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오월에는

● 칼럼 2014. 5. 10. 16:24 Posted by SisaHan
봄비 내리는 토요일 오후, 손녀 서현이와 데이트를 계획한다. 아니 계획이라기보다 불현듯 스친 생각이다. 세 살짜리 아이의 버릇을 바로잡기 위해 회초리를 들었다는 아들 마음이 안쓰럽고, 시시때때 그 앞에서 자지러질 아이를 떠 올리니 마음이 아려서 한 역할 하고 싶었던 게다. 여든 넘도록 성품 좋은 사람이 되려면 이 시기에 꼭 필요한 교육이지만 나에겐 일련의 과정들이 아픔으로 다가온다. 
데이트 장소는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 가게로 정했다. 호기심에 빠진 아이의 발걸음에 보조를 맞출 수 있을 지 의문이지만 꿈의 궁전을 원 없이 돌다보면 부녀의 신경전이 조금이라도 느슨해 지지 않을까. 이제 겨우 세 번째 봄을 맞는 새싹과 함께 데이트 할 생각하니 고목에 초록물이 드는 것 같다. 
아이를 카시트에 앉히고 옆자리에 좌정했다. 뽀송하고 보드라운 손을 입술에 갖다 대니 녀석은 나 보다 더 어른스런 미소를 짓는다.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란 윌리엄 워즈 워드의 무지개가 그 얼굴에 걸린 듯하다.
 
‘할머니 집 말고 장난감 가게 가는 거지요?’ 아이는 다짐하듯 묻는다. 아뿔싸.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할머니 집 외출이 최고였는데 요즘은 인기가 시들해졌다. 덩달아 할머니 시세도 예전만 못함을 실감한다. 풍요의 시대, 전자기기가 만연한 시대에서 커가는 아이에게 반대 여건을 고집했더니 이제 먹히지 않는 시기가 된 모양이다. 지금 아이가 기억하는 할머니 집은 아마도 고장 난 텔레비전에 몇 안 되는 장난감과 내용을 달달 외우는 동화책 몇 권만이 있는 곳 일 게다. 부엌의 싱크대며 수납장, 화장대, 등 아이가 탐냈던 곳은 아낌없이 개방했고 숨바꼭질이며 춤, 노래까지 몸 개그도 불사했건만……. 무정한 녀석이다. 예전의 인기를 회복하려면 절충안을 고려해야 할 지 말지 고민을 해야 할 것 같다. 차가 쇼핑몰로 진입하자 아이는 ‘여기 아니고 저기!’ 하며 눈에 익은 곳을 손짓하며 조바심을 낸다. 
남편과 나는 카트를 밀기보다 아이의 양손을 하나씩 잡고 매장으로 들어섰다. 부모와 함께 오면 으레 그러는 듯, 두어 번 스윙을 해 달래더니 걸음을 멈춘다. ‘하버지는 요렇게 할머니 손잡아요.’ 아이는 남편과 나의 손을 엮어주고 옆으로 빠져나와 내 손을 잡는다. 그리곤 자유로운 한 손으로 장난감을 짚어가며 영상속의 캐릭터와 조잘거린다. 아이답지 않은 기특한 생각을 한다했더니 나름대로 속셈이 있었던 거다.
 
눈높이 데이트는 의외로 재미있었다. 아직 뭔가를 가지고 싶은 욕망이 적은 연령대라 품에 안는 것 보다 보는 걸 더 좋아했다. 아이가 이끄는 대로 다니며 보아주고 태워주다 보니 함께 즐기는 시간이 되었다. 특히 사내아이만 둘 키운 나는, 무기고 같은 장난감 코너가 삭막하게 각인되어 있는데 비해 여아들의 코너는 아기자기 하면서도 이야기가 있는 공간이어서 다채로웠다. 아이는 과자 한 봉지, 우리는 공주님 드레스와 장난감 노트북과 알파벳 블록 쌓기 한 통을 골라서 차에 올랐다. 
손수 고른 과자 봉지를 안고 흡족한 표정으로 사각거리는 아이의 얼굴은 바로 천사의 모습이다. 밝고 맑은 순수함의 대명사, 저 얼굴을 위해 어른인 나는 무엇을 어떻게 하며 살아야 하는가. 여객선 참사 이후 묵직하게 누르고 있던 돌덩이가 비로소 흔들리기 시작한다. 자식들 위해 나선 길이지만 오히려 위안을 받는 시간이 되었다. 
 
비통함 속에 어이없이 보낸 사월의 아이들은 가슴에 묻고 오월에는 다시 시작해야 한다. 실추된 우리의 모습을 세우기 위해 그리고 저 어린 새싹들을 위해.

< 임순숙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에세이스트’로 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