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멕시코 “국가 죽었다” 분노

● WORLD 2014. 11. 18. 17:20 Posted by SisaHan
경찰이 인계한 학생 43명을 갱단이 불태워 살해…

멕시코의 게레로주 이괄라시에서 지난 9월말 경찰에 체포된 뒤 실종된 교육대학생 43명이 마약조직에 끔찍하게 살해된 것 같다는 공식 발표가 나온 이후 멕시코 전역이 충격과 분노에 휩싸였다. 앞서 7일 헤수스 무리요 카람 멕시코 연방검찰 총장은 “체포된 갱단 조직원 3명이 ‘시위 학생들을 경찰에게서 넘겨받아 모두 살해하고 주검은 불태웠다’는 자백을 받아냈다”고 발표했다.
 
시민들은 경악했고, 실종자 부모들은 절규했다. 실종 학생들의 부모들은 “우리 아들·딸들은 살아있다, 유전자 대조로 신원이 확인되기 전까진 믿을 수 없다”며 정부에 대한 극도의 절망과 불신을 드러냈다. 대학생이 주축이 된 수만명의 시위대는 8일부터 멕시코시티와 게레로주 등 각지에서 실종 학생 43명의 이름을 부르며 애도했고, “아요치나파는 살아있다, 국가는 죽었다”는 구호 아래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흥분한 일부 시위대는 경찰차와 트럭 10여대를 불태우고 “페나 니에토 대통령 퇴진”을 외치며 대통령궁과 정부청사에 진입을 시도했다. 게레로 주의 경우 시위대의 방화와 정부 관리 감금, 공항 점거 등으로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게레로주 산골마을인 아요치나파의 교육대 학생들은 지난 9월26일 교사임용 차별 및 국고 보조금 삭감 반대 시위를 벌이던 중 경찰의 발포로 6명이 숨졌고 체포된 43명은 지금껏 행방이 묘연했다. 검찰은 현장에서 수습된 치아와 신체 조각들을 오스트리아의 한 대학으로 보내 유전자 분석을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멕시코 정부와 관료 집단의 뿌리 깊은 부패와 마약조직과의 결탁을 최악의 민낯으로 드러내면서 멕시코 사회를 위기에 빠뜨리고 있다.
< 조일준 기자 >


‘바보 바이러스’ 발견

● 건강 Life 2014. 11. 18. 17:15 Posted by SisaHan

걸음으로 치매예측 가능

어제 열쇠를 잊었거나, 오늘 아침 주차장에 세워둔 자동차를 찾지 못했다면, 혹시 바이러스에 감염된 건 아닐까? 존스홉킨스 대학과 네브라스카 대 연구진이 바보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사람을 ‘살짝’ 멍청하게 만드는 바이러스는 연구진이 다른 실험을 진행하던 중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44%가 IQ시험에서 평소보다 7~9점 정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사실에 주목, 의도치 않게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실험은 사람들의 주의 집중력과 주어진 시각 정보에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반응하는지를 가늠했다.
 
네브라스카 연구진이 이 바이러스를 쥐의 소화기관에 주입하자 쥐들은 미로를 헤매고 다녔고, 새 장난감들의 등장에 어리둥절한 반응을 보였다. 또 철장으로 드나드는 새로운 길목들을 까먹은 듯 멍청하게 굴었다. 이 실험을 이끈 로버트 욜켄 받사는 “우리가 지니고 있는 무해한 미생물들이 우리의 행동과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놀라운 예”라며 “우리의 행동과 심리가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자의 영향만은 아님을 증명하는 연구”라고 말했다. 미국 감염질관학회 대변인 애론 글랫 박사도 인간의 지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것에 회의적이지만, 그렇다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영국 에섹스 대학 생체역학교수 매슈 테일러 박사가 걸음걸이의 미세한 변화를 분석해 알츠하이머 치매를 발병 여러 해 전에 예측할 수 있는 보행분석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 55세 이상 약 1천명을 대상으로 10년에 걸친 실험을 시작했다고 데일리 메일이 10일 보도했다. 
실험대상자들은 육안으로는 포착이 어려운 미세한 보행의 변화를 잡아내는 적외선 카메라가 판독할 수 있는 특수 표지(camera marker)를 달고 다니며,이를 컴퓨터가 분석한다. 
치매 환자들은 걸음걸이가 느리고 걸을 때 팔을 잘 흔들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 보행 때 팔 흔드는 동작이 달라지는 것은 보행속도가 느려지는 것보다 일찍 나타나는 변화일 수 있으며 이 밖에 다른 형태의 미세한 변화들이 치매에 앞서 보행 패턴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테일러 박사는 지적했다. 
본격적인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여러 해 전에 이를 예측할 수 있다면 예방 치료가 가능해진다. 
이 프로그램은 치매만이 아니라 같은 중추신경계 질환인 파킨슨병을 예측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파킨슨병 환자는 짧은 보폭으로 발을 끌며 걷는 보행의 변화가 나타난다.이 프로그램은 또 몸의 균형을 잃기 쉬운 노인들 보행 패턴 변화를 미리 감지해 낙상을 예방하는 데도 활용 가능할 전망이다.


이웃 미국에 폭설

● WORLD 2014. 11. 18. 17:12 Posted by SisaHan


미국 중북부 지방에 11일 폭설이 내려 미네소타에는 42cm나 쌓이는 바람에 교통 대란이 일었다. 캐나다에도 눈과 함께 보낼 겨울이 다가와 남의 일로만 보이지 않는다. < AP >


 

추위… ‘무릎관절염’ 조심

● 건강 Life 2014. 11. 11. 20:13 Posted by SisaHan

감기환자 보다 많은 무릎관절염 어떻게?

날씨가 차가워지고 하루 기온 차이가 크게 나는 요즘 50대 이상 중노년층이 주의해야 할 질환은 무엇일까? 감기라고 답할 사람이 가장 많을 터. 하지만 실상은 무릎 관절염 환자가 감기 환자보다 더 많다. 큰 일교차는 무릎 관절 주변의 혈액순환을 방해하며, 낮은 기온은 관절을 보호하는 관절 주변의 인대와 근육을 수축시켜 통증을 더 심하게 할 수 있다.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려면 몸무게 조절이 필수이다. 관절과 그 주변의 근육을 강화하는 자전거 타기, 관절 강화 근력운동 등이 권고된다.

■ 50대 이상 감기보다 관절염 환자가 더 많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50대 이상의 무릎 관절염 환자 수는 225만3천명으로 감기 환자 154만2천명보다 1.5배가량 많았다. 60대는 그 차이가 더 벌어져 관절염 환자가 74만2천명으로 감기 환자(44만9천명)의 거의 두배에 이른다. 두 질환 모두 하루 기온 차이가 큰 환절기나 늦가을에서 초봄까지 많이 앓는 질환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특히 중노년층이 더 주의해야 할 질환이 관절염이다. 중노년층이 앓는 관절염은 대부분 퇴행성으로 무릎 관절 안의 연골(물렁뼈)이 닳아 관절에 염증이 생긴 경우다. 연골이 망가지면 이를 재생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아직은 없다. 
 
■ 기온 차가 관절 주변 혈액순환 방해 
퇴행성 무릎 관절염이라도 환절기나 겨울에 더 통증이 심한 이유는 혈액순환의 문제일 때가 많다. 기온이 내려가면 근육과 혈관이 수축하는데, 근육이 수축하면 유연성이 떨어지고 관절이 굳어져 혈액순환 기능이 떨어진다. 이때 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에 혈액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관절을 받치는 기능에도 방해를 받아 관절 통증이 더 심해진다. 관절을 부드럽게 해주는 관절액도 기온이 내려갈수록 굳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는 늦은 밤이나 새벽에 관절염 증상인 통증이 더 심해진다. 혈액순환이나 관절액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따뜻한 찜질이나 온욕이 이를 막는 데 좋다. 기온이 낮은 시간대에 외출을 해야 한다면 무릎을 따뜻하게 할 수 있도록 옷차림을 갖추는 게 좋다. 차 안이라면 담요 등으로 무릎을 덮는 것도 좋다. 

■ 몸무게 줄이고 관절 도움이 운동을 
관절 건강을 지키는 방법은 적절한 체중 유지와 운동이다. 무릎 관절은 상체 등을 지탱하고 있어 뱃살 등 몸무게를 줄이면 그만큼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든다. 몸무게를 5㎏ 줄이면 무릎 통증이 50%가량 줄어든다는 보고도 있다. 거꾸로 몸무게가 5㎏가량 늘어나면 무릎이나 엉덩이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은 3배나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달리기나 축구, 테니스 등 무릎 관절에 몸무게 부담을 더 싣는 운동은 오히려 관절을 해치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무거운 배낭을 지거나 내려올 때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이는 등산도 좋은 운동이 아니다. 이보다는 몸무게 부담이 관절로 전달되지 않는 자전거 타기나 수영 등이 권장된다. 가벼운 산택이나 약간 빠르게 걷기도 좋다. 이런 운동을 한 뒤 관절에 통증이 나타나 2시간가량 지속된다면, 운동은 지속하되 운동 시간을 줄여야 한다. 관절 건강에 해로운 습관을 버리지 않은 채, 관절 통증을 줄이는 각종 주사로 견디면 오히려 손상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