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은 절망을 낳고 그 절망이 다시 비극을 낳고 있다. 요 며칠 새 세월호 참사로 아들을 잃은 어머니와 딸을 잃은 아버지가 슬픔을 못 이기고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일이 벌어졌다. 자식을 먼저 보낸 아픔은 좀체 멈출 줄을 모른다. 적절한 심리치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무기력과 허탈로 삶의 의욕을 잃고, 모든 것을 포기하는 태도가 계속될 수 있다. 그런 삶은 언제 어디서 끊어질지 모른다. 자칫 잘못하다가는 세월호 침몰은 자식과 함께 그 부모까지 데려가게 될 판이다.
 
무엇보다도 부모의 상처 난 가슴에 소금을 뿌리는 짓부터 멈춰야 한다. 페이스북에 유가족을 비난하는 글을 올린 한 사립대 교수나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같은 망언은 더이상 없어야 한다. 또 해경이 나서서 피해 가족들에게 사고 상황을 설명하는 일도 중단해야 한다. 검찰 수사 내용을 보면, 이제 해경은 구조자가 아니라 아이들의 죽음을 방치한 범인으로 바뀌고 있다. 부모들에게 더는 치욕을 안겨서는 안 된다.
현재 피해 가족에 대한 정신건강 상담과 치료는 안산 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가 맡고 있다. 지금까지 213가구를 찾았지만 상담에 응한 건 110가구뿐이라고 한다. 부모들의 마음이 상담조차 받을 수 없을 정도로 무너져내린 것이다. 사고를 겪으며 느낀 공포, 분노, 슬픔 등의 충격적인 감정들은 표현돼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무조건 억눌린 감정을 드러내도록 유도하는 것 또한 매우 위험하다. 미국에서 9.11테러 뒤 심리치료 결과를 추적조사한 경험이다. 그러니 매뉴얼대로 부모를 상담할 게 아니라, 치유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심리치유 전문가 정혜신씨는 “집이라도 치워주고 밥이라도 챙겨주면서 이미 깨져버린 일상을 더이상 깨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귀담아들어야 할 대목이다.
 
상처받은 이들이 절망의 늪에서 벗어나 보호받고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려면 무엇보다도 사회적 연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세월호 참사로 자식을 잃은 부모에겐 우리 사회가 그 아이를 영원히 기억할 거라는 믿음이 생을 지탱하는 힘이 될 것이다. 정혜신씨는 숨진 아이의 친구들이 아이에 대한 기억과 함께했던 느낌을 편지로 써서 숨진 친구의 부모에게 보내는 운동을 하자고 제안한다. 이런 편지가 부모들에게 최소 10년은 배달되면 좋겠다고도 했다. 어린아이들에게만 맡길 일은 아니다. 이 비극에 눈물을 흘리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리본이든 엽서든 아니 그저 종이쪼가리에라도, 절대 아이를 잊지 않겠다는 표지를 계속해서 남겨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