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오는 8월20~26일 남북 각 100명씩의 이산가족들이 만나는 행사를 금강산에서 열기로 했다. 남북은 22일 금강산호텔에서 적십자회담을 열어 이같이 합의했다. 고령 등으로 거동이 불편한 상봉자에 한해 1명의 가족을 동반하도록 했다. 이로써 이산상봉 행사는 2015년 10월 이후 2년10개월 만에 열리게 됐다. 분단으로 수십년간 생이별한 채 가족 상봉을 학수고대해온 수많은 이산가족을 생각하면 다행스러운 일이다. 남북이 8·15 계기 이산상봉 등 4·27 판문점선언 합의를 착실하게 이행하고 있는 것도 의미가 크다.


이산상봉은 남북 현안 가운데 가장 시급하고 절박한 인도적 과제다. 이산가족들은 70세가 넘은 고령자들로, 이산의 한을 풀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지 않다. 이런 안타까운 현실을 고려하면 어떤 돌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지속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남북관계나 한반도 상황은 이런 요구를 외면해왔다. 상봉 행사가 자주 열리지 못했고, 어쩌다 열리더라도 일회성으로 끝나버렸다.
오는 8월 상봉 행사도 한계가 뚜렷하다. 그리운 가족을 만날 수 있는 이산가족은 고작 남북 각 100명씩에 불과하다. 이런 방식으로는 5만7000여명의 이산가족 모두가 상봉하려면 수백차례 행사가 열려야 한다. 대부분의 이산가족이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속절없이 세상을 떠나는 비극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이산상봉 행사를 정례화하고, 매번 상봉 규모도 대폭 확대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상봉에 주력하되 생사확인이나 서신교환, 화상상봉 등 이산의 아픔을 달래주기 위한 다양한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남북은 20여개의 화상상봉장을 갖고 있으면서도 그간 정치적인 이유로 이를 활용하지 못했다. 협소한 상봉 장소와 운영 문제의 해결도 시급하다.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상시운영과 제2면회소 건립을 적극 검토하고 2003년 중단된 서신교환을 재개해야 한다.


남북은 반세기 넘게 지속돼온 분단과 냉전을 허무는 등 한반도 안보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대변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 같은 정세 변화는 궁극적으로 한반도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고 번영하는 삶을 살게 하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분단의 가장 큰 희생자인 이산가족들의 소원을 들어주지 못한다면 진정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구축했다고 말할 수 없다. 가급적 더 많이, 그리고 더 빨리 이산상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남북 당국이 대담하고 창의적인 접근을 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