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내가 뽑은 성군 (聖君)

● 칼럼 2017. 12. 28. 18:20 Posted by SisaHan

성군(聖君)이란 인덕이 아주 뛰어난 어진 임금을 말한다. 요새같이 임금이 드문 세상에는 한 나라의 최고 정치 지도자라고 할 수 있겠다. 누가 나보고 조선 역사에 남는 성군을 말해보라면 제 4대 임금 세종대왕과 제22대 임금 정조를 꼽겠다. 세종은 한글을 만든 임금으로 조선 517년 역사에 가장 찬란하고 후덕한 발자취를 남긴 임금이니 별 수식이 필요 없지 싶다. 정조는 생각 밖으로 진보적인 생각을 가졌던 임금으로 24년 3개월간 조선을 통치하다가 석연치 않은 일로 죽었다.
정조는 뒤주 속에서 죽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당시 조정 안팎을 주무르던 노론 세력에 눌려 말 한번, 행동 한번 마음 속에 있는 대로 내놓아 보질 못하고 세자 시절을 보냈다. 주위에는 자기를 헐뜯기에 바쁜 노론세력들이 눈을 부릅뜨고 있고 왕위에 오르기 전이나 후에도 그를 죽이려는 암살 기도가 끊임없었던 세상. 정조가 임금이 되고 나서도 그를 죽이려는 세력들이 존현각 지붕을 뚫고 들어가려다가 밤 늦도록 책을 읽는 정조에 들켜 도망치지 않았던가.

왜 정조가 내가 뽑은 성군 둘 중에 들어가는지를 설명할 차례다. 정조가 임금자리에 오른 것은 그가 24살, 아버지 사도세자가 죽은 지 꼭 13년 만이다. 그는 왕위에 오르자마자 아버지 사도세자를 죽이는데 앞장섰던 처 삼촌 홍인한, 정후겸, 아버지 영조의 새 장인 김귀주 등을 사형했다. 정조의 장인, 그러니까 홍봉한은 당시 노론의 총수로 사도세자를 죽이자는 것을 노론의 당론으로 합의를 본 사람이고 사도세자가 들어앉을 뒤주까지 구해서 영조에게 바친 사람이다. 홍봉한도 사형 후보자에 올랐으나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배려하여 죽이지는 않았다. 혜경궁 홍씨는 망해가는 친정을 구하기 위하여 4번에 걸쳐 <한중록>을 썼다. 그러니 <한중록>을 사도세자의 참상을 회고하는 고백이라기 보다는 무너져가는 친정을 살리기 위한 정치적 백서에 지나지 않는다는 게 사가들의 의견이다.

둘째, 정조가 성군이라는 이유는 정조의 인재기용 및 문예부흥이다. 정조는 이승훈이 북경에 가서 세례를 받고 돌아온 후에 빠르게 교세를 확장하고 있는 천주교에 대해서 조정에서 이들에게 너무 예민하게 대하지 말 것을 제안했다. 정조는 지식인들, 그것도 서출(庶出) 계열의 학자들을 대거 등용, 규장각을 세워 문예 부흥을 시도했다. 양반가에서 태어난 서자는 주인 못지 않는 학문을 이루었는데도 어머니의 신분이 낮다는 이유 하나로 차별대우에 시달렸다. 이에 정조는 성호 이익의 서자 청장관(靑莊館) 이덕무, 유관의 서자 유득공, 북촌 사대부집의 삯바느질로 서출 아들을 당대 제일의 학자로 만든 초정(楚亭) 박제가 등 실로 기라성 같은 큰 학자들을 대거 기용했다. 진보적인 생각을 가졌던 정조는 현실에서 소외된 선비들이 모여서 실학의 한 주류인 북학파, 즉 농산업 중심의 개혁론을 주창한 이용후생학파의 형성을 말없이 도왔다. 북학파의 근본취지는 청나라의 발전된 문물을 배우자는 것. 겉으로는 매년 사신을 보내면서도 청나라를 오랑캐라며 멸시하는 성리학자들의 이중적 처신이 지배하는 나라 조선에서 청나라를 배우자고 주장하는 것은 당시로써는 혁명적인 인식 전환이었다.

정조는 뒤주 속에서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를 생각하면 금새 피눈물을 쏟는 심정이 되곤 했다. 양주 배봉산 언덕에 묻힌 사도세자의 무덤은 수은묘라 불렸다. 정조가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기기로 마음먹었던 것은 10년 넘어 일, 노론의 눈치를 보느라 이렇게 늦었다. 정조가 성군이란 증표는 사도세자의 수은묘 이장에서도 잘 나타난다.

그는 무엇보다도 이주한 백성들에게 후하게 보상해주는 것은 물론 더 살기 좋은 곳으로 이주지를 잡아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둘째는 백성의 강제부역을 일체 금지하는 것이었다. 이주해야 할 백성은 200여 가구. 정조는 균역청의 돈 10만량을 이주비로 사용케 하고 내탕금(임금의 자금)까지 희사했다. 정조는 “털끝만한 폐도 백성들에게 끼치지 않겠다.”면서 사도세자의 상여도 백성의 부역이 아니라 일꾼을 사서 상여를 매게 했다.

시대가 흘렀어도 인간 됨됨이가 좋은 자질로 태어난 사람이 있고 나쁜 자질로 태어난 사람들이 있다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맞장구를 치지 싶다. 우리는 1945년 해방 이후 한번도 성군을 가져보지 못했다. 그 반대로 국민들에게 거짓말을 하거나 죄 없는 사람을 잡아다가 거짓 자백을 강요한 뒤 좌파니 종북세력이니 하는 올가미를 덮어 씌우는 것을 능사로 삼는 악질 관리, 악질 정치가들만 쏟아져 나왔다. 학교에서는 도덕을 가르치고 사회생활을 가르치는데도 날이 갈수록 이 사회는 점점 거칠어지고 혼탁해 가기만 한다. 성군다운 정치가는 언제 오려나.

< 이동렬 - 웨스턴 온타리오대 명예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