 되받는 힘의 강약조절과 몸의 유연함을 훈련해야 할 것 같다. 이즈음은 운동도 될뿐더러 일상에 안주하지 않으려는 시도로 시작한 탁구로 잃어버린 열정과 도전을 되찾아간다. 건강한 활기를 샘솟게 만드는 탁구, 겨울이 저만치 물러나있다.

< 원옥재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원, 전 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