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영혼을 훔친 글쟁이

● 칼럼 2015. 6. 26. 15:48 Posted by SisaHan

한국문단을 대표하는 작가 신경숙 씨가 표절논란에 휩싸였다. 일본의 극우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작품을 표절했다는 지적이 나오더니, 흡사 고구마 줄기를 뽑아올리는 것처럼 수많은 표절 사례들이 ‘치맛자락 걷어 올려지듯’ 민망하게 들춰지고 있다. 일주일 만에 시인과 사과의 뜻을 밝혔지만, 영 입맛이 개운치가 않다. 한국문단의 체면을 구긴데다. 수많은 그의 독자들 자존심과 순수한 문학정서에 큰 상처를 주었기 때문이다. 몇몇 출판사가 인기작가를 에워싸고 돈과 권력을 누리며 표절논란을 뭉개왔다는 치부까지 드러났다.


그렇지 않아도 요즘 한국 사람들은 여러 부문의 스트레스와 자괴감에 안절부절인 상황이다. 세월호 참사와 뒤이은 메르스 사태, 그 전후로 쉴 새 없이 터지고 운위되는 스캔들과 무책임과 퇴행의 현상들에 피로감이 치솟은 상태다. 먹고살기 힘들고 취업난이 극에 달한 경제나 나아지면 좋으련만, 호전의 기미가 도무지 안보인다고 한숨들이다. 무엇보다 민주주의 후퇴와 독재적 리더쉽 부활, 안보불안, 인권 경시 등 정치적·사회적 후진성이 국민을 지치게 만들고 해외에서도 조롱거리가 되고 있는 마당에, 문화 영역까지도 국제사회의 웃음거리를 제공했으니, 그야말로 총체적인 난맥상이 아닐 수 없다. 이젠 어디서 또 한국의 민낯을 드러낼지 두려울 정도다. 부끄럽고 슬프긴 하지만 어쩌면 이 시대와 사람들과 권력이, 그 의도와는 달리 그동안의 한국적인 허상과 거품을 들추고 걷어내는 자학적이고도 역설적인 전환기를 만들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비로소 솔직·정직한 자화상을 드러내고 인식할 반면교사로 말이다.


신경숙이 표절했다는 ‘우국’은 어떤 작품이며, 미시마 유키오는 어떤 인물인가. ‘우국’(憂國)은 일본 군국주의 극우 천황파 청년장교들의 쿠데타인 1936년 2.26사건을 소재로 천황에 대한 충성심을 증명하기 위해 할복자살을 감행하는 젊은 부부의 이야기를 다룬 단편소설이다.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는 노벨상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후배이며 화려한 문체의 탐미적 작품들로 당대 최고의 명성을 누린 작가이긴 하지만, 그 역시 극우 군국주의자였다.
필자의 졸저 ‘일본의 망령, 우익-그 뿌리와 번식’(1997)을 보면 297~301페이지에 미시마 유키오의 사상과 충격적인 할복사건 전말이 상세히 나온다. 1970년 11월25일 도쿄의 육상자위대 동부방면 총감부 건물에 자신이 조직한 ‘방패회’(楯の會) 회원 5명과 함께 난입해 총감을 결박하고 위협해 자위대원들을 연병장에 집합시킨다. 그리고 천황 친정체제 복귀를 위해 자위대가 총궐기하자고 피를 토하듯 연설하다 반응이 없자 돌연 일본도를 꺼내 배를 갈랐다. 그는 국가주의와 천황사상에 함몰되어 허상을 좇은 이른바 ‘예술우익’이었다.


아무리 그의 문체가 아름답기로서니, 식민의 원흉인 군국주의에 물든 일본작가의 문장을 훔쳐서 한국 대표작가의 명성을 쌓았다는 것을 어찌 봐야할까. 요사이 군국의 냄새를 물씬 풍기는 아베 정권의 득세와 교만의 눈에 한국과 한국의 문학은 과연 어떤 모양으로 비칠까.
 『글에도 마음씨가 있습니다/ 고운 글은 고운 마음씨에서 나옵니다/ 고운 마음으로 글을 쓰면/ 글을 읽는 사람에게도/ 고운 마음이 그대로 옮겨 가서/ 읽는 사람도 고운 마음이 되고~
글에도 얼굴이 있습니다/ 예쁜 글은 웃는 얼굴에서 나옵니다/ 즐거운 얼굴로 글을 쓰면/ 글을 읽는 사람에게도/ 정겨운 마음이 그대로 전해져서/ 읽는 사람도 웃는 얼굴이 되고…』
오광수 시인은 ‘글에도 마음씨가 있습니다’라고 썼다.


글에 어디 마음씨 뿐인가. 글에는 사상과 철학과 삶이 녹아 들어있다. 쓰는 손은 한낱 도구일 뿐, 글은 온 몸으로, 영혼으로 쓰는 것이다. 글은 남이 읽으라고 쓰는 것이다. 자기만 읽겠다고 쓰는 일기조차 사실은 남겨서 남에게 보이겠다는 욕망이 숨어있기도 하다. 일기를 책으로 펴낸 이들도 많찮은가. 그렇게 글은 남의 생각과 정신세계에도 영향을 준다. 기자들의 글이 때론 세상을 바꾸듯이, 작가들의 글은 수많은 독자들의 삶과 영혼에 빛과 그림자를 드리운다. 그래서 글쓰기가 어렵고 두렵고…쓸 때마다 떨리는 것이다.
틀림없이 명문·명작을 만들겠다는 욕구와 강박감이 커질수록 베끼기와 짜깁기 유혹 또한 강하게 밀려들게 마련이다. 그 치명적인 유혹을 떨쳐내느라, 글쟁이들의 머리가 쇠고 유명작가들이 영육(靈肉)의 진을 쏟아내는 것이리라. 표절은 그런 원작자의 마음과 영혼을 훔치는 도적행위에 다름 아니다. 비단 문학작품이나 보도용 글 뿐만이 아니다. 온갖 논문을 표절하는 교단과 학술계의 몰양심적 행태들도 뿌리 뽑아야 할 적폐다.


< 김종천 편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