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언론·일반인 접근 차단 ‘보안성’
② 잘 갖춰진 회담 지원 인프라
③ 접근성 좋아 출퇴근 회담 가능
④ 평화의집은 ‘제3자’가 내용 파악 우려

2018년 5월 26일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판문점 북측 판문각 입구에 의장대들이 도열해 문재인 대통령을 기다리고 있다. 청와대 제공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은 동서 800m, 남북 400m의 좁은 땅이다. 그런데도 회담 공간이 많다. 군사분계선 위에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T1), 군사정전위원회 본회의실(T2), 군사정전위 소회의실(T3)이 있다. 모두 7개동이다. 3개동은 유엔군사령부가, 4개동은 조선인민군(북한군)이 관리한다. 정전 직후인 1953년 10월 세워졌다.

공동경비구역 군사분계선 남쪽엔 회담장인 ‘평화의 집’(1989년 준공, 지상 3층), 연락사무소인 ‘자유의 집’(1998년 준공, 지상 4층)이 있다. 북쪽엔 회담장인 ‘통일각’(1985년 준공, 지하1층·지상1층)과 연락사무소인 ‘판문각’(1969년 준공·1994년 증축, 지상3층)이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4월27일엔 평화의 집에서, 26일엔 통일각에서 두 차례 정상회담을 했다. 그리고 그 통일각에서 성김 주필리핀 미국대사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을 책임자로 한 북-미의 정상회담 의제 조율 실무회담이 27일부터 진행되고 있다. 판문점이 적대와 갈등을 녹이는 대화의 용광로로 펄펄 끓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북-미 양국은 왜 통일각을 회담 장소로 선택했을까? 이 질문의 답을 찾자면 통일각 이전에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이라는 공간의 특수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엔사 군정위의 승인이 없이는 누구도 이곳에 드나들 수 없다. 민간은 60일 전 국가정보원에, 정부·공공기관은 14일 전 통일부에, 국방부·군은 14일 전 군정위 한국군연락단에 신청해야 한다. 외국인 여행객은 지정 여행사를 통해 군정위 비서처에 신청해야 한다. ‘보안성’이 매우 높은 공간이다. 요컨대 언론의 접근을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다.

둘째, 회담을 지원할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북쪽은 정전 직후부터 유엔사와, 1971년 8월20일 첫 적십자 접촉을 시작으로 지금껏 다양한 남북회담을 이곳에서 치렀다. 미국 쪽도 유엔사 창구로 북쪽과 숱한 회담을 했다. 그만큼 관련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더욱이 군사분계선 남쪽 2.4km 지점엔 ‘캠프 보니파스’가 있어, 미국 협상팀이 워싱턴과 연락을 취하기도 용이하다.

셋째, 접근성이 좋다. 판문점은 미국대사관이 있는 서울에서 52km 거리다. 미국 대표단이 출퇴근 회담을 하는 이유다. 평양에선 147km 떨어져 있지만, 북쪽 행정명이 ‘개성특급시 판문군 판문점리’일 정도로 개성에서 가깝다.

여기까지는 회담 장소로서 판문점의 이점이다. 문제를 하나 더 풀어야 한다. 왜 평화의 집이 아니라 통일각일까? 형식적으론 북-미 협상이라는 사실이 고려됐겠지만, 내용적으론 ‘보안’ 문제가 크다. 평화의 집은 국정원이 관리한다. 회담 장면을 촬영하고 대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져 있다. “북-미 양쪽 모두 ‘제3자’가 협의 내용을 직접 알게 되는 상황을 피하려 한 듯하다”(외교 소식통)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더구나 북쪽은 남쪽과 달리 ‘언론 보도’를 통제할 수 있다.

<이제훈 선임기자 >