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보다 사냥·개발이 치명적

● 토픽 2016. 9. 29. 19:07 Posted by SisaHan

미국 사냥꾼 월터 파머의 화살에 죽은 사자 세실.

동식물 멸종, 벌목·사냥·낚시 등 인간탐욕이 더 위험

기후변화보다 인간의 탐욕에서 비롯한 활동이 야생 동식물 멸종에 더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퀸즐랜드 대학 숀 맥스웰 교수 연구팀이 조사한 멸종 위기 동물과 식물 8천688종 가운데 72%(6천241종)가 인간의 상업, 오락, 자급 등을 위해 혹사당하고 있다.
동식물 착취에는 벌목, 사냥, 낚시 등의 방법이 동원된다.
예를 들면 수마트라 코뿔소와 서부고릴라 등은 고기와 특정 몸 부위에 대한 수요 때문에 불법 사냥의 표적이 됐다.


또 조사 대상 동식물 중 5천407종(62%)이 작물 수확과 가축 사육 등 농업 활동,3천14종(35%)이 도시 개발로 고통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이나 개발로 점점 사라지는 대표적인 동물은 치타, 수마트라 수달, 남방안데스사슴, 캥거루쥐 등이다.
최근 10여 년간 동식물 멸종 주범으로 지목된 홍수, 가뭄, 폭염, 혹한 등 기후변화 영향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은 전체의 19%(1천688종)로 상대적으로 수가 적었다. 북극 해빙(海氷) 감소로 지난 수십 년간 대서양 북극 지역에서 두건바다표범 개체 수는 90% 줄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8월 11일 자에 실렸다.
맥스웰 교수는 “과도한 동식물 착취와 농업 활동에 따른 문제를 해결해야 생물 다양성 감소 위기를 벗어날 수 있다”며 “기후변화보다는 이러한 위협이 야생 동식물보호 논의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물론 지구 온난화가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는 강도가 점점 세지지만, 당장은 농업과 착취에서 비롯하는 위협이 압도적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공동 저자인 야생동물보존협회(WCS)의 생물 다양성 전문가 제임스 왓슨은 “100∼200년 전보다 1천∼1만배 빠른 속도로 생물이 멸종하는 대량 멸종 시대에 돌입했다”고 지적했다.
<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


올해 난민 사망자, 1만명 넘는다

● WORLD 2016. 9. 29. 19:01 Posted by SisaHan

국제이주기구 예측
대부분 지중해… 작년의 2배, 사상최다

올해 난민 사망자 수가 사상 최대치인 1만명에 육박한다는 국제이주기구(IOM)의 예측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리아 내전이 6년째 접어들고, 아일란 쿠르디를 비롯해 난민의 비극적인 사연이 연이어 전해지고 있지만, 난민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공조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제이주기구의 데이터 분석 센터인 ‘실종난민프로젝트’는 2016년 난민 사망자수가 지난해의 두 배에 달하는 1만여명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난민 사망자수는 4000여명이지만, 측정되지 않은 사망자까지 포함한다면 올해 안으로 1만명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다는 것이다. 줄리아 블랙 실종난민프로젝트 연구원은 “지중해와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는 난민 사망자에 대한 조사조차 제대로 되지 않아, 실제 사망자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난민 사망자의 대다수는 리비아에서 이탈리아로 건너가는 지중해에서 발생하며, 올해에만 이 구간에서 3212명의 난민이 숨진 것으로 드러났다. 전 세계에서 650만여명이 내전으로 인해 자신의 터전을 떠나는 상황에 놓여 있으며, 이중 실제 난민은 213만여명에 달한다.


내전을 피해 목숨을 걸고 고국을 탈출했지만, 끝이 보이지 않는 유럽의 난민 캠프 생활에 지친 난민들이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기도 한다. 그리스의 난민 캠프에서 일하는 지아스 알준디 국제앰네스티 활동가는 “시리아 상황이 얼마나 나쁜지 잘 알고 있지만, 난민들은 유럽에 대한 희망과 신뢰가 사라졌다고 말하며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19일 뉴욕에서 개막된 유엔 총회에는 증가하는 난민에 대한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20일 난민 정착 프로그램에 쓰일 기금 모금을 위해 정상회의를 열겠다고 밝혔다.
< 황금비 기자 >


진단-치료 ‘여성 유방암’과 동일

미국은 연간 2천명이상‥ 한국선 60여명 발생
가슴에 만져지면 의심‥ 유두 피 분비물 나오기도

최근 방영중인 모 방송의 드라마 <질투의 화신>에서 배우 조정석이 맡은 남성주인공이 유방암에 걸린 것으로 나오면서, 남성 유방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유방암이라고 하면 여성만 걸린 것으로 생각했던 많은 시청자들이 남성도 유방암에 걸린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는 반응도 나온다.


관련 전문의의 도움말로 남성 유방암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의 경우 남성 유방암의 역사는 꽤 오래 됐는데, 문헌상으로는 1923년 세브란스 병원에서 첫 남성 유방암 환자가 보고된 바 있다. 남성 유방암의 역사는 국내에서만 벌써 100년 가까이 되는 셈이다.

우선 암 환자의 통계를 가장 잘 집계하는 국가암센터와 중앙 암등록본부의 자료를 보면 2013년 기준 국내 유방암 환자는 새로 1만7292명이 생겼다. 이는 그해 전체 암 발생의 7.7%로 많이 생기는 암에서 5위를 차지했다.
그렇다면 남성 유방암 환자 수는? 그해에 61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물론 거의 절대 다수가 여성 유방암 환자다. 해당 드라마에서는 유방암에 걸린 남성 주인공이 ‘나와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이 한해 100명 가량으로 극히 소수인데 그 심정을 아느냐’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실제로는 그보다 조금 더 적은 수의 남성이 유방암에 걸리는 것이다. 드라마 작가가 꽤 소상하게 취재를 해 대사를 썼다고 평가할 수 있다.
남성은 여성처럼 젖을 만드는 조직과 지방이 발달하지 않아 풍성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유방 조직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이 조직에서 암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연세암병원 유방암센터 유방외과의 한 교수는 “국내에서는 남성 유방암 환자가 전체 유방암의 1% 미만으로 매우 드물긴 하지만, 2012년 미국에서는 2000명 이상의 남성이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는 보고도 있다”고 말했다.


남성 유방암도 여성처럼 유방에서 무엇인가 만져지는 증상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또 여성처럼 유두(젖꼭지)에서 피가 섞인 분비물이 나와 병원을 찾기도 한다. 만약 양쪽 유방에서 덩어리가 만져진다면 유방이 여성처럼 다소 커진 ‘여성형 유방’인 경우가 많지만, 나이가 40~50대 이상이면서 한쪽에만 만져지면 유방암을 의심해 봐야 한다. 가족 중에 유방암이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만큼 가능성은 높아진다. 전문의들은 “남성의 경우 유방에서 무엇인가 만져져도 창피하다며 병원 방문을 꺼리기도 하는데, 한쪽 유방에만 발생한 덩어리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 있거나 계속 커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진찰을 받아봐야 한다”며 “유방암센터의 환자들 대부분이 여성이긴 하지만, 최근에는 여성형 유방처럼 유방 질환을 가진 남성 환자의 방문도 아주 드물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남성 유방암이라도 치료는 여성 유방암과 크게 다르지 않다. 초기에 발견하면 수술 등의 치료로 비교적 좋은 예후를 보이지만, 남성도 유방암에 걸릴 수 있다는 인식 부족으로 많이 진행된 뒤 병원을 찾는 경우가 적지 않아 예후가 나쁘다는 보고도 있다. 치료는 수술을 기본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항암제, 방사선 치료 등을 하게 된다.
<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


전도대학 제20기 가을학기 개강

● 교회소식 2016. 9. 29. 18:22 Posted by SisaHan

“기도로 회복의 삶”‥ 10월25일 개교 10주년

토론토 전도대학(학장 서인구 소망교회 담임목사)이 9월20일(화) 오전 소망교회에서 개강 예배를 드리고 제20기 2016 가을학기 강의를 시작했다. 이날 예배는 박웅희 목사(새빛장로교회 담임)의 사회로 양요셉 목사(기쁨이 충만한 교회 담임)가 기도하고 온주교협 이형관 회장(성석성결교회 담임목사)이 역대하 7장14절을 본문으로 ‘기도로 회복합시다’라는 제목의 말씀을 전했다.

이 목사는 “기도는 기관차와 같은 힘이 있다”고 강조하고 “기도할 때만이 감사한 삶을 살 수 있다”고 기도생활을 역설했다. 예배는 허인희 장로(소망교회)의 헌금기도에 이어 참석자 모두가 합심해 중보기도를 한 뒤 박웅희 목사의 교재설명에 이어 서인구 목사의 축도로 마쳤다.
한편 전도대학은 27일 한인 목사회 주관으로 황삼석 목사가 인도하는 특강을 열고, 창립 10주년 기념일인 오는 10월25일 기념행사를 갖는다.


< 문의: 416-391-3151, 647-207-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