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3대(代)가 인구 5~6천의 작은 타운으로 옮겨 앉은지 벌써 반 년 째 접어들었다. 조국에서도 많은 이들이 전원생활을 꿈꾸며 혹은 보다 나은 삶을 위하여 귀농, 귀촌을 택한다는데 우리도 방법은 좀 다르지만 비슷한 연유로 이곳에 정착하게 되었다. 가족사업체로 몇 군데 물망에 올랐던 장소들 중 특히 이곳이 마음에 끌렸던 것은 사업 전망이 밝다는 점은 물론이고, 조그만 강줄기가 마을을 끼고 흐르는 모습이 정겨웠고, 공원이나 하이킹 코스가 생활권 속에 있어 마음먹고 멀리 나가지 않아도 자연을 한껏 안을 수 있음이었다. 심사숙고 끝에 우리 부부의 은퇴지로, 아이들의 생활근거지로 안성맞춤이라 여겨 결정했지만 한편으론 걱정스럽기도 했다. 도시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이 단조로운 시골생활에 잘 적응해 나갈지도 염려되었고 백인 토박이들이 대대로 모여 사는 마을에서 그들을 상대로 사업체를 잘 이끌어 나갈 수 있을지도 미지수였다.


지난 봄 우리는 원하는 이 사업체를 무사히 인수했고, 두 아들들이 앞장서서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이미 장년이 된 녀석들은 우리의 걱정이 기우였음을 증명하듯 소프트웨어 영역과 하드웨어 영역으로 역할 분담하여 열성을 보였다.
마켓 운영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선 종업원들을 우리 식구로 만드는 것이 가장 급선무였다. 직원들 중엔 마켓 창설멤버가 있는가 하면 근속기간이 십여 년 이상 되는 직원도 여러 명이어서 이들의 애정어린 도움 없이는 독자 운영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 뻔했다. 우리는 전임자가 간과했던 직원 복지에 신경을 쓰면서 그들의 애로사항을 일일이 들어주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더니 생각보다 빠르게 거리를 좁힐 수 있었다. 전 직원을 한식구로 만들고 나니 엄청난 업무들이 한결 수월해졌고 마을 주민들을 향해 사발통문 역할까지 해주어 운신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마을 주민들이 아끼는 사업체를 백인이 아닌 동양인인 우리가 인수하고 나자 곱지 않은 시선들이 한동안 따라다녔다. 그들은 아마도 우리가 원하는 만큼 주머니가 채워지면 언제든지 떠날 사람들이라 간주했기 때문이리라. 이들의 마음을 읽은 우리는 잠깐 머물다 가는 한이 있더라도 불신의 벽을 허물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히 사업을 위해서라기보다 백인이던 동양인이던 인간 대 인간으로 만났으면 소통은 해야겠다는 생각이 더 지배적이었다. 아이들도 같은 마음이었던지 먼저 발 벗고 나서주었다. 1.5세대의 빠지지 않는 언어 구사력에다 젊기까지 한 녀석들이 마을의 각종 행사며 문제점 해결에 동참하고 나서니 이방인에게 꽁꽁 묶여있던 마을 공동체가 빗장을 열어 화답해 주었다. 그들에게 이 땅에서 함께 살아 갈 동행자로 인식되기까지 진심어린 우리의 행동이 선행되었기 때문 아닌가 한다.


진심이란 마음을 나누는 양자 간 서로 통하면 그 진가가 배가되지만 그렇지 못했을 땐 오해의 소지를 낳기도 한다. 초기엔 고객과 종업원의 돈독한 사이를 보며 괜히 왕따 당하는 기분이 들어 마음이 상하기도 했다. 모두가 피붙이 같은 그들은 바쁜 시간임에도 서로 붙잡고 긴 하소연을 하는가 하면 때론 큰소리로 함께 킬킬거리며 웃기도 했다. 혹시 나의 꼬투리로 저렇게 신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하지만 나의 이런 불편한 생각은 모두 자격지심이었고 업무 중 손님과의 너스레가 피로를 가중시킨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뿌리치지 못하는 건 고객관리 차원임을 나중에야 알았다. 아무리 힘든 일도 해내고야 마는 근성, 새내기 주인보다 더 일터를 사랑하는 사람들, 직원 중 어려운 일이 생기면 서로 돕고 합심하는 그들을 보며 뒤늦게야 우리는 진심으로 통하는 사이임을 깨닫는다.


한 해가 다 기운 지금, 올해 가장 보람된 일을 꼽는다면 진심을 나눌 수 있는 새로운 이웃을 가졌다는 점이다.
한여름 시냇가에서 오한을 느꼈다면 눈바람 날리는 지금은 오히려 포근함을 느낀다. 혼자가 아니라 우리라는 개체 속으로 들어섰다는 사실이 마음을 훈훈하게 하는 동짓밤이다.

< 임순숙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에세이스트’로 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