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연리지 나무

● 칼럼 2015. 6. 12. 16:45 Posted by SisaHan

은퇴를 하자고 조른 건 나였다. 남편은 그런 내 생떼를 3년간이나 잠자코 견뎌냈다. 아마도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 서양 명절 (추수감사절, 성탄절, 부활절)이 오면 서툴지만 서양식 명절식단을 마련하려고 애를 썼었다. 이 나라의 풍습을 제대로 알지는 못했지만 이곳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추억을 만들어 주려고 나름대로 노력을 했었다. 내 자식들에겐 이 캐나다가 모국이니 말이다. 그런데 번번히 만찬을 차려놓고도 네 식구가 함께 식사를 할 수가 없었다. 남편의 자리는 늘 비어 있었고, 가게를 닫은 한밤중에서야 혼자 늦은 식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살아온 세월이 20년을 훌쩍 넘기고 보니 어느 새 자식들이 우리 곁을 떠나고 있었다. 왜, 무엇을 위해, 온 가족이 식사도 같이 할 수 없는 생업을 지속해야 하는지 그 명분을 더 이상 찾을 수가 없었다. 아직 건강할 때, 더 늦기 전에, 그간 잃어버린 삶의 의미와 즐거움을 누려보고 싶은 갈망만이 터질 듯 부풀어 올랐던 것이다.


은퇴하면 무엇을 하며 살까 고민하던 남편의 주저는 기우였다. 날마다 얽매인 스케줄로부터의 자유, 가게 운영상에 생기는 문제로부터의 자유, 무엇보다도 시간적으로 여유로우니 마음의 평화를 누리기 시작했다. 이른 아침에 일어나지 않아도 되고, 피로하면 아무 때나 쉴 수가 있고, 오랫동안 미뤄놨던 일들도 처리할 수 있었다. 아침이면 토스트, 요구르트, 과일을 곁들여 커피 한잔과 느긋하게 들며 새벽에 배달된 신문을 자세히 살펴 읽는 즐거움도 컸다. 가끔 창 밖으로 쏟아지는 햇빛을 벗삼아 호숫가와 숲 속을 산책하는 여유도 싱그러웠다. 식사 때마다 서로 얼굴을 마주하고 그 나머지 시간은 아래층과 위층에서 각자 다른 생활을 한다. 간간히 친구가 생각나면 전화를 잡고 수다도 떤다. 저녁에는 함께 한국인 드라마로 다양한 삶의 모습을 접하며 메마른 감성을 적셔보기도 한다. 몸이 뿌듯하면 운동 삼아 탁구도 치고 골프도 함께 간다. 손주들이 보고 싶으면 영상통화를 하거나 장거리를 달려가 만나는 기쁨도 나눈다. 이 모든 일들은 은퇴하지 않으면 절대로 누릴 수 없는 소중한 시간들이니, 얼마나 적절한 때 은퇴를 결단했는지 퍽 다행스럽기만 하다.


언젠가부터 이렇게 살아가는 우리 부부의 모습이 연리지(連理枝)나무를 연상케 한다. 연리지 나무란 서로 다른 뿌리를 가진 이웃 나무끼리 가지가 서로 붙어서 결이 하나로 이어진 것을 말한다. 일명 사랑나무로 불리며 연인과 부부의 영원한 사랑을 상징한다. 두 나무의 가지가 만나면서 서로 문질러 껍질이 터지고 생살이 뜯기면서 점차 상처가 아물어 같은 나이테를 갖는다는 연리지. 그 과정에서 껍질이 파괴되고 안쪽으로 밀려나 맨 살끼리 닿게 되면서 서로의 나무세포가 갈라지는 고통을 인내해야 한다. 이런 고통을 10년이나 견뎌야 비로소 연리지 나무의 특징인 서로의 영양분을 공유할 수 있다고 하니 얼마나 신비로운 자연의 조화인가. 마치 남녀간의 사랑이 많은 장벽을 거치면서 완성된다는 평범한 진리를 나무가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특히 그것은 수십 년 동안 갖은 불화와 갈등을 아우르며 평탄하게 살아가는 노년의 부부모습과 다를 바가 없지 않은가. 실제로 다정스런 노부부를 보면 성격도 얼굴도 많이 닮아 보인다. 그 이유는 모난 돌이 세월에 닦여 동글동글한 조약돌로 변형되듯, 서로 부딪히면서 인내하고 양보하고 배려하며 타협을 배우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그러나 요즘 젊은이들은 연리지 나무 같은 결혼생활을 이해할 수 있을까? 그들은 철저하게 각자의 영역을 구분하며 서로 구속하지 않는 결혼생활에 가치관을 두는 것 같다. 우리 세대처럼 인내와 희생을 무조건적으로 하지 않고 쉽게 이혼을 결정하는 경향이 아닌가. 어쩌면 무턱대고 참고 견딤을 미덕으로 생각하며 살아온 우리세대가 비합리적일 수도 있겠다. 하여, 근래에 부쩍 많아진 황혼이혼도 충분히 이해가 갈만도 하다. 다만 은퇴 후 나의 일상은 한 나무가 부실할 때 서로 영양분을 주고 받으며 공생하는 연리지 나무를 닮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요즈음 와서야 깨달아가고 있을 뿐이다. 강산이 네 번이나 바뀔 세월을 함께 산 부부이니 오죽하겠는가. 한때 상대방을 위해 살아가는 줄만 알고 억울해 한 적도 있었으나 그것 역시 나 자신을 위한 길이었으니, 얼마나 새로운 깨우침인가. 이제서야 남편의 건강과 행복을 내 것인 듯 챙긴다.


< 원옥재 - 수필가 / 캐나다 한인문인협회원, 전 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