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도라지꽃

● 칼럼 2014. 9. 2. 16:10 Posted by SisaHan
팔월의 폭염 아래 도라지꽃이 절정을 이루었다. 수줍은 듯 고개를 꺾어 핀 모습이 고혹적이다. 여름 하늘을 머금은 듯 청아한 청 도라지꽃이 만개하기까지 이 공간에서 적잖은 소요가 있었다. 
차고 진입로를 따라서 대 여섯 평 크기의 기다란 화단이 있다. 해마다 다채롭게 변화를 주는 옆집 화단과 맞붙어 있어 솜씨없는 우리에겐 여간 부담되는 곳이 아니지만 집 미관을 위해 뭔가 시도는 해야 했다. 
이사 온 이듬해부터 출사표를 던졌다. 첫해는 여러 종류가 혼합된 야생화를 뿌렸다. 잘 가꾸어진 이웃집 화단에 대항하듯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자는 심산이었다. 붓꽃, 양귀비, 마가렛, 백일홍 등 등……. 여름 내내 가지가지 꽃들이 쉼 없이 피고 지는 열의가 대단했다. 다양한 꽃들이 어울려 피어나는 융통성이 볼만해서 한동안 누렸지만 두 해를 못 넘기고 싫증이 났다. 무질서와 왕성한 번식력에 질린 탓이었다.
 
다음엔 코스모스 씨앗을 뿌렸다. 일손도 덜 겸 때가 되면 가을의 정취를 온 동네에 뿌리리라는 야심에서였다. 웬걸, 초여름부터 개화가 시작되더니 더운 계절 내내 만개한 코스모스 밭에서 철 이른 가을을 느껴야 했다. 빠른 세월 늦추지는 못해도 앞서고 싶지 않은 마음에 이 또한 퇴출시켜야 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느라 고심하고 있을 때 친구로부터 잘 여문 해바라기 한 송이가 전해져 왔다. ‘옮거니. 반 고흐의 해바라기를 내 뜰에다 놓아 보자.’ 하지만 이듬해 봄엔 뜻하지 않은 삼파전에 몸살을 부려야 했다. 야생화, 코스모스, 해바라기의 기 싸움이 대단한 탓이었다. 대세는 곧 떡잎 좋은 해바라기로 기울어졌지만 다른 두 종도 포기하지 않고 그들 나름대로 자리보전을 했다.
 
하루가 다르게 쑥쑥 자라나는 해바라기 군락은 좀 위협적이긴 해도 싱싱해서 좋았다. 키가 건너 집 처마 가까이 차올랐을 때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더니 이내 장관을 이루었다. 이웃의 화단을 가소롭단 듯이 내려다보며 해시계 얼굴을 갸우뚱거릴 때는 아담형인 나는 대리 만족까지 느꼈다. 하지만 개화가 끝나고 씨앗이 영글기 시작하면서 마무리 작업이 고민되었다. 굵직한 밑동을 뽑아내는 일이며 수거 규칙에 맞추어 자르고 묶는 일이 만만치 않게 보여서다. 수확과 동시에 이 작업을 하리라 벼르고 있는데 하루는 온 동네에 소동이 났다. 까마귀 떼들이 몰려들어 순식간에 씨앗을 수확해 간 것이다. 거기다가 결실을 앞둔 이웃의 과수며 채소에까지 벌집을 만들어 놓았다. 한 동안 원망의 눈길을 참아내야 했다. 
참으로 우연한 기회에 도라지꽃이 거명됐다. 대 여섯 살 때 도라지 춤을 곧잘 추었던 기억이 어슴푸레 떠오르며 구미가 돌았다. 짤막한 키에 함초롬한 꽃은 이미 실패한 세 종류의 단점을 모두 보완해 줄 수 있을 것 같았다.
 
초봄, 씨앗을 뿌린지 삼 주일 정도 되었을까. 찬 기운이 채 가시지 않은 화단 귀퉁이에서 새순이 꼬물꼬물 올라오고 있었다. 하루에도 몇 차례씩 눈 맞추기를 했다. 옆집에서도 의문의 눈빛이 자주 넘어왔다. 하지만 날이 갈수록 잡초 속에 파묻힌 그놈들은 내내 운신을 못했다. 여름해가 기울자 우리의 기대도 접을 수밖에 없었다. 
다시 봄이 되었다. 말라붙은 몸통 아래로 부터 강한 기운이 감지되었다. 변변찮은 한 해를 살고 난 녀석들이 날씨가 채 풀리기도 전에 태동을 시작한 것이었다. 얼었던 땅을 헤집고 꾸역꾸역 나오기가 무섭게 옆으로 위로 영역을 넓혀 나갔다. 한 해 착실히 쌓은 내공으로 거침없는 몸짓을 하더니 칠월이 되자 보란 듯이 줄줄이 피어났다. 두 해 만에 청 빛으로 도색된 비밀의 문을 열어 의심쩍어 하던 눈길을 사로잡는다. 
사나흘 햇살을 품었다가 주저앉는 꽃, 주된 역할에 충실하려는 자연의 이치가 신통하기만 하다. 큰 키에 덩치까지 앞세운 본토박이들을 옆으로 밀어내고 야멸치게 자리 잡아 가는 도라지꽃이 어쩐지 낯설지 않다. 이국땅에 뿌리내리는 우리들의 모습이 아닐까.

< 임순숙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에세이스트’로 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