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신경숙의 표절 문제가 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신경숙과 출판사 창비는 애초의 완고한 태도를 바꿔 표절 가능성을 인정하고 고개를 숙였다. 23일에는 작가단체와 문화운동 단체가 중심이 되어 ‘최근의 표절 사태와 한국 문학권력의 현재’라는 주제로 긴급 토론회를 열었다. 작가의 창작윤리와 이른바 문학권력의 전횡을 포함해 오늘의 사태를 초래한 문제점들을 문학계는 깊이 성찰해야 할 때다.


신경숙은 23일 회견에서, 거론된 일본 소설과 자신의 작품 문장을 대조해본 결과 “표절이란 문제 제기를 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인정했다. “문학상 심사위원을 비롯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자숙하는 시간을 갖겠다”고도 했다. 표절 경위를 기억하지 못하겠다고는 했으나 표절을 인정하고 반성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철저한 반성을 통해 더욱 훌륭한 작가로 거듭나길 바란다.
문학시장을 좌지우지해온 몇몇 대형 출판사의 행태도 문제로 떠올랐다. 23일 토론회 발표 내용을 보면, 신경숙은 창비와 문학과지성사, 문학동네라는 세 출판사를 번갈아가며 소설을 간행해왔다. 이들 문학출판사는 예전에 참여문학이든 순수문학이든 나름의 색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여 권위를 쌓아왔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작품이 팔리느냐라는 상업적인 기준만을 경쟁적으로 추구했고 최소한의 작품 검증 기회마저 도외시했다고 한다. 문학의 사회적 책임이 실종된 배경에 출판자본의 무한상업주의가 도사리고 있었던 셈이다.


지금 보니 한국문학이 노벨 문학상을 배출해야 한다거나, 아무개가 한국문학의 대표상품이라는 등의 언술도 당연시할 게 아니었다. 문학의 사명을 제쳐놓고 자본의 논리를 은근히 정당화하는 포장일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비평의 나태도 문학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가 뒷전이 되는 데 한몫했다. 문학의 권력화와 상업화를 견제해야 할 비평가들이 문학권력에 포섭되어 동업자 노릇을 해왔다는 비판이 나오는 실정이다.
신경숙 표절 사건을 계기로 드러난 문학계의 문제는 문학 밖의 한국 사회가 직면한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다.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이라는 가치가 실종된 가운데 자본 중심으로 욕망만을 추구하는 시대의 문제점이 문학에 그대로 투영됐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창비와 같은, 사회 담론 생산의 근거지로 자부해온 대표적 출판사들이 나쁜 순환고리의 한 축에 있었음은 충격이다. 문학계의 총체적 반성과 재탄생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