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화평의 원리, 역지사지

● 칼럼 2015. 1. 30. 18:16 Posted by SisaHan

이솝우화에는 여우와 두루미의 이야기가 나온다. 여우가 어느 날 두루미를 식사에 초대했다. 여우는 접시에 맛있는 스프와 음식들을 담아 대접했다. 하지만 손님 두루미는 그야말로 그림의 떡, 접시의 맛난 음식들을 긴 부리로는 먹을 수가 없으니 여우의 포식을 보며 분통만을 삼켜야 했다. 잔뜩 화가 난 두루미가 어디 두고보자 벼르다 여우를 초대해 복수에 나선다. 긴 항아리에 음식을 담아 내놓아 넙적한 주둥이로 먹을 수 없는 여우가 고초를 겪은 것은 자업자득에 당연지사.


어쩌면 여우가 자신이 늘 먹던 습관대로 음식을 접시에 담는 바람에, 아니면 다른 그롯이 없어서 두루미에게 뜻하지 않은 곤욕을 안겨 문제가 생겼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우화가 말하는 풍자의 핵심이 상대를 배려하지 않고 제 실속만 차리는, 그래서 세상을 삭막하게 만드는 못된 사람들을 꼬집는 것임은 명확하다.
태양과 달의 입씨름으로 날씨가 우중충해진 것도 비슷하다. 태양은 나뭇잎 색깔이 파랗다고 큰 소리 치는데, 달은 “나뭇잎은 은색이야” 라고 우겨대는 것이다. 가만히 듣고있던 바람이 손을 저으며 태양과 달을 꾸짖었다. “그게 싸울 일이니! 태양아, 네가 떠있을 때는 파란색으로 보이지, 하지만 달아, 밤에 네가 뜨면 은색으로 보이는 거야!”.

비단 우화 뿐이랴. 세상에는 그런 유사한 일들이 얼마나 많은가. 상대방을 조금만 배려하고 그 편에서 생각해 준다면 아름답게 마무리 될 일들을, 내 생각 내 편할 대로만 고집하는 바람에 뒤틀리고 서로가 불편한 상황이 알게 모르게 이어진다. 때론 고집으로, 혹은 인식의 차이나 분위기에 휩쓸린 외골수로 인간관계가 망가지고 세상이 험악해져 전전긍긍 가슴 아파한다.


치약을 짜는 방법이 달라 하루가 멀다하고 말싸움을 벌이는 부부가 있고, 술 못마시는 친구를 앞에두고 좀 마셔라 남자가 뭘~ 하며 늘 강권하는 통에 깨어진 우정도 있다. 하찮은 개인사들이야 한 두명 맘 상하고 괴로우면 지나갈 일들도 많다. 하지만 범위가 커져 다중의 심적고통과 갈등을 부르는 일들이 갈수록 심화되고 ‘폭증’하는 세태는 정말 불안하고 위태롭다.
허망하게 수장된 자식들의 참사원인을 규명해달라는 애끓는 부모들을 면박하고, 단식하는 그들 앞에서 치킨을 먹으며 냄새를 풍긴 인간들이 있었다. 그들은 자기 아들과 딸과 형제가 참변을 당했어도 그랬을까. 4 살배기 아이가 잘 먹지 않고 김치를 뱉어낸다고, 분노의 감정을 온 팔뚝에 모아 아이를 패대기 친 보육교사는 자신의 뱃속 아이가 그렇게 맞아 맥없이 나동그라지면 어떤 심정이 될까.


회사직원들을 평소 종 부리듯 다루며 꼬투리잡아 다그치던 항공재벌 2세의 갑질 습성에서, 부하 직원을 모욕 주고 비행기를 리턴시킨 일이 뭐 그리 엄청난 일인지 도무지 이해될 리가 없다. 내 회사 내 부하를 혼내고 쫓아낸 게 어때? 내 비행기 내가 돌리는데 누가 뭐래? 라는 호사와 독선의 성 안에서 살아 온 심성으로는, 성 밖에서 던지는 돌팔매란 도대체가 이상하고 억울한 것이다. 그녀가 여승무원이 되고 사무장이 돼 본다고 꿈엔 들 생각해 본적이 있을까.
죄 없는 인질들을 참혹하게 살해하는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은 자신들이 인질되어 목이 잘리는 상황을 생각이나 해볼까. 무고한 여성들을 집단 성폭행해 죽게 만든 인도청년들은 자기 여동생들 생각은 해봤을까?
입장을 바꾸어 생각해보라는 역지사지(易地思之)는 인간세상에서 정말 중요하고 절실한 금언이요, 꼭 필요한 처세의 원리이며 화평의 지혜라는 생각이다.


살아가며 늘 부딪히는 트러블들은 역지사지 결핍증, 곧 자기중심의 아집에서 비롯된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특히 가진 자와 쥔 자들의 이기와 독선에서 갈등이 커지고 세상이 험해진다. 인간관계의 삐걱댐, 감정의 격돌, 갑과 을의 간극과 불화, 강자와 약자의 적대 등등이 따지고 보면 상대의 입장을 무시한 결과물들이다.
한번 쯤 돌진을 멈추고 그 쭉 입장이 되어보면 웃음으로 풀릴 일들이 얼마나 많은가. 내가 한번 부하입장이 되어보고, 근로자가 되어보고, 피해자가 되어보면 달라질 것이다. 대통령은 시민의 입장으로, 여당은 야당 처지에서, 영남은 호남 쪽을 헤아려보고, 남은 북의 입장을, 주인은 고객이 되어, 갑은 을의 처지를 내 것으로 여겨본다면, 수많은 세상만사 다툼의 살벌함이 누그러지지 않을까.


< 김종천 편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