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나 역사에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그런 역사에 대한 관심은 역사현장에서 일어나고 진행되는 어떤 현상이 위기적이라고 판단되고, 그 위기적 현상에 대해 ‘나’는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고 어떤 답을 찾아나서야 하는가를 고민할 때 부쩍 증폭한다. 그런데 어떤 현상을 위기로 보느냐, 그리고 그 현상의 어느 점을 위기요소로 보느냐 하는 판단은 사람마다 다르고, 그래서 같은 사건에 대해서 정반대의 방향으로 대응하기도 한다. 그런 대조적 반응을 우리는 지난 겨울부터 한 해 동안 멜 라스트만 광장에서 몇 차례 열렸던 동포들의 시위에서 어떤 이들은 ‘박근혜 탄핵’ 피켓을 들었고 어떤 이들은 태극기를 드는 것을 통해서 실증적으로 보았다.


그렇게 하나의 사건을 놓고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것을 보노라면, 역사란 지구가 태양을 도는 것처럼 속에 담고 있는 어떤 일정한 법칙을 따라 진행되는 것일까, 아니면 해가 지구를 도는 것처럼 인간들의 일상성 속에서 그냥 우연히 발생하는 흔적들의 누적이라고 봐야 할까 하는 질문을 만나기도 한다. 누구나 알듯이 지구가 태양을 돌아서 사계절이 생기고 자전을 통해서 주야가 생긴다. 그러나 대부분의 우리는 그냥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맞이하고 아침이면 해가 뜨고 저녁이면 해가 지는 일상 속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생활 패턴으로 살아간다. 그리고 바로 그런 식으로 살아온 인간들에 의해 역사는 오늘까지 흘러온 것이 아니겠는가 싶기도 하다. 그러니 위 질문에 대해 뭐라고 답해야 할지 상당히 난감한데, 그러나 두어 가지 점을 생각해 볼 수는 있을 것 같다.


하나는, 모든 생명체들이 진화라는 법칙을 타고 살아왔듯이 역사도 진화의 법칙을 타고 오늘까지 전진해 왔다는 점이다. 모든 생겨난 존재들, 심지어 지구 같은 무생명체까지도 언젠가는 반드시 사라진다. 그리고 그것들의 그런 생멸(生滅)의 사이 과정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변화과정인데, 생명체들의 변화는 어떤 연유 때문인지 모르나 필연적으로 꼭 그래야 하는 것처럼 진화의 형식과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것이 모든 생명체들의 흐름을 끌고 가는 법칙인데, 인간들이 엮어온 역사라는 것도 인간이란 생명체 자체가 그래왔던 것처럼 진화의 법칙을 따라 흘러왔음을 우리는 본다. 물론 경우에 따라 앞으로 전진했다가 뒤로 미끄러지기도 했지만,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역사는 꾸준히 앞으로 전진해왔고 진화해왔다. 그리고 역사를 그렇게 진화의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힘은 말할 나위 없이 바로 인간에게서 나왔다.


또 한 가지 생각해 볼만한 점은, 역사(history)란 학자에 따라 다르게 쓰여지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 다시 쓰여지기도 하는 영역이지만, 그러나 결국은 보편적인 하나의 모습으로 종합된다는 점이다. ‘역사’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하나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 자체를 역사(Geschichte)라고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어난 사건을 관찰하고 해석해서 기록으로 쓴 것을 역사(history)이라고 보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란 역사학자들이 자료를 모으고 조사 탐구해서 기록한 역사책을 통한 역사다. 그런데 역사학자들은 똑 같은 사건이라도 다른 시대적 위치, 다른 지리적 위치, 다른 견해적 위치에서 다른 내용의 역사를 기록하기도 하고 다시 고쳐 쓰기도 한다. 그래서 실제로 한 사건에 대해 다르게 기록된 역사(history)들이 비일비재하다. 가령 일제시대 때의 위안부에 관련된 사실에 대해 한국인이 쓴 역사와 일본인이 쓴 역사가 다른 것이 그런 한 예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계는 어떤 역사(Geschichte)적 사건을 시간이 흐를수록 하나의 통일된 보편적 기준으로 평가하게 되고 그래서 드디어는 그런 보편적 가치기준으로 평가된 통일된 역사(history)를 기록하는 쪽으로 간다.

그것은 세상이 발전하면 할수록 인간이란 존재에 적용하는 공통분모적 기준가치가 개인차원에서는 자유로, 공동체 차원에서는 평등으로 통일되어 자리매겨져 왔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인간이란 자유와 평등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얻고자 꾸준히 투쟁해 온 역사현장적 존재이기도 하고, 그 투쟁의 모습을 계속 진화되어 온 기준으로 새롭게 들여다보고 기록해 온 존재이기도 하다.
우리는 앞으로 한국에서 인간이 어떻게 대접받고, 인권이 어느 만큼 신장될지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어려운 고개들을 넘기도 하겠지만, 상당히 발전된 대접을 받는 쪽으로 가지 않겠는가 예측해 볼 수는 있을 것 같다. 그런 예측은 말할 나위 없이 한국국민들이 2017년 한 해 동안 내내 보인 촛불로 상징된 눈부신 역사관심 및 행동양식을 통해 화려하게 승리를 거둔 정치적 및 사회적 현실에서 나온 예측이다.

< 윤용섭 - 전 언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