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귀향

● 칼럼 2016. 4. 15. 19:35 Posted by SisaHan

얼마 전에 이곳 토론토에서 한국영화 ‘귀향’을 보았다. 우리 역사의 가장 아픈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군’위안부’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 영화를 보고 나와서 누구에겐가 하고 싶은 말이 있었는데, 할 말이 없었다. 수치스럽고 치욕적인 일이어서 나 자신조차 없었던 일처럼 잊어버리고 싶었다. 우리 역사에서 나아가서는 인류의 역사에서 다시는 있어서는 안될 일인데 부끄럽다고 숨길 일이 아니라 반드시 진실을 밝혀야 할 일이다.
전쟁기간이라 해도 사람의 탈을 쓰고 그런 행동을 할 수 있는지…피해자들에게는 특히 여자로서 그보다 더한 굴욕과 수치가 없을 것이었다. 짐승보다 못한 대우를 받다가 죽어갔으며 설령 살아남았다 해도 산 것이 아니었다. 그런 만행이 일본군대의 조직적인 계획 아래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 상황 아래 누가 부끄럽고 수치스럽게 생각하고 느껴야 하는가?


인류역사상 가장 잔인한 전쟁범죄로 여겨지는 나치독일의 유태인 학살에서 나치전범들은 유태인의 육체를 죽였지만 일본군들은 그녀들의 육체와 영혼을 죽였다.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양심이라도 살아있다면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가 부끄럽고 수치스럽게 생각해야 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도 사과와 보상을 받지 못하고 피해자가 부끄러워해야 한다는 사실이 분노를 하게 만든다. 그러나 우리 자신도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 어떻게 약20만 피해자가 끌려갔는데, 대부분의 한국사람들은 모르고 있었을까?
영화에 그런 장면이 나온다. 끌려간 여자 중의 한 명이 자신의 오빠가 일본군복을 입고 서있는 것을 보고 그 충격으로 정신이상이 된다. 생각해 보면 여자들 못지않은 수의 남자들이 일본군으로 끌려갔다. 그들은 누이 같은 조선여자들이 어떤 취급을 당하는지 몰랐을까? 그녀들 중 극히 일부만 살아 돌아왔을 때, 우리 사회는 무엇을 할 수 있었는가?
영화에서 주인공이 피해자로 등록을 하러 갔는데, 담당자는 말한다. 미치지 않고는 피해자 등록을 할 수 없다고, 제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런 과거를 밝힐 수 없다고, 그러자 등록을 망설이다 그냥 가려던 주인공은 말한다. “내가 바로 그 미친 여자라고…”

 나 자신도 그 분들의 희생과 아픔, 그리고 맺힌 한에 대해서 전혀 모르고 있었다. 몇 해 전에 하와이에 거주하는 한국계 미국작가인 노라옥자 켈러의 소설, ‘The Comfort Woman’과 이창래의 소설 ‘A Gesture Life’로 대략 짐작을 할 정도이다. 문학을 공부한 사람으로 한국작가는 있는지 궁금하다.

 이 영화 한편을 만드는데도 유명하거나 자본이 든든한 영화사에서 외면하고 정부의 도움은 없었고, 오랜 시간 자금난에 허덕이다 하마터면 완성되지 못할 영화가 7만여 명의 시민들의 모금으로 만들어졌다. 개인적인 영리취득 보다 역사적 진실을 밝히고 진실을 알리는 영화의 목적, 주된 목적이다. 그런 뜻을 알고 돈을 받지 않고 출연한 배우도 있다고도 한다. 영화는 제목이 말해주듯, 강제로 또는 속아서 일본군’위안부’로 끌려간 여인 또는 소녀들이 고향에 돌아오는 사실을 주제로 하고 있다. 누가 돌아오고 돌아오지 못했는지 생각하게 만들지만 사실 대부분 살아 돌아오지 못한다. 살아남았다 해도 그들의 영혼은 죽은 것이나 다름없었다. 정확히 밝혀질 수는 없지만, 전쟁이 끝난 뒤에도 수치스러워, 중국, 또는 동남아의 각지에 남은 사람도 있다고 한다. 영화가 돌아오지 못한 사람도 혼이 되어 돌아오게 하여, 일종의 죽은 자에게 바치는 제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지금의 현실을 생각할 때 그들은 돌아와도 돌아오지 못한 것인지도 모른다. 20만명 중에 50여명이 살아남았는데, 그들은 가해자인 일본정부가 진실을 밝히고, 진정한 사과를 하고, 법적인 책임을 지고 배상하기를 원하고 있다.
작년 겨울에 한국 정부가 일본과 맺은 협정은 피해 당사자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점도 있지만, 결국 돈1o억 엔을 받고 우리는 다시는 이 일을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가 없다. 그 말이 무엇보다 진정으로 잘못을 사과하는 사람이 하는 말이 아니기 때문이다.

< 박성민 - 소설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동포문학상 시·소설 부문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